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sabled Peopl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relationship

재가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의 관계

  • Received : 2012.10.30
  • Accepted : 2013.01.21
  • Published : 2013.01.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of lif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20 years of age or older and disabled people living in Gwangju, Naju area. Performance of Basic daily life activities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were investigating the extent to Learn these correlations, bivariate correlation analyz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lower quality of life, lower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quality of life and more relevant. Through this study of disabled people, more independent and to lead the life of quality is high, it is trying to be helpful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광주 나주 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재가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을 조사하였다. 기본적 일상생활활동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력과 삶의 질의 정도를 조사하였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이변량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력이 낮을수록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고,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이 삶의 질과 관련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재가장애인들이 보다 독립적이며, 질 높은 삶을 영위 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2010 보건복지통계연보", 보건복지부, 서울, 2010.
  2. 최경진, "농촌지역 재가장애인의 재활서비스 이용실태와 삶의 질",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구, 2011.
  3. 김완호, 이규범, 김수경, 임현정, 김선옥, 장숙랑, 고영미, "재가 장애인의 지속적 재활을 위한 보건의료 지원체계 구축", 보건복지부, 서울, 2003.
  4. Kennedy L. W., Northcott H. C. & Kinzel C., "Subjective evaluation of well-being: Problems and prospec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 5, No. 1, pp. 475-474, 1978 https://doi.org/10.1007/BF00352944
  5. Smith J. L.. "Community integration and quality of life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University of Alberta, 1995.
  6. Seybolt D. C., "Residential factors predicting community integr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serious and persistent mental illness"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2000.
  7. 지민경, "성인의 흡연과 치주질환의 관련성-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한국전자통신학회지, 7권, 4호, pp. 917-924, 2012.
  8. WHO., "The wor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WHOQOL) study Protocol", WHO, Geneva, 1993.
  9. 오세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삶의 질 비교연구 : 정신지체인을 중심으로", 재활복지, 10권, 2호, pp. 38-62, 2006.
  10. 박재국, 이미숙, "장애인 삶의 질(QOL)의 연구 동향", 재활과학연구, 40권, 2호, pp. 1-25, 2001.
  11. 황보옥, "여성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구, 2011.
  12. 박자경, "장애인 삶의 만족도 모형 구축 및 검증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서울, 2009.
  13. 김현영, "뇌졸중 환자의 퇴원시 독립적 기능수행과 가정간호 요구",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구, 2004.
  14. Synder M., "Independent nursing intervention. 2nd rev. ed", Albany, 1992.
  15. 이정원, 박수현, 김수경, 홍승표, 이지현, 박경영, "작업치료학", 한미의학, 2009.
  16. 이재신, "라쉬분석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용 일상생활수행 평가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2005.
  17. Fisher A. G., "The assessment of IADL motor skills: An application of any-faceted Rasch analysis", American Jou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46, No. 4, pp. 319-329, 1993.
  18. 고현아,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통합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 충남, 2009.
  19. 강미옥, "정신질환자의 항정신병약물 부작용과 약물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질,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2010.
  20. Katz S., Ford A. B., Moskowitz R. W, Jackson B. A. & Jaffe M. W., "Studies of illness in the aged: the in the aged: the index of ADL: a standardized measure of biological and psychosocial functio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185, No. 12, pp. 914-919, 1963. https://doi.org/10.1001/jama.1963.03060120024016
  21. 원장원, "한국형 일상생화활동 측정도구(K-ADL)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IADL)의 특징", 노인병학회, 6권, 1호, pp. 1-10, 2002.
