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n Adaptive Instruction System Applying Gregorc's Learning Style

Gregorc 학습 스타일을 적용한 적응형 교수 시스템 개발

  • Lee, Jaemu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t. of Computer Education)
  • 이재무 (부산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3.08.27
  • Accepted : 2013.12.20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n adaptive instruction system for individual learning. We applied Gregorc's learning style to support the adaption. This proposed Instruction system provides instruction content based on a more effective instruction method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learner's individual learning style. We applied Gregorc's learning style to create a clear treatment of differing learning styles. Proposed adaptive instruction system was applied to college students studying computer learning. A t-test indicated that our proposed adaptive instruction system resulted in positive effects in an overall style comparison. In addition, our Abstract-Sequential learning style indicated the most effective results while the Abstract-Random learning style indicated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in each style analysis for Gregorc's learning style.

기존의 교수 시스템들은 각 학습자들의 다양한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콘텐츠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각 학습자들의 학습스타일을 고려하여 최적의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적응형 교수 시스템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본 적응형 교수 시스템은 적응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Gregorc의 학습 스타일을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한 본 적응형 교수 시스템을 대학생들에게 적용하고 학습 효과를 분석하였다. 학습 효과 분석을 위하여 적응형 교수 시스템을 이용하는 집단을 실험집단으로, 비적응형 교수 시스템으로 학습하는 집단을 비교집단으로 구별하고, 독립표본 t 테스트를 통하여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적용결과, 이 연구에서 개발한 적응형 교수 시스템은 전통적인 교수 시스템과의 전체 학습자를 대상으로 비교한 결과, 학업 학업성취도 향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regorc 학습 스타일별로 효과 분석을 한 결과 활동순차적 학습 스타일이 가장 긍정적 학습 효과가 있었으며, 개념임의적 학습 스타일은 학습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Cited by

  1. 컴퓨터 평가 기반 학습 시스템 설계 및 개발 연구 vol.27, pp.4, 2013, https://doi.org/10.13000/jfmse.2015.27.4.1160
  2. 이러닝의 품질특성과 만족도에 관한 학습유형의 조절효과 vol.15, pp.12, 2013, https://doi.org/10.14400/jdc.2017.15.12.35
  3. 시뮬레이션활용 경영 교육의 품질요인과 성과에 대한 학습유형의 조절효과 vol.7, pp.4, 2013, https://doi.org/10.18807/jsrs.2017.7.4.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