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and Developments of Design Culture Diffusion Policies shown in Domestic Design Promotion Comprehensive Plans

디자인문화 확산을 위한 국내 디자인진흥정책의 유형과 변화에 관한 연구

  • 박병민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실내건축설계학과) ;
  • 심은주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실내건축설계학과)
  • Received : 2013.03.31
  • Accepted : 2013.06.07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Since 1993,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has carried out Design Promotion Comprehensive Plan every 4 years and due to the institutes founding purpose the plans are mainly focused on enhancing quality of merchandise goods. However due to social and economic changes now enhancing quality of cultural living through design is becoming important as ev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r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design policies and programs to diffuse design culture in the plans. The researchers have inquired proceeding studies on cultural and design policies and also looked into cases that were carried out in Europe to diffuse design culture. By analyzing EU's Cultural Policies four means were found: Education, Exchange, Participation, and Shar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beginning main focus was to educate people about the importance of design and what good design is, in bureaucratic ways. In the Secondary plan, reaching out to local regions begin to show in order to diffuse design culture that was and still is mainly centered around Seoul. Thirdly plan shows more exchanges but not only limited to domestic regions but international wide. In the Forth plan, participation programs and those engaging design to solve social problems are shown but still not much attention is payed to sharing.

Keywords

References

  1. 김복수 외 5명, '문화의 세기' 한국의 문화정책, 보고사, 2003
  2. 노화준, 정책학원론, 박영사, 2007
  3. 오광수, 사회적 배제 개념을 활용한 문화예술정책의 새로운 방향성 모색,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8
  4. 이일규.김태완, 디자인 정책, 세계디자인경영연구원, 2009
  5. 정경원, 사례로 본 디자인과 브랜드 그리고 경쟁력, 웅진북스, 2004
  6. 홍종열, 유럽연합(EU)의 문화산업과 문화정책,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2
  7. Guy Julier, 디자인문화, 박주영 역, (주)디자인네트, 2008
  8. 홍종열, EU의 문화정책 아젠다 속에 나타난 글로컬라이제이션,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논문, 2011
  9. 김종균.장호익, 선진국 디자인 진흥체제의 유형과 한국의 발전 방향연구, 디자인학연구 한국학술대회발표집, 2009
  10. 김여수, 문화정책의 이념과 방향, 문화예술논총 제1집,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문화발전연구소, 1988
  11. 이윤경 외 3명, 문화적 관점에서 본 디자인 산업 지원 정책 개발,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6
  12. 정선기, 지역문화정책의 방향과 과제, 대전발전포럼, 2004, 12호
  13. 황혜진, 국가주도형 프랑스 문화정책과 시사점, 유라시아연구 제7권 통권16호, 2010
  1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동향분석(10호), 해외동향분석_문화 정책과 사회통합 외, 2010
  15. 권영걸, 문화융성의 기초 문화기본권, 서울신문, 2013.03.08
  16. 상공부, 제1차 산업디자인진흥종합계획, 상공부, 1993
  17. 산업자원부, 제2차 산업디자인진흥종합계획, 산업자원부, 1998
  18. 산업자원부, 제3차 산업디자인진흥종합계획, 산업자원부, 2003
  19. 지식경제부, 제4차 산업디자인진흥종합계획, 지식경제부, 2008
  20. 한국디자인진흥원 정책개발팀, 디자인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 Dott07 번역본, 해외디자인정책자료, 2010
  21. 한국디자인진흥원 정책개발팀, 혁신국가 디자인하기, 2010(http:// goo.gl/kgGG9)
  22. Davide Report 2011
  23. http://www.designcouncil.org.uk/our-work/challenges/Commuities/ Dott-07/
  24. http://www.designcouncil.info/mt/RED/
  25. http://www.metro.tokyo.jp/KOREAN/PROFILE/policy10_3.htm
  26. http://www.bh-project.jp/kr/about/tabid/246/Default.as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