Abstract
There are various types of foreign body reactions, such as inflammation, edema, fluid collection, hematoma, infection, abscess and granulomas. There are various imaging findings according to types of foreign bodies and depending on the lapse of time. Therefore, correct diagnosis of a foreign body reaction is difficult and easily confused with soft tissue neoplasm. The MRI is ideal for the detection of foreign bodies regardless of radiolucency or acoustic impedance. It is especially very useful in the evaluation of the surrounding tissue reaction.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a 26-year-old female patient with both forearm swelling due to self-injection of a mixture of powdered tablets and saline. The lesion shows numerous internal T1 and T2 dark signal intensity micro-spots with surrounding fluid collection, which are diagnosed as foreign bodies with surrounding inflammatory changes during an operation.
이물질에 의한 주변조직의 반응성 변화는 염증, 부종, 액체저류, 혈종, 감염, 농양, 육아종 등의 다양한 형태를 보이며, 이물질의 종류와 시간 경과에 따라 다양한 영상소견을 보이기 때문에 연부조직 종양 등과 쉽게 혼동 할 수 있다. 자기공명 영상은 이물질의 방사선 투과성이나 음향 임피던스와 관계없이 진단할 수 있으며, 특히 주변조직의 변화를 잘 보여준다. 이에 저자들은 알약 분쇄물을 식염수와 섞어 전완에 주사한 후 발생한 종창으로 내원한 26세 여자의 자기공명 영상에서 무수히 많은 미세한 신호 강도 소실 물질과 주변의 액체저류 및 T1 저신호, T2 고신호 강도의 비균질성 조영증강 병변을 확인하였다. 이는 수술을 시행하여 흡수되지 않은 알약 분쇄물 및 주변의 액체저류와 염증반응으로 확인되었기에 이를 자기공명 영상소견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