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특성에 따른 면소재지 공간계획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blishment of Space Planning on Myeon Center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 Yoon, Junsang (Faculty of Regional Development,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grok (Faculty of Regional Development,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3.05.10
  • 심사 : 2013.06.05
  • 발행 : 2013.06.30

초록

농산어촌지역은 전체국토의 8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대부분 낙후되고 생활환경이 불편하여 청년층의 도시로 이동 및 고령화로 인구가 감소하여 마을 공동화현상은 물론 지역사회의 침체가 가중되고 있다. 이 연구는 농산어촌지역 중하나인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면소재지를 대상으로 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에 있어서 단순한 거점기능강화를 위한 계획이 아닌 지역특성을 고려한 복합적 개발계획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읍면소재지 기능강화 측면에서 하드웨어 중심의 계획수립이 불가피하나, 대상지역 주민의 역량강화 역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즉, 계획에 의해 추진된 각 사업은 지역주민이 중심이 되어 운영될 것이므로, 이에 대한 관리체계 확립이 필요하다. 수립된 계획의 성패는 대상지역에 대한 현안와 수요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바탕이 되며, 이는 대상지역 주민들의 참여와 호응에 달려있다. 즉, 계획수립지역의 주민참여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지역주민 연결망'분석과 같은 방안이 필요하다.

Although rural areas account for more than 80% of the total land area of South Korea, most of them are deteriorated and living environment is inconvenient. In addition, the migration of young generation to urban areas and ageing have reduced the population and caused not only cavitation phenomena of villages but also stagnant communities. As for one of the rural areas, the seat of Myeon Office located in Oesan-myeon, Buyeo-gun, Chungcheongnam-do, this study presented not a plan only for strengthening hub functions but the methodology of the complex development plan in consideration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e comprehensive improvement project in seat of Myeon Office. From the perspective of enhancing the function of the seat of Myeon Office, it is inevitable to establish plans based on hardware. However, empowerment of the residents in the targeted areas also works as an important factor. In other words, each project promoted by the plan will be mainly operated by the local resi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of thi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established plan is based on the accurate survey of the issues of the targeted areas and demand, and this depends on participation and positive response of the residents of the targeted areas. That is, the method as a 'local community network' is require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planning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계기석. 천현숙. (2001). 지방화시대의 도시정체성 확립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 김태경. 서원석. (2012). 근린공간요소를 고려한 지역특성이 광역공동주택 시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지역연구, 28(3), 63-82.
  3. 농림수산식품부. (2012). 2013년 농림수산사업시행지침서.
  4. 박덕병. 이민수. 손은호. (2008). EU국가의 농촌개발정책:스페인 엑스트라마두라, Jeta Vallet 사례. 농촌지도와 개발, 15(4), 551-576.
  5. 박은병. 김성록. 윤준상. (2012). 포괄보조금제도하의 농산어촌지역개발에 대한 주민참여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부여군 사례를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19(2), 435-463. https://doi.org/10.12653/jecd.2012.19.2.435
  6. 박진욱. 엄붕훈. (2012). 지역관광자원을 활용한 권역단위 종합정비사업 기본계획 수립. 농촌계획, 18(3), 187-200.
  7. 부여군. (2008). 2020년 부여군 기본계획
  8. 부여군. (2012). 2011년 부여군 통계연보.
  9. 부여군. (2012). 충청남도 외산면 소재지 종합정비사업 기본계획.
  10. 조은정. 최수명. 김영택. 고영배. 임창수. (2009). 농촌거점면 지역의 중심기능 이용성향 분석. 농촌계획, 15(4), 125-134.
  11. Davies, W.K., (1967). Centrality and Central Place hiarachy, Urban Studies 4, 61-79. https://doi.org/10.1080/00420986720080041
  12. Marshall, J. U., (1971). The location of service twons, University of Toronto Department of Geography research Paper 3, 6-8.
  13. Relph, E.,(1976).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Limited.
  14. Tuan, Y. (1977). 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the Change of Rural Center Revitalization Project and Practical Improvement Plan vol.17, pp.4, 2013, https://doi.org/10.17926/kaolp.2017.17.4.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