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정치참여 연구 동향

A Critical Review of SNS Political Participation Studies

  • 윤성이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투고 : 2013.06.03
  • 심사 : 2013.06.21
  • 발행 : 2013.06.30

초록

SNS 정치참여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다룬 주제는 정치참여 효과, 선거캠페인, 그리고 공론장의 문제였다. 정치참여 효과에 대해서는 SNS 이용자의 정치참여의 특성, SNS가 정치참여에 미치는 변화 정도, 적극적 SNS 정치 참여 집단, 그리고 젊은 층의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해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선거 부문에서는 투표율 제고 효과, 투표 행태에 미치는 영향, 선거결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정책선거의 가능성 등의 쟁점이 있었다. 끝으로 공론장에 관한 연구는 SNS 정보의 질적 평가와 사회파편화 현상이 주로 논의 되었다. 세 가지 주제 전체에 걸쳐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은 거의 모든 쟁점에 대해서 서로 상반되는 주장과 연구결과가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러한 상반된 연구결과는 현실정치 변수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은 점과 연구대상과 변수를 엄밀하게 규정하고 설계하지 못한 점에서 비롯될 가능성이 크다. 향후 국가 간 비교연구를 통해 현실정치 맥락을 풍부하게 반영하고, 독립변수를 좀 더 세밀하고 구분한다면 SNS 정치참여에 대한 보다 정확한 연구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Studies on the SNS political participation have covered issues of SNS effect on political participation, electoral campaigns, and the public sphere. Such issues as characteristics of SNS political participation, the characteristics of SNS users, SNS effect on the political participation, active SNS political participants, and the impact on young people's political participation, etc. have been studied in the area of political participation effect. On the election issues, SNS impact on election turnout, voting behavior, and the election results were main research topics. Finally, the research on the public sphere mainly discussed topics of quality of SNS information and social fragmentation phenomenon. What is commonly observed across all the three subjects is that the conflicting claims appear to almost all the topics. These contradictory findings are likely to occur because variables of real politics are not fully taken into account and research variables are not strictly manipulated. We can get more accurate research results in the study of SNS political participation when we conduct cross-national research reflecting the context of real politics and also designing independent variables more in detail and elaborate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