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국립환경과학원, 2012, 기후변화 부문별 취약성 지도.
- 권혁춘, 이병걸, 이창선, 고정우, 2011, 로지스틱회귀분석기법과 인공신경망기법을 이용한 제주지역 산사태가능성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9(3), 33-40.
- 김경수, 김원영, 채병공, 송영석, 조용찬, 2005, 강우에 의해 발생된 자연사면 산사태의 지질공학적 분석 -용인.안성지역을 대상으로- , 대한지질공학회지 15(2), 105-121.
- 김기흥, 정혜련, 박재현, 마호섭, 2011, 경남지역 산사태 발생지의 강우 및 지형특성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4(2), 33-45.
- 김석우, 전근우, 김진학, 김민식, 김민석, 2012, 2011년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발생특성분석, 한국임학회지 101(1), 28-35.
- 박종민, 마호섭, 강원석, 오경원, 박성학, 이성재, 2010, 전라북도 지역의 산사태발생 특성분석, 농업생명과학연구 44(4), 9-20.
- 연영광, 2011, 로지스틱 회귀분석 기법을 이용한 강원도 산사태 취약성 평가 및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4), 116-128.
- 오치영, 김경탁, 최철웅, 2009, SPOT5영상과 GIS분석을 이용한 인제지역의 산사태 특성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5(5), 445-454.
- 윤홍식, 이동하, 서용철, 2009, GIS 기법 및 발생자료 분석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4), 59-74.
- 이명진, 이사로, 전성우, 2012, 미래 확률강우량 및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도 분석기법 개발 및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2), 57-70.
- 이부경, 2003, 지질방재공학, pp. 241-245.
- 이수곤, 1999, 부산지역의 산사태 위험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2(2), 9-23.
- 이진덕, 연상호, 김성길, 이호찬, 2002, 산사태의 발생가능지 예측을 위한 GIS의 적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1), 38-47.
- 조명희, 조윤원, 2009, 기상과 지형자료를 통합한 산사태 위험지 예측 기법 개발 -울진지역을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2), 1-10.
- Elith J., Ferrier S., Huettmann F., and Leathwick J., 2006, The evaluation strip: A new and robust method for plotting predicted responses from species distribution models, Ecol Model 186(3), 280-289.
- Felicisimo, A., Cuartero A., Remondo J. and Quiros E., 2012, Mapping landslide susceptibility with logistic regression, multiple adaptive regression splines,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and maximum entropy methods: a comparative study, Landslides (7 March 2012), pp.1-15.
- Mathewson, C.C., Keaton, J.R. and Santi, P.M., 1990, Role of Bedrock Ground Water in the Initiation of Debris Flows and Sustained Post-Flow Stream Discharge, Bulletin of the Association of Engineering Geologists 27(1), 73-83.
- Phillips, S.J., Anderson R.P. and Schapire R.E., 2004. A maximum entropy approach to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In: Proceedings of the Twenty-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Banff, Alberta, Canada, p. 83 ff.
- Phillips, S.J. and Dudik, M., 2008. Modeling of species distributions with Maxent: new extensions and a comprehensive evaluation. Ecography 31, 161-175. https://doi.org/10.1111/j.0906-7590.2008.5203.x
- Pradhan B. and Lee S., 2010, Delineation of landslide hazard areas on Penang Island, Environment Earth Science 60, 1037-1054. https://doi.org/10.1007/s12665-009-0245-8
- Vorpahl, P., Helmut E., Michael M. and Boris S., 2012, How can statistical models help to determine driving factors of landslides?, Ecological Modelling 239, 27-39. https://doi.org/10.1016/j.ecolmodel.2011.12.007
Cited by
- Policy Decision Making Through Wildlife Habitat Potential With Space Value Categorization vol.18, pp.1, 2015, https://doi.org/10.13087/kosert.2015.18.1.1
- Large-Scale Slope Stability Analysis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 (2): Analysis of Application Results vol.17, pp.3, 2014,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3.001
-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참매의 서식지 예측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vol.29, pp.3, 2013, https://doi.org/10.13047/kjee.2015.29.3.333
- A Study on the Riskiness and Expansion of Climate Change Risk : Focusing on landslide risk vol.28, pp.2, 2013, https://doi.org/10.21480/tjrm.28.2.201706.003
- 공간최적화 모델을 활용한 환경계획의 공간화 방안 vol.21, pp.2, 2013, https://doi.org/10.13087/kosert.2018.21.2.27
- 토양유실을 고려한 양서파충류의 서식지 관리지역 선정방법 vol.21, pp.6, 2013, https://doi.org/10.13087/kosert.2018.21.6.55
- 종 분포 모형을 이용한 국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위험지역 추정 vol.36, pp.1, 2013, https://doi.org/10.17555/jvc.2019.02.36.1.23
- 인구 감소 현상에 따른 목포시 빈집 및 공지의 공간적 분포 전망 vol.23, pp.2, 2013, https://doi.org/10.13087/kosert.2020.23.2.33
-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of photovoltaic power stations in Gangwon-do, Republic of Korea vol.12, pp.1, 2013, https://doi.org/10.1080/19475705.2021.1950219
- 수달의 보전을 위한 전국자연환경조사 시계열 자료 기반 잠재 서식적합지역 분석 - 강원도를 대상으로 - vol.35, pp.1, 2013, https://doi.org/10.13047/kjee.2021.35.1.24
- Multi-Model Approaches to the Spatialization of Tree Vitality Surveys: Constructing a National Tree Vitality Map vol.12, pp.8, 2013, https://doi.org/10.3390/f1208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