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ANAA의 뮤지엄 공간구성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위계성'의 표현 특성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on on 'The new hierarchy' that Appear in the SANAA's Space Configuration of Museum

  • 신소명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전시디자인) ;
  • 윤상영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전시디자인) ;
  • 윤재은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실내디자인학과)
  • 투고 : 2013.06.29
  • 심사 : 2013.08.09
  • 발행 : 2013.08.31

초록

As a period of pluralism, today's museum architecture has been expanding social and cultural meaning. So, Various expressions are appearing in museum architecture. Accordingly, the museum must be very reproducible and comply with aesthetic requirements. At the same time, museum construction in urban design and features must satisfy professional requirements. SANAA is one of contemporary architects has been decisively deleted existing fixed and functional layout type of program through 'The new hierarchy'. Thus, the experience of the space will vary. Now, museum space is urgently needed than ever before crustal movements. Thu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an alternative to the museum spac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hrough 'The new hierarchy' of SANAA. This paper is limited to the cases of the SANAA's museum architecture.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on on 'The new hierarchy' appear in the museum space configuration and then, examine the value of the spatial. SANAA's 'New Hierarchy' is going to set the cognitive boundary by expression targeting plane and the surface. It is completely different than the previous boundaries.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represents non-centrality, decentrally, non-oriented, uncertainty, non-territorialization, uniformity. It is steady that identity of Space, Human, Environment in Museum. They have a relationship each concept of Independence, autonomy, equa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길성호, 수용미학과 현대건축, Spacetime, 2003
  2. 문정묵, 미술관 속의 아메바, 한국학술정보(주), 2006
  3. 비토리오 마냐고 람푸냐니.안겔리, 세계의 미술관, 양효실 외역, 한길사, 2005
  4. 서상우, 뮤지엄건축-도시속의 박물관과 미술관, 살림, 2005
  5. 최욱, One O One architects, 서강총업출판사, 2008
  6. Grima Joseph외, Shift, SpringerVerlag, 2008
  7. Philip Jodidio, Serpentine Gallery Pavilions, Tashen, 2011
  8. 강주연, 1980년대 이후 미술관 공간의 후기모던적 특성에 관한 연구, 홍대 석론, 2006
  9. 김지현, 빛의 유입에 따른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 루이스 칸을 중심으로, 홍대 석론, 2007
  10. 문주란, 한국전통공간에서 나타난 위계성과 적용에 관한 고찰, 성균관대 석론, 2011
  11. 이미란, 현대건축 공간구조의 다의적 표현과 경계의 양상, 중앙대 석론, 2008
  12. 이준수, SANAA 건축에 나타나는 비재현적 공간의 생성에 관한 연구, 홍대 석론, 2011
  13. 장서윤, 현대 박물관 건축의 소비 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 석론, 2006
  14. 조영국, 마포 ARTISTEL COMPLEX COMMUNITY 시설 계획, 홍대 석론, 2007
  15. 서정일 외, SANAA의 건축에서 '분위기'의 개념과 구현방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10호, 2010
  16. 이성훈, 마리오보타 Mario Botta의 미술관 건축 공간구성 특성 연구, 한국박물관건축학회논문집 제2호, 1999
  17. 정순목 외, '경계'의 개념으로 본 현대건축의 경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1권 1호, 2005
  18. 홍근표 외, 차이와 반복의 관점에서 본 Mies와 SANAA의 건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8권 12호, 2012
  19. ELcroquis Editorial : Sanaa 1983-2004, 2007
  20. ELcroquis 139 : Sanaa 2004-2008, 2008
  21. ELcroquis 155 : Sanaa 2008-2011,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