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교육대학교 신입생 대상 ICT 리터러시 능력 측정 분석

A Study on ICT Literacy Capability Measurement for University Freshmen of Education

  • 노현아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학과) ;
  • 정인기 (춘천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이원규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Noh, HyunA (Dept.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Korea University) ;
  • Jeong, InKee (Dept. of Computer Education,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Lee, WonGyu (Dept. of Computer Education, Korea University)
  • 투고 : 2013.08.05
  • 심사 : 2013.09.17
  • 발행 : 2013.09.30

초록

정보통신기술의 빠른 변화 속에서 디지털 교육 환경의 구축이 가속화됨에 따라 교육대학교에서의 올바른 정보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교육대학교 신입생의 정보교육에 대한 수준을 실질적으로 측정 및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실생활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창의력, 비판적 사고능력, 분석적 추론능력, 의사소통능력 등의 역량을 구체적인 수준에서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바로 ICT 리터러시이다. 본 연구에서는 ICT 리터러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검사 문항을 기존 연구에서 정의한 개념을 바탕으로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검사 도구로 교육대학교 신입생 360명을 대상으로 ICT 리터러시 능력을 측정한 후 교육대학교 신입생의 전체적인 ICT 리터러시 능력 수준과 성별, 내용영역, 능력요소별, 고등학교에서 정보교육을 이수했는지의 여부에 따라 ICT 리터러시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대학교에서 신입생의 정보교육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다가오는 미래사회에 대비하여 필수적으로 지녀야 할 능력을 지니기 위해 교육되어야 할 정보교육 방향의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the deployment of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has been accelerating in rapid chang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 tool is required to practically measure and evaluate the level of information education (IE) for freshmen in the University in order to propose an appropriate direction of IE in a teachers college. According to such current trends, ICT literacy is a tool to assess a specific level of capabilities such as a variety of real-world problem-solving skills,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analytic reason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is study has developed a test tool to measure ICT literacy competence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test questions defin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It was used to measure ICT literacy competence of 360 university freshmen of education and analyze if there is a difference among them depending on overall ICT literacy levels and genders, content areas, competence factors, and completion of IE course in high school.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expected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IE for freshmen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o be able to take advantage of basic data of the direction for IE course that university students need to essentially acquire in preparation for the coming future.

키워드

피인용 문헌

  1.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Digital Competence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vol.21, pp.3, 2015, https://doi.org/10.24159/joec.2015.21.3.179
  2. ICT Literacy Education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vol.76, pp.None, 2017, https://doi.org/10.21792/trijpn.2017..76.007
  3. SW교육을 위한 교사의 ICT 리터러시와 프로그래밍 능력 수준 측정 vol.7, pp.4, 2018, https://doi.org/10.3745/ktccs.2018.7.4.91
  4. SW교육 강화를 위한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 개선 요구 분석 vol.23, pp.1, 2013, https://doi.org/10.14352/jkaie.2019.2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