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구재선 (2009). 행복은 심리적 자원을 형성하는가. 한국 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1), 165-179.
- 권복순, 차보현 (2006). 농촌지역 코시안가정주부의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정체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58(3), 109-134.
- 김애숙 (2011). 병원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및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 김유진 (2007). 학교생활 적응 및 주관적 안녕에 대한 보호요소의 설명력 분석. 석사학위 논문. 전북대학교대학원.
- 김정순 (2012). 결혼이주여성의 이혼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 김현미 (2006). 국제결혼의 전 지구적 젠더 정치학 : 한국 남성과 베트남 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70, 10-37.
- 김현숙, 김희재, 오중환 (2010).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의 질의 결정요인: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4(1), 27-51.
- 류연지 (1996). 성격 및 욕구수준이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대학원.
- 류인경 (2010). 결혼이주여성의 개인내적 특성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박민서 (2011).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적응유연성 간 관계: 심리적 행복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1(5). 393-402. https://doi.org/10.5392/JKCA.2011.11.5.393
- 박주희. 정진경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정체성. 한국심리학회지, 12(4). 395-432.
- 배경의 외 (2010).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자녀양육행위와 양육효능감. 아동간호학회지, 16(3). 175-183.
- 보건복지가족부 (2009). 다문화 가족통계현황
- 송미경 (2008).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다문화상담의 모색. 여성연구논총, 23. 41-51.
- 송미경 외 (2008). 다문화 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497-517.
- 신형자 (2010). 아동의 애착과 자아탄력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 아산시 통계연보 (2012). 인구현황
- 안준희. 조정희(2011).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영향요인분석: 충청남도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2(1). 137-176.
- 양계민 (2010). 현실갈등인식과 지각된 경제수준이 이주노동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안녕감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24(1). 111-128.
- 오순옥 (2006).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원서진. 송인욱 (2011). 결혼이주여성의 개인적. 문화적. 사회적 특성이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6(2). 95-113.
- 위키백과사전 ko.wikipedia.org/wiki, 2013.02.15
- 유성경. 홍세희. 최보윤 (2004). 가정의 위험요소와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애착. 실존적 영성의 매개효과 검증. 교육심리연구, 18(1). 393-408.
- 이수진 (2010).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 정도와 부부관계 만족도가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이승미 (2004). 사회. 경제적 지위와 어머니의 사회적지지, 양육효능감 및 자녀 성취에 대한 기대.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영분. 이유경 (2010). 거주지역에 따른 결혼이민자여성의 자아분화 및 문화적응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1). 145-157.
- 이윤경 (2008).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성격.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 이은섭 (2002).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여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영향 연구. 석사학위 논문.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 이은주 (2011).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 이은혜 (2009). 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석사학위 논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정숙 (2010).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박사학위 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 이주성 (1991). 외향성과 신경증적 경향성의 상호작용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대학원.
- 이향범 (2012).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결혼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 임주영, 전귀연 (2004).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 배우자 유. 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4(1), 71-87
- 전귀연. 임주영 (2002). 노인의 애착유형과 사회적 지지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2(3), 173-191
- 전명임 (2008).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우울.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석사학위 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전미숙 (2010).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도-배우자 인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 전주성 (2011).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과 학습. 그리고 홀로서기: 내러티브 분석. 한국성인교육학회, 14(4), 1-25.
- 정기선 외 (2007). 경기도 내 국제결혼 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경기가족여성개발원.
- 정현희 (2012). 상담자의 완벽성향과 주관적 안녕감.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진호 (2009). 방송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주관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 최형성, 정옥분 (2001).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의 개발. 아동학회지 22(3). 15-15.
- 추현화 외 (2008). 결혼이주여성 남편의 가족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3(4). 85-101.
- 통계청 (2012). 다문화가정현황
- 한지은 (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변용 형태와 사회적지지 정도가 자녀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행정안전부 (2011). 2011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현황조사
- Campbell, A., Convers, P. E., & Rodgers, W. L.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New york: Russel Sage Foundation.
- Compton, W. C. (2005). An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CA: Thomson Wadsworth.
-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 Diener E., Suh, E. M., Lucas, R. E., & Smith, H.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https://doi.org/10.1037/0033-2909.125.2.276
- Kahn, B. E. & Isen, A. M. (1993). The influence of positive affect on variety seeking among safe, enjoyable produc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 257-270. https://doi.org/10.1086/209347
- Myers, D. G & Diener, E. (1995).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6, 10-19. https://doi.org/10.1111/j.1467-9280.1995.tb00298.x
- Magdol, L. (2002). Is Moving Gendered? The Effects of Residential Mobilit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en and Women. Sex roles, 47, 553-560. https://doi.org/10.1023/A:1022025905755
- Veenhoven, R. (1991).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 Research, 24, 1-34. https://doi.org/10.1007/BF00292648
- Waugh, C. E. & Fredrickson, B. L. (2006). Nice to know you: Positive emotions, self other overlap, and complex understanding in the formation of a new relationship,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2), 93-106. https://doi.org/10.1080/17439760500510569
피인용 문헌
-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Immigrant Women on Parenting Efficacy vol.37, pp.2, 2016, https://doi.org/10.5723/kjcs.2016.37.2.143
- Relationships among Immigrant Women’s Perceived Social Support, Acculturation Stress, and Thei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vol.29, pp.1, 2013, https://doi.org/10.17927/tkjems.2017.2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