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cological Perspective on Policy Knowledget: Comparative Analysis of e-Government between Korea and U.S.A

정책지식의 생태학적 접근 - 한·미 전자정부정책 비교분석 -

  • Received : 2013.03.08
  • Accepted : 2013.09.12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Policy-related knowledge refers to a body of knowledge that bureaucrats and policy makers use when making decisions. In this study we conceptualize policy knowledge as intellectual infrastructure which helps to maximize efficiency with the viewpoint of policy ecosystem. The policy knowledge ecosystem covers people and organizations that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process of the policy-related knowledge plus interactions between participants. We build the conceptual policy ecosystem model of comparative analysis, and analyze characters of e-government policy between Korea and U.S.A. The results suggest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cusing on the relevant policy knowledge is crucial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rowth.

정책현상에서 드러난 정책 또는 행정서비스에 대한 만족수준이 높지 않다. 정부경쟁력지표 역시 부정적이다. 왜 그럴까? 그 원인의 하나로 취약한 정책지식생태를 지적할 수 있다. 연구공동체에서 산출된 지식이 양적, 질적으로 확대, 심화되고 있지만 그 유용성은 낮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상에 대한 문제인식의 바탕에서 정책학의 정체성에 대한 재정립이 요구된다. 만일 정책연구가 정책담당자들의 역량발휘에 무익하거나 정책 활동에 유용하지 못하다면, 정책연구의 존립근거 자체가 회의 시 될 수 있다. 정책의 다양성, 복잡성, 역동성으로 인해 그 원인을 일률적으로 단정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글은 생태학적 시각에서 국가정책지식의 현상과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의 전자정부 정책사례를 비교분석하고, 정책지식의 적실성 제고를 위한 이론 및 정책적 함의를 탐색하기로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