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문화예술교육에서 애니메이션에 대한 논의 분석

A Discussion and Analysis of Animation in a Culture and Art Education

  • 투고 : 2013.05.01
  • 심사 : 2013.05.25
  • 발행 : 2013.06.30

초록

과학적 합리성,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상상력과 통찰력, 예술적 창조성을 중요시하는 현대사회의 교육은 지식정보의 단순한 전달과 암기나 기능중심의 교육보다는 역사적 문맥의 폭넓은 이해, 학습자의 반성적 판단력, 창의적 기획력, 의사소통능력, 인지와 감성의 통합, 매체해석과 활용능력을 함양하는 문화예술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영상예술분야인 애니메이션의 교육담론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으로서 가치와 중요성, 향후 방향에 대해 살펴봄을 목적으로 한다.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은 영향력이 막강한 예술장르간의 융합, 학제간의 융합을 유도하여 탈장르의 형태로 인간의 삶과 문화를 변화시키며 다양한 교육방법과 실천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편, 국가차원의 문화복지 성격의 예술교육정책이 추진되고, 국민들의 문화예술의 향수권과 사회문화교육이 점차 확대되는 시점에서, 통합적 문화예술로서 애니메이션의 교육적 역할 증대와 학문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애니메이션의 교육학적 역할 재정립, 애니메이션교육의 다양화와 대중화, 애니메이션 전문 교육인력양성, 애니메이션 인프라확대와 종합교육지원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In the contemporary modern society, information and knowledge generate a set of new social values. These changes demand a transformation not only in socio-cultural and educational spheres, but also, specifically,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Culture and Art education emphasizes the integration and cross-discipline of other related fields which have great impact on culture and arts. This study applies theoretical analysis of Animation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imation education take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integrate various subject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imation, as a form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lays an educational role in the social classroom. Animation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expanded to become a regular classroom course. The goal of Animation education is to pursue and develop a connection with other educational courses of study. In order to strengthen the role of Animation education, we should first re-structure the pedagogical role of Animation education. Secondly, Animation education needs to become a diversified and popularized education. Third, the cultivation of creative human resources is considered of vital importance to Animation education. Finally, the expansion of infrastructure and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for Animation education has to be establish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선아, 문화예술교육 핵심 용어 정립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년.
  2. 김대현.이영만, 학교 중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양서원, 1995년.
  3. 김세훈,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년.
  4. 김재웅 외,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만화애니메이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년.
  5. 김재웅 외, 한국 단편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문화예술 교재 개발, 경기문화재단, 2009년.
  6. 김종백, 문화예술분야 교수학습방법론 개발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년.
  7. 문광부.WCAE 조직위원회,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결과 보고서, 2010년.
  8. 문병호, 문화산업시대의 문화예술교육, 자연사랑, 2007년.
  9. 문화연대편, 2009년, 문화예술교육 정책은 아직 존재하는가?, 문화연대, 2009년
  10. 박신의, 2011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분석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년.
  11. 박은영, 문화예술 교재분석 및 개발방안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년.
  12. 황정현 외, 문화예술교육과정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년.
  13. 백 령, 2005 문화예술교육 우수사례모델 개발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5.
  14. 류정아, 2006 문화예술교육정책백서, 문화관광부, 2007년.
  15. 손기환.조정래, 애니메이션의 이해와 감상, 보고사, 2005년.
  16. 신승환, 문화예술교육론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년.
  17. 신승환, 문화예술교육의 철학적 지평, 한길아트, 2008년.
  18. 심광현 외, 이제 문화교육이다, 문화과학사, 2003년.
  19. 양현미, 문화예술교육활성화를 위한 정책기반 조성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년.
  20. 이병준 외, 문화역량과 문화예술교육 교육과학사, 2010년.
  21. 최보연 외, 국가별 학교 문화예술교육정책 자료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년.
  22. 최현묵, 문화예술 교육과 지역문화 정책, 해조음, 2011년.
  23. 정갑영, 초등생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1년.
  24. 콘텐츠산업과 문화정책연구소, 문화 예술교육과 문화 정책, 북코리아, 2012년.
  25. 한국교육과정평가원편집위, 초등학교 통합 교과 교육과정 개정(시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년.
  2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편, 해외 문화예술교육 현황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5년.
  2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편, 2010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 제1차 예술 교육에서의 인간 이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년.
  28.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편, 2010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 예술교육의 포괄성과 접근성,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년.
  29.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편, 2010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 예술교육의 Framework,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년.
  30. 황금숙, 방과 후 학교를 위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모형 개발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년.
  31. 황동렬, 문화학습기회 확대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운영방안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0년.
  32. 황정현 외, 문화예술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년.
  33. 강석훈, "한국 문화예술교육의 정책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목원대 석사학위논문(2011).
  34. 김숙정, 한국문화예술교육의 전망과 과제, 2009 문화예술교육의 전망과 비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년.
  35. 김은진.임병노,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융복합 학문의 시대적 흐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3)(2012), pp.102-113. https://doi.org/10.5392/JKCA.2012.12.03.102
  36. 김자현, 해외 문화예술교육 사례 발표, 강릉지역 문화예술교육 담당자 워크숍자료, 2006년.
  37. 박신자,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방향, 디자인디지털학연구, 제10권 제4호 통권28호(2010.10), pp.199-208.
  38. 박유신, "애니메이션 창작교육에서 내러티브의 교육적 가치", 중앙대 박사학위논문(2012).
  39. 백형찬, 국가전략교육으로서 문화예술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전문대학교육연구학회논문집, 2005년.
  40. 안혜리.조정래, 문화예술교육 온라인 예술통합교육에서 유희적 측면의 활용 가능성, 조형교육, 2007년.
  41. 이동연,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안 모색,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방안, 문화관광부, 2003년.
  42. 이동연, 문화예술교육, 그 이념과 가치, 문화예술교육 4차 포럼 자료집, 2007년
  43. 황금숙, 도서관에서의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2008년.
  44. 황연주, 문화교육과 예술교육의 관계 고찰, 예술교육연구, 2007년.
  45. 홍성만 외,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우선순위 탐색,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12년.
  46. NAGB, Arts education assessment framework, 2008.
  47. Blue Print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Moving image, NewYork City Department of education, 2007.
  48. BFI, Film Institute, Moving Image in the Classroom, English&mediacenter, 2000.
  49. ACARA, Shape of the Australian Curriculum:The Arts,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