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창업자 멘토링: 어떻게 창업의도로 연결되는가?

Mentoring Nascent Entrepreneurs: What Leads to Intention?

  • Lee, Il Han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College of Business and Economics, Chung-Ang University)
  • 투고 : 2013.05.20
  • 심사 : 2013.06.12
  • 발행 : 2013.06.30

초록

대학과 대학원 학생의 창업역량과 창업장애물의 인식은 멘토링의 발전에 중요성을 가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부분의 사업을 시작하는 창업의도에 대해 기여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창업능력과 창업장애물이 창업경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며, 다음으로 창업경험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며, 마지막으로 창업경험과 창업의도간의 관계에 창업멘토링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139개의 샘플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창업역량은 창업경험의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장애물은 창업경험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며, 창업경험은 창업의도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창업경험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창업멘토링 조절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향후에는 창업멘토링의 영향력을 세분화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본 연구에서는 창업멘토링의 측정문항을 외국 문헌의 자료를 인용하여 사용하였기에 우리나라 실정에 약간은 맞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다.

The identification of the entrepreneurs' capacity and the obstacles of university/graduate school students have been assuming a growing importance in the development of mentoring directed towards the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process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most contribute for the intention to start up a business. The research also tries to identify the profile of a potential entrepreneur student concerning several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capacity, obstacles and mentoring. We used the modeling testing of the data collected from 139 university/graduate school students. Research findings include the idea that entrepreneurial mentoring is moderating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On the other side, personal entrepreneurial capacity has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motivation to start-up a business and entrepreneurial obstacle have a negative impact in the intention to start-up. Contribution and suggestions are provided for the further researc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