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gress and Activation Strategies of Information Service in the School Library

학교도서관의 정보서비스 전개 방향과 활성화 전략

  • 송기호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 Received : 2013.05.07
  • Accepted : 2013.06.03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atus of information service and to suggest its activation strategies after establishing its category in the school library. As a result of establishing scope and contents of information service, materials of information offering and guide are converged on reading educa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integrated subjects. But the arrival rate of information service is very low like 48.2% under the 2012 Korean Libraries' Management Evaluation. It is especially poor to raise self resilience and school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information service involved in the affective domain such as readers' advisory service and bibliotherapy. In order to activate its information servic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systems improvement in placement of the teacher librarian. It is also necessary to reinforce the statu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under the nation-level curriculum and continuous base expansion as a core information service of the school library. Service development for readers' advisory service and bibliotherapy is also needed to contribute to solving problem and stress situation of the student. The school library has to make an effort to connect its information service with local communities for the school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정보서비스의 범주를 설정하여 정보서비스 현황을 분석하고 활성화 전략을 제안하는 것이다. 학교도서관의 정보서비스 범위와 내용 설정 결과 정보제공 영역과 안내 영역의 서비스 내용이 독서교육이나 교과와 연계한 정보활용교육과정 운영으로 수렴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12전국도서관운영평가 결과 학교도서관의 정보서비스 도달률은 48.2%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특히 독서상담이나 독서치료 등 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교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정의적 영역과 관련된 정보서비스 내용이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따라서 학교도서관의 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서교사 등 전문 인력자원의 지속적인 배치를 위한 제도 개선이 절실한 실정이다. 또한 학교도서관 정보서비스의 핵심 영역인 정보활용교육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의 위상 강화, 정보서비스에 필요한 기반 확충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아울러 독서상담과 치료 등 학생의 스트레스와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학교도서관 정보서비스가 지역사회와 연계성을 가짐으로써 학교 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9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과학기술부. 2009b.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 2009c.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부. 2009d.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과학기술부. 2010. <2010학년도 교원능력 개발평가 표준 매뉴얼>. 서울: 교육과학 기술부 교직발전기획과.
  6.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시설담당관실. 2002. <학교시설 설비 계획 및 모형안>.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7.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 평가 조사 연구>.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8. 교육통계서비스. [online]. [cited 2013.5.1]. .
  9. 국가법령정보센터. [online]. [cited 2013.5.1]. .
  10. 국립중앙도서관. 2011. <학교도서관과 공공도 서관의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활성화 모델 개발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11.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2012. <2012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 지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12.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2013. <2012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 결과 보고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13. 문화체육관광부. 2012.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11 년도 시행계획 추진실적(중앙행정기관)>.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14. 변우복. 2007. 학교의 교육과정과 연계한 정보문해 서비스.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4): 19-44.
  15. 송기호. 2009. <통합 정보활용교육과정론>. 서울: 오롬DLS.
  16. 송기호. 2011.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범 교육 과정으로서의 정보활용능력위상 강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29-50.
  17. 송기호. 2012. <학교도서관 운영의 실제>. 개정 4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8. 이병기. 2012. <정보활용교육론>. 개정판. 서울: 조은글터.
  19. 이연옥. 2007. 고등학생의 정보요구 해결을 위한 도서관서비스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107-134.
  2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8. <자격종별 사서교사(2급)의 교사 자격기준 개발과 평가 영역 상세화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한국도서관협회 학교도서관교육과정위원회. 2007.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교육과정 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2. 한국문헌정보학회 최신문헌정보학의이해편찬위원회. 2013. <최신문헌정보학의 이해>. 개정증보2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3. 한국도서관협회. 2011. <한국도서관 연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4.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 학교도서관정책포럼. 2013. <학교도서관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서울: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
  25. 한병철. 2012. <피로사회>. 김태환 옮김. 서울: 문학과지성사.
  26.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2012. Impact of school libraries on student achievement. ACER eNews. [online]. [cited 2013.4.1]. .
  27. IFLA and UNESCO. 1999. School Library Manifesto. [online]. [cited 2013.4.1]. .
  28. IFLA and UNESCO. 2002. School Library Guidelines. [online]. [cited 2013.3.5]. .
  29.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1. School Library & Resource Center. Paris: OECD, 120- 130.; 한상완 등. 2002. <지식기반사회의 학교도서관 정책 방향: 학교도서관 기본 계획 검토 작업단 구성․운영>.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80-81.
  30. Shera, J. H. 1984. <도서관학의 사회학적 기반>. 윤영 옮김. 서울: 구미무역(주)출판부.

Cited by

  1. 학교도서관 활용교육의 현상에 대한 분석 연구 - 연구학교보고서를 중심으로 - vol.45, pp.4, 2013, https://doi.org/10.16981/kliss.45.201412.139
  2. 청소년의 도서관 인식 및 정보원 이용에 관한 조사연구 vol.49, pp.3, 2013, https://doi.org/10.4275/kslis.2015.49.3.351
  3.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의 고용실태와 처우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vol.26, pp.3, 201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101
  4. 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정보 이용 분석 연구 - 청소년과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 vol.26, pp.3, 2013,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291
  5. 도서관 이용 활성화를 위한 시각장애인학교 도서관 프로그램 연구 vol.34, pp.3, 2017,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023
  6. 학교도서관·사서교사 주제 학술논문의 연구 성향 분석 vol.28, pp.4, 2013, https://doi.org/10.14699/kbiblia.2017.28.4.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