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과학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제16권1호
- /
- Pages.43-52
- /
- 2013
- /
- 1226-8593(pISSN)
- /
- 2383-613X(eISSN)
대학생 소비자에게 미치는 "시간 대 돈 효과" : 조절변인으로써의 제품유형
"The time vs. money effect" on undergraduate consumers' responses : Product type as a moderator
- Chung, Eun Kyou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ekseok University) ;
- Kim, Hyun Jung (Department of Psychology, Yonsei University) ;
- Lim, Ga Young (Department of Psychology, Yonsei University) ;
- Sohn, Young Woo (Department of Psychology, Yonsei University)
- 투고 : 2012.10.25
- 심사 : 2013.01.31
- 발행 : 2013.03.30
초록
시간과 돈 효과는 시간이라는 개념이 돈보다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태도 및 의사결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간과 돈을 어떻게 사용하는가는 각 개인의 정체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시간은 경험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시간은 물질적 제품보다 경험적 제품에 대해 좀 더 긍정적인 소비자 반응을 유발하는 반면, 돈은 소유로 대표되는 물질주의적 가치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경험적 제품보다는 물질적 제품에 대해 좀 더 긍정적인 소비자 반응을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제품유형에 스마트폰을 더하여 시간과 돈의 효과가 소비자의 반응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기존에 자신이 사용하였던 제품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의 만족도에 대해 시간과 돈 활성화 조건과 3 가지 제품유형(패밀리 레스토랑, 스마트폰, 고급브랜드청바지)간의 상호작용이 관찰되었으며, 스마트폰에 있어서는 시간활성화가 돈활성화보다 높은 만족도를 유발하였다. 실험 2에서는 실험1에서 사용된 제품유형에 대한 이미지 광고를 사용하여 시간과 돈 효과를 살펴보았다. 제품에 대한 태도, 만족도, 구매의사, 개인적 관련성 변인 모두에서 시간돈활성화 조건과 제품유형간의 상호작용이 관찰되었으며, 역시 스마트폰에서만 유의미한 활성화조건간 차가 관찰되었다. 아울러 활성화조건의 주효과도 관찰되어 시간활성화 광고가 돈활성화 광고보다 훨씬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실용적 함의점이 논의되었다.
"Time versus money effect" refers to a favorable shift in consumers' responses activated by time(vs. money). In general, how people spend their time or money could reflect one's personal identity. Previous research indicates that drawing individuals' attention to time makes more effective in product satisfaction rather than money. Also, whereas because time is experienced as an experience, time activates more positive product satisfaction for experiential product rather than materialistic product, money has the reverse effect because money relates with possessions.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ime and money on consumers' attitudes and decisions and the role of product type including smartphone.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evaluated their experiences or their own products(family restaurant, smartphone, premium jean). They satisfied more with their smartphones when activated by time than by money. In experiment 2, 3 image ads, a promotion image ad for each product(family restaurant, smartphone, premium jean), were offered to find the effect of time and money in promotion ads.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ctivating condition and product type were revealed on the product attitudes, product satisfaction, purchase intent, and personal connection reflecting the consistent time effect on smartphone. In addition, the main effect of the activating condition was significant which meant time activating ads were more effective than money activating ad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