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션 평가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85㎡이하 소형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valuation Elements for Interior Coordination of Small-sized Housing - Focused on the below ㎡ small-sized housing between Korea and Japan -

  • 김소희 ((주)키미하우스) ;
  • 서민우 (상명대학교 대학원 조형예술디자인학과) ;
  • 한영호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디자인학과)
  • 투고 : 2012.12.31
  • 심사 : 2013.02.08
  • 발행 : 2013.02.28

초록

In the modern society, phenomena such as a decrease in population and an increase in urban small houses caused by demographic changes, a decrease in midium-large housing constructions, and the concentration of one to two person families in the capital area cultivated ground for the growth of small house market. In response to these trends, interior coordination becomes a critical factor to be applied to the small houses in order to suit the residents' needs in most convenient, efficient and aesthetic ways. Therefore, an evaluation element is in demand to extract, evaluate and constantly improve the interior coordination elements. This study extracts and analyzes the essential elements required for small houses into spatial structure, system coordination and interior coordination. In domestic cases, most of spatial structure was conventional and linear while in foreign countries, various variations were found to reflect the needs from different consumers. For the system coordination, convenience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to emphasize on the easy use of digital system and built-in appliance system in domestic cases. However, in foreign countries, safety issue and economic aspects were the most considered when it comes to the interior coordination. In regard to interior coordination, installations of the storages for the limited small spaces that also support as extended spaces were rare to find in both cases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ttings. It is expected that systematic studies focused on more objective standards for interior coordination shall be implemented to provide indicators to measure the interior coordination cases in the near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민영, 모델하우스에서의 디스플레이 디자인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 김소희, 실내디자인 스타일 유형화에 따른 주거 코디네이트 연출방법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 김소희,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트 평가지표 구축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4. 김현주, 모델하우스에 나타나는 홈인테리어 오브제 연출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5. 박미경, 주거 공간 코디네이션에 대한 연구-아파트단위세대 연출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6. 박민서, 디자인 호텔 실내코디네이션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혼성적 개념을 반영한 객실공간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7. 백진영, 브랜드 아파트 모델하우스의 인테리어 코디네이션 특성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8. 신수현, 국내 특급호텔의 웨딩 공간 인테리어 코디네이트 특성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9. 이미연, 국내 주상복합 아파트의 인테리어 코디네이트 연출사례 분석에 대한 연구-중대형 평형 거실공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0. 이지영, 주거 공간 인테리어 코디네이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1. 김소희,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션 요소 선호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1권 5호 통권94호, 2012
  12. 서민우, 강소주택 실효성 논의를 위한 일본 소형주택 공간사례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1권 1호 통권90호, 2012
  13. 국토해양부, 도시형 생활주택 가이드,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