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Features of Space Perception shown at Intention of Observing the Space of Cafeteria

카페공간의 주시의도에 나타난 공간지각 특성에 관한 연구

  • 최계영 (경남정보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과)
  • Received : 2012.11.08
  • Accepted : 2013.01.09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is study, with a space of cafeteria for the object, selected adjective and space for space evaluation based on existing dissertations and experts' survey so as to analyze the perception features by adjective into perception types. At space evaluation, the purpose of visiting the cafeteria was setup for test. Analysis of what perceptual information on the space was acquired enables to set up any features at a space and the direction of designing. The approach through the evaluation of space perception assigning this kind of observing intentionality can be applied to emotion technique which connects a designer to customers.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reached. Frist, the difference at perception type by gender is formality, which is higher with women than men. When it is considered that other types are identical, it can be seen that the formality is the perception type to decide the selection of gender and has the highest average value among all the three types. On the whole, men have the tendency for regarding spaciality as the most important, while women have that for looking upon formality as such. Second, to the question what element they would see first when visiting for conversation, men and women answered respectively that they would see partition (35.6%) and chairs (38.0%). Men had a very strong propensity for the element of area section(partition) supporting the activity of purpose and women regarded the element of behavior support(chair) carrying out the activity of purpose as important. Third, the analysis of deviance shown at the formality of perception type showed that men had dispersive selection at the process of selecting all adjectives and their features at the process of space perception were higher than spaciality and fancine.

Keywords

References

  1. 박혜숙, 생활양식에 따른 실내디자인 선호유형, 연세대 박사논문, 2001
  2. 앨런피즈 바바라피즈, 말을 듣지 않는 남자, 지도를 읽지 못하는 여자, 이종인 옮김, (주)가야넷, 2000
  3. A.G. 카플란, 성의 심리학, 김태련,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0
  4. 공지연.이창노, 감성디자인을 적용한 브랜드 커피전문점의 인테리어디자인 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9권 5호, 2010.10
  5. 서형수, 성별에 따른 카페 인테리어 디자인 요소에 대한 감성공학적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5권 1호, 2006.02
  6. 신동관 한영호, 실내디자인 이미지 유형의 특성에 따른 표현어휘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7권 6호, 2008.12
  7. 손광호 최계영, 실내공간의 디자인유형에 나타난 성별 지각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1권 4호, 2012.8
  8. 이성미, 공간디자인의 감성에 대한 개념적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7권 1호, 2008.2
  9. 유용석.정유나, 커피전문점의 브랜드아이덴티티와 실내디자인의 상관성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3권 1호, 2011.5
  10. 장윤혜 박성신, 브랜드 커피 전문점의 마케팅 전략에 영향을 주는 공간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9권 5호, 2010.10
  11. 장희나 최상헌, 브랜드 커피전문점의 공간디자인 구성요소와 마케팅과의 관계 분석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9권 2호, 2010.04
  12. 정아영.오영근, 공간연구에 있어서 감성적 연구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7권 1호, 2008.10
  13. 조성희.이미진, 마케팅관점에서 상업공간 인테리어 디자인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2권 3호, 2010.10
  14. 한명흠 오인욱, 감성 평가척도에 의한 공간 환경의 실증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9권 6호, 2010.12
  15. 한명흠, 여성사용자의 평가어휘지표에 의한 공간 환경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6호, 2011.12
  16. 최계영, 실내공간이 이미지평가를 위한 주시특성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7. 최은희.권영걸, 지각적-인지적 판단과 감정적 판단에 따른 복잡성과 선호도의 관계,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3호, 2006.3
  18. 최주영 외 3, 실내공간의 이미지 평가에 나타난 주시시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5호, 2011.10
  19. 최주영 외 4, 실내공간의 주시에 나타난 정보획득율과 주시시간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65호, 20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