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를 이용한 노인복지관 의료복지사업 효율성 분석

Analysis of the medical and welfare projects Efficiency of Senior Welfare Centers by DEA Model

  • 김금환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Kim, Keum Hwan (Dept. of Social Welfare, Seoul Social Welfare Graduate University)
  • 투고 : 2013.05.20
  • 심사 : 2013.06.18
  • 발행 : 2013.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노인복지관별 효율성 수준과 효율성 차이의 원인은 무엇인가 둘째, 어느 요소들이 노인복지관별 효율성 차이에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의 크기는 어느 정도인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관이 직면한 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효율성 측정방법을 검토하고, 그 중에서 상대적 효율성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과 Tobit 분석을 포함한 다양한 DEA 사후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24개 노인복지관으로 한정하였으며, 2011년도 1년간의 운영자료를 이용하였다. 또한, 노인복지관 서비스제공 사업영역중 의료복지사업에 한정하였으며, 상근근무자 등 내적요소만을 투입요소로 하는 모형1과 지역내 노인인구를 포함하는 모형2로 구분하였고, 각각 CCR분석과 BCC분석을 진행하여 유효한 결과값을 산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성에 대해서는 후속적인 보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본 연구는 DEA 모형을 이용한 노인복지관의 효율성 분석을 위한 일반적 규범을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효율성 결과값을 이용한 다양한 사후분석의 통합연구를 통해 노인복지관의 운영서비스와 관련하여 많은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는 적지 않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senior welfare centers and the cause of differences among senior welfare centers in that regard, and to investigat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differences in efficiency and the size of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What methods would be effective at assessing the efficiency of senior welfare centers by taking into account their circumstances was reviewed, and post-hoc analyses were made b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and Tobit analysis, which were useful tools to evaluate relative efficiency. After 24 senior we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their yearly operating data of 2011 were utilized. In this study, we set limits to the medical welfare of the elderly welfare services business, and divided into model 2 including the elderly population in the region and model 1, input factors for only internal factors, such as full-time workers. We calculated a valid result by proceeding a BCC analysis and analysis of CCR respectively. A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follow-up research should be implemented. Yet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ed to present general norms for the efficiency analysis of senior welfare centers by using a DEA model and made various post-hoc analyses based on the efficiency data to give significant suggestions on the service of senior welfare cente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