  22. 원장원, 양금열, 노용균, 김수영, 이은주, 윤종률, 조경환, 신호철, 조비룡, 오정렬, 윤도경, 이홍순, 이영수,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IADL)의 개발: 항목채집에서 사전조사까지", 노인병학회지, 6권, 2호, pp. 107-120, 2002.
  23. Lawton M. P. & Brody E. M., "Assessment of older people: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Gerontologist, Vol. 9, No. 3, pp. 179-186, 1969. https://doi.org/10.1093/geront/9.3_Part_1.179
  24. 민성길, 이창일, 서진영, 김동기,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편형척도(WHOQOL-BREF)의 개발",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39권, 3호, pp. 571-579, 2000.
  25. 김현옥, 정경화, "농촌지역 재가 장애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지각된 건강상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8권, 2호, pp.252-265, 2007.
  26. 나은우, 김경미, 이일영, 심대섭, 이경석, 임인동, 고영득, "의왕시 거주 재가 등록 장애인의 삶의 질과 만족도", 대한재활의학회지, 26권, 5호, pp. 615-625, 2002.
  27. 정미정,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의 삶의 질",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서울, 2001.
  28. 오경희,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충북, 2002.
  29. 조복희, 고미혜, 김순영, " 재가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우울,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재활간호학회지, 6권, 1호, pp. 51-61. 2003.
  30. 김효명,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우울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서울, 2005.
  31. 김형선, 황영옥, 유재호, 정진화, 우희순, 정희승,"뇌졸중 환자의 우울, 재활동기,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권, 3호, pp. 41-53, 2009.
  32. Cho B. H., Ko M. H. & Kim S. Y., "A Study on Stroke Patient's ADL, Depression, Self- Efficacy and Quality of Life",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 6, No. 1, pp. 51-60, 2003.
  33. 윤숙자, "성인 정신지체인의 일상생활 수행정도와 사회적 교류분석을 통한 삶의 질 향상 방안",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부산, 2006.
  34. Viitanen M., Fugl-Meyers K. S., Bernspang B. & Fugl-Meyer A. R., "Life satisfaction on long-term survivors after stroke",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20, No. 1, pp. 17-24, 1988.
  35. Fuhrer M. J., Rintala D.H., Hart K.A., Clearman R. & Young M. E., "Relationship of life satisfaction to impairment, disability, and handicap among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living in the communit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73, No. 6, pp. 552-557, 1992.
  36. 박수경, "산재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1997.
  37. 백은령,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환경요인과 사회통합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가톨록대학교, 경기, 2003.
  38. Johansson U., Hogberg H., & Bernspang B., "Participation in everyday occupations in late phase of recovery after brain injury",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4, No. 2, pp. 116-125, 2007. https://doi.org/10.1080/11038120601095093
  39. Roth E. J. & Lovell L., "Community skill performance and its association with the ability to perform everyday tasks by stroke survivors one year following rehabilitation discharge", Top Stroke Rehabilitation, Vol. 14, No. 1, pp. 48-56, 2007. https://doi.org/10.1310/tsr1401-48
  40. Carod-Artal F. J., Gonzalez-Gutierrez J. L., Herrero J. A. E., Horan T. and Seijas E. V., "Functional recovery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llow-up 1-year after treatment in a stroke unit", Brain injury, Vol. 16, No. 3, pp. 207-216, 2002. https://doi.org/10.1080/02699050110103337
  41. 오장환, "수단적 일상생활수행이 뇌종중 환자의 우울과 삶의 질에 갖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2010.
  42. Hartman-Maeir A., Soroker N., Ring H., Avani N. & Katz N., "Activity,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ne-year post strok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 29, No. 7, pp. 559-566, 2007. https://doi.org/10.1080/09638280600924996
  43. 김정자, 김 진, "고령세대의 환경과 헬스 케어 시스템 주택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지, 7권, 4호, pp. 925-930, 2012.
  44. 김범준, "버퍼 크기 기반 자동재전송 프로토콜의 재전송 지속성 제어",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6권, 4호, pp. 487-492, 2011.

Cited by

  1. Research on Possible Method to Converge IT and Architectural Design Techniques for Efficient Design of Elderly Housing vol.17, pp.4, 2016, https://doi.org/10.7472/jksii.2016.17.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