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Deterioration Status on the Trails in the Gyeongju National Park - Focused on Mt. Toham, Mt. Nam, Mt. Danseok and Mt. Gumi District -

경주국립공원 탐방로의 훼손실태 분석 - 토함산, 남산, 단석산, 구미산 지구를 중심으로 -

  • Mun, Sung-Ju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 You, Ju-H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Gyeongju) ;
  • Hong, Kwang-Py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Gyeongju) ;
  • Heo, Sang-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Gyeongju)
  • 문성주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유주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 홍광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 허상현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Received : 2013.04.02
  • Accepted : 2013.06.17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ystematically maintain and manage the trails by assessing the types of deterioration and naturalness of trails located in Mt. Toham, Mt. Nam, Mt. Danseok and in the Mt. Gumi district of the Gyeongju National Park. The route length of Mt. Toham was 2.7km, 2.3km of Mt. Nam, 1.0km of Mt. Danseok and 2.7km of Mt. Gumi district. The numbers of measuring points in Mt. Toham were 37 units, 29 units of Mt. Nam, 16 units of Mt. Danseok and 40 units of Mt. Gumi district. In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nvironments, Mt. Danseok was the widest and Mt. Gumi was the narrowest in the width of trail. In the bared width of trail, Mt. Danseok was the widest and Mt. Gumi was the narrowest. In depth of erosion, Mt. Danseok was the deepest and Mt. Gumi was the shallowest. Mt. Danseok was the steepest and Mt. Nam was the gentlest in the longitudinal slope. In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types of deterioration, Mt. Toham were 10 types, 14 types of Mt. Nam, 11 types of Mt. Danseok and 9 types of Mt. Gumi district. The times of appearance of deterioration types in Mt. Toham were 69 times, 87 times of Mt. Nam, 67 times of Mt. Danseok and 71 times of Mt. Gumi district. The most common type was the exposure of root in 4 districts of Gyeongju National Park. In the results of assessing the naturalness, Mt. Toham was 2.1 score(II degree), 2.6 score(II degree) of Mt. Nam, 2.9 score(III degree) of Mt. Danseok and 2.0 score(II degree) of Mt. Gumi district. The average naturalness was 2.4 score and II degree.

