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Flood Risk Index for Roads Considering Real-time Rainfall

실시간 강수량을 고려한 도로 침수위험지수 개발 방법에 대한 연구

  • 김은미 (부경대학교 정보시스템협동과정) ;
  • 황현숙 (부경대학교 정보시스템협동과정) ;
  • 김창수 (부경대학교 IT융합응용공학과)
  • Received : 2013.02.12
  • Accepted : 2013.03.07
  • Published : 2013.05.31

Abstract

The damaged district by flooding has been changed from mainly farmland to cities due to the weather phenomena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ast. This has caused not only irreparable damage of people's lives and property but social infrastructures. There also exist serious damages such as isolation of drivers and traffic jam as the roads were flooded.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method to develop a flood risk index focused on not Si, Gun or Gu but roads. In addition, flood risk index in the roads just at the moment, when it rains quantitatively, will be provided by using real-time rainfal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Weather Center. Then it should be helpful to prevent people from being isolated by flooded roads in advance.

과거와는 다른 형태의 기상 현상으로 인해 농경지 중심의 침수 피해가 도시 지역의 내수 침수 피해 중심으로 홍수 피해 지역이 변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인명 및 재산 피해뿐만 아니라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피해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도로 침수로 인해 운전자의 고립 및 교통 체증의 심화로 인해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거 기상 정보 및 침수 피해 이력을 활용하여 시 군 구의 행정 구역 형태로 제공되던 침수위험지수를 도로 중심의 집약적인 형태로 제공하는 방법을 시도하고자 한다. 또한 기상청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성격의 강수량을 활용하여 강우 당시의 도로별 침수 위험 정도를 정량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침수된 도로에 의한 고립을 사전에 방지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여창건, 서근순, 송재우, "GIS를 이용한 도시홍수에 대한 지역안전도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4권, 제3호, pp. 68-77, 2011. https://doi.org/10.11108/kagis.2011.14.3.068
  2. 주진걸, 이정호, 박무종, "풍수해 위험환경 평가 모형 개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12권, 제5 호, pp. 75-81, 2012.
  3. 이정호, 이원우, 김중훈, 전환돈, "Fuzzy CMeans (FCM)를 이용한 도시유역 침수위험도 산정,"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11권, 제4호, pp. 229- 235, 2011.
  4. 임광섭, 최시중, 이동률, 문장원, "홍수지표의 인과관계를 이용한 홍수위험지수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30권, 제1B호, pp. 61-70, 2010.
  5. 백승균, 장동호, "고해상도 기온 및 강수 분포도 작성을 위한 공동크리깅 적용성 평가," 기후연구, 제6권, 제3호, pp. 242-253, 2011.
  6. 홍기옥, 서명석, 나득균, 장동호, 김찬수, 김맹기, "GIS와 PRISM을 이용한 고해상도 격자형 기온자료 측정," Atmosphere, 제17권, 제3호, pp. 255- 268, 2007.
  7. 김태형, 한건연, 조완희, "홍수위험지도 활용을 위한 낙동강 유역에서의 홍수취약도 분석," 한국지리정보확회지, 제14권, 제3호, pp. 203-222, 2011.
  8. 윤하연, 인천광역시 환경지표의 개발과 적용, 인천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 1999.
  9. 이중기, 김창수, "스마트 폰을 이용한 재난정보 수집 애플리케이션 구현,"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 108-114, 2012.
  10. Kim. E.M, Hwang. H.S, and Kim. C.S, "A Study on the Flood Risk Index Considering Real-time Informatio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NSI 2012, pp. 501-505, 2012.

Cited by

  1. A Study on the Big Data Analysis System for Searching of the Flooded Road Areas vol.18, pp.8, 2015, https://doi.org/10.9717/kmms.2015.18.8.925
  2. Study on the Method of Development of Road Flood Risk Index by Estimation of Real-time Rainfall Using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Weighting Method vol.17, pp.4, 2014, https://doi.org/10.9717/kmms.2014.17.4.478
  3. 실시간 기상 및 대기 데이터를 활용한 도시안전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vol.21, pp.5, 2013, https://doi.org/10.9717/kmms.2018.21.5.599
  4. Impact Assessment of Urban Flood on Traffic Disruption using Rainfall-Depth-Vehicle Speed Relationship vol.12, pp.4, 2013, https://doi.org/10.3390/w12040926
  5. 가용 침수 자료를 활용한 도심지 침수 해석 모형의 평가 절차 수립 및 표준화 vol.35, pp.2, 2013, https://doi.org/10.14346/jkosos.2020.35.2.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