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워크 적합성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Framework for Smart Work Readiness

  • 투고 : 2012.12.13
  • 심사 : 2013.04.22
  • 발행 : 2013.06.30

초록

정보통신기술로 인하여 나타나는 업무형태의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여러 가지 근무형태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으나 최근 스마트 모바일 기기들이 등장하면서 이러한 근무형태의 변화를 '스마트워크'라고 정의하고 정보사회의 근무형태로 확산하고자 하는 흐름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크를 하기위해서는 업무 성격이 부합하여야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적합성 판별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디자인 사이언스의 방법론에 따라 도출하였다. 본 스마트워크 적합성 평가 프레임워크는 지식활용도를 의미하는 스마트(지식-데이터)와 시공의 유연성을 의미하는 이동성(이동-고정)의 두 개의 축으로 구성하였다. 지식을 활용하면서 이동하는 직무 분야가 스마트워크의 표적 직종으로 분류하였고 데이터를 활용하면서 이동하는 직종은 이미 스마트워크를 하고 있는 직종으로 예측하였다. 이동성이 낮은 직종은 스마트워크에는 부적합한 직종으로 분류하였다. 본 프레임워크를 2011년 직종별 근로자수에 적용하여 적합 직종 근로자수를 추산하였다. 결과적으로 근로인력의 57.4%가 스마트워크를 할 수 있다는 추정을 할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와 관련하여 스마트워크 확산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논하였고 앞으로 필요한 연구들에 관하여 제안을 하였다.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leads firms to take 'smart work' into serious consideration as a new way of working in com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However, some jobs may be fit for smart work while some may be not. A $2{\times}2$ framework for smart work readiness assessment is developed in this study through the review of extant literature and a series of focus group activities. Two critical dimensions of smart work are derived and presented as a result: smartness (knowledge versus data) and mobility (mobile versus static). Knowledge intensive jobs with possible mobility seem to be the target group that can be easily converted to smart work while mobile workers with interactive data processing devices seem to be already doing smart work. As mobility is a critical presumption for work to be flexible in terms of time and place, jobs with no mobility are assessed here as not ready for smart work at least at present. This framework is experimentally applied against the published job statistics 2011 in Korea, and used to estimate the number of workers ready for smart work. As a conclusion, discussions on policy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issues are made at the en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