본 연구는 경주국립공원의 토함산 지구, 남산 지구, 단석산 지구, 구미산 지구에 위치한 탐방로의 훼손유형과 자연도를 평가함으로써 체계적인 탐방로의 유지관리를 위해 수행되었다. 노선길이의 경우 토함산 지구 2.7km, 남산 지구 2.3km, 단석산 지구 1.0km, 구미산 지구 2.7km이며, 측점수는 토함산 지구 37개, 남산 지구 29개, 단석산 지구 16개, 구미산 지구 40개이다. 물리적 환경 특성의 경우 노폭은 단석산 지구가 가장 넓었고, 구미산 지구가 가장 좁았다. 나지폭은 단석산 지구가 가장 넓었고, 구미산 지구가 가장 좁았다. 침식깊이는 단석산 지구가 가장 깊었고, 구미산 지구가 가장 얕았다. 종단구배는 단석산 지구가 급했고, 남산 지구가 완만하였다. 훼손유형 분석 결과, 토함산 지구는 10개 유형, 남산 지구는 14개 유형, 단석산 지구는 11개 유형, 구미산 지구는 9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훼손유형의 출현 횟수는 토함산 지구 69회, 남산 지구 87회, 단석산 지구 67회, 구미산 지구 71회로 조사되었다. 공통적인 유형은 수목뿌리노출이었다. 자연도 평가 결과, 토함산 지구는 2.1점, II등급, 남산 지구는 2.6점, II등급, 단석산 지구는 2.9점, III등급, 구미산 지구는 2.0점, II등급으로 나타났다. 전체 평균은 2.4점, II등급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원관리공단(2008) 경주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보고서.
  2. 국립공원관리공단(2009) 국립공원 탐방로 정비 매뉴얼. 국립공원관리공단 보고서.
  3. 국립공원관리공단(2011) 2차 국립공원 훼손지관리 종합계획(안). 국립공원관리공단 내부문서.
  4. 국립공원관리공단(2013) 2013 국립공원기본통계. 국립공원관리공단 보고서.
  5. 권태호, 김동욱, 이준우(2005) 월악산국립공원 등산로의 훼손실태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2): 130-138.
  6. 권태호, 오구균, 권순덕(1991) 지리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 주변 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5(1): 91-103.
  7. 권태호, 오구균, 권영선(1988) 치악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 훼손과 주변 토양 및 식생환경의 변화. 응용생태연구 2(1): 50-65.
  8. 권태호, 오구균, 김보현(1998) 설악산국립공원 내설악지구 등산로의 훼손 및 주연부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4): 523-534.
  9.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0) 속리산국립공원의 등산로 훼손과 주연부식생에 미치는 영향. 응용생태연구 4(1): 63-68.
  10.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3) 소백산국립공원 등산로의 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6(2): 168-179.
  11.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4) 덕유산국립공원 등산로 및 야영장의 환경 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7(2): 241-251.
  12.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5) 주왕산국립공원 등산로의 이용패턴 및 주변환경 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8(2): 167-176.
  13.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6) 오대산국립공원 이용에 따른 등산로 및 주변환경훼손. 응용생태연구 9(2): 211-220.
  14. 권태호, 오구균, 정남훈(1989) 가야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 훼손과 주변 환경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3(1): 81-94.
  15. 김동엽, 이상호, 임상준(2011) 뿌리의 공간분포를 고려한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효과에 대한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4(4): 41-54.
  16. 김세천, 박종민(1998) 모악산 도립공원 등산로의 환경훼손 실태 및 이용 영향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4): 39-50.
  17. 김재준, 이혜린, 이민하, 강민지, 박수진(2011) 등산활동의 건강관련 동기요인과 유인요인 분석. 한국임학회지 100(3): 327-333.
  18. 김태호(2011) 산악 국립공원 등산로의 훼손유형과 요인.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4): 416-431.
  19. 문성주(2013) 경주국립공원 탐방로의 자연도 평가.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인환, 이혜영, 조광진, 장갑수(2010) 도시자연공원의 주요 등산로 훼손 실태 분석: 대구광역시 앞산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8(3): 33-40.
  21. 산림청(2004) 등산로 훼손유형별 생태적 정비요령: 숲길 정비 매뉴얼. 산림청 보고서.
  22. 서병수, 김세천, 박종민, 이창헌, 이규완(1994) 덕유산국립공원 등산로의 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한국임학회지 83(3): 286-298.
  23. 양동윤, 김진관, 김주용, 김민석(2005) 토양침식에 미치는 토양 포면상태의 영향. 한국지형학회지 12(1): 63-72.
  24. 오구균, 권태호, 전용준(1987) 북한산국립공원의 등산로 훼손 및 주변 식생변화. 응용생태연구 1(1): 35-45.
  25. 오구균, 허순호(1992) 한라산국립공원의 등산로와 주변의 환경 훼손. 응용생태연구 6(1): 55-71.
  26. 유주한, 문성주, 이우성(2011) 경주국립공원 화랑지구의 관속식물상과 관리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4(5): 17-35.
  27. 이준우, 오구균, 권태호(1997) 설악산국립공원의 등산로 훼손 및 주연부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0(2): 191-204.
  28. 장은재, 김종원(2007) 노거수 생태와 문화. 서울: 월드사이언스.
  29. 정원옥(2010) 탐방로 훼손 특성 및 노면 안정성 평가. 국립공원연구지 1(1): 53-58.
  30. 정원옥, 권헌교(2008) 소백산국립공원 탐방로의 훼손 특성 및 안정성 평가.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2(1): 51-57.
  31. 정원옥, 정평희(2010) 한라산국립공원 탐방로의 물리적 특성 및 훼손유형. 국립공원연구지 1(4): 255-259.
  32. 정원일(2005) GIS를 활용한 관광자원의 자연적 훼손 가능성 분석: 경주 남산을 사례로. 관광학연구 29(1): 27-44.
  33. 최송현, 이경재(1994) 북한산 정릉계곡의 자연환경훼손에 관한 연구: 등산로와 휴식처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1(4): 83-99.
  34. 최충호, 박종민, 김선영(2005) 전라북도 자연휴양림내 숲길 현황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9(4): 1-14.
  35. Frissell, S. S.(1978) Judging recreation impacts on wildness campsites. Journal of Forestry 76(8): 481-483.
  36. Leung, Y. F. and J. L. Marion(1999a) Assessing trail conditions in protected areas: Application of a problem-assessment method in Great Smoky Mountains National Park. Environmental Conservation 26(4): 270-279. https://doi.org/10.1017/S0376892999000399
  37. Leung, Y. F. and J. L. Marion(1999b) The influence of sampling interval on the accuracy of trail impact assessment.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3: 167-179. https://doi.org/10.1016/S0169-2046(98)00110-8
  38. Lynn, N. A. and R. D. Brown(2003) Effects of recreational use impacts on hiking experiences in natural area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4: 77-87. https://doi.org/10.1016/S0169-2046(02)00202-5
  39. Moore, R. L., Y. F. Leung, C. Matisoff, C. Dorwart and A. Parker (2012) Understanding users' perceptions of trail resource impacts and how they affect experiences: an integrated approach.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7: 343-350.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12.06.016

Cited by

  1. Assessment of Impact Rating Class and Deterioration Type on the Trails in Mt. Namsan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vol.24, pp.11, 2015, https://doi.org/10.5322/JESI.2015.24.11.1431
  2. Flora Distributed in Mt. Gumi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vol.28, pp.4, 2015, https://doi.org/10.7732/kjpr.2015.28.4.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