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ibQUAL+를 활용한 국내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측정 사례 조사

Service Quality Assessment of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using LibQUAL+ : A Case Study

  • 심원식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이은철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투고 : 2013.05.22
  • 심사 : 2013.06.08
  • 발행 : 2013.06.30

초록

본 연구는 마케팅 분야에서 개발된 서비스 품질 모형인 SERVQUAL을 도서관의 실정에 맞게 적용한 ARL(Assoication of Research Libraries) LibQUAL+ 평가 프로그램에 국내 대학도서관 한 곳이 공식 참여한 과정과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LibQUAL+ 시행을 위해 영문으로 된 설문지의 번역, 설문 대상자 표본 선정, 설문 버전의 선택 등을 포함한 절차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설문의 시행 결과로 입수되는 설문 데이터에 대한 설명 및 응답과 관련된 제반 사항에 대한 검토 결과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설문 데이터를 통해 이용자 집단간, 타기관과의 다양한 비교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LibQUAL+ 프로그램은 단순한 설문도구가 아닌 총체적인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시스템이다. LibQUAL+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국제화된 평가를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설문도구로서 LibQUAL+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LibQUAL+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국내 대학도서관은 새로운 평가 및 서비스 개선 노력을 경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입과 관련해서는 개별적인 참여 대신 다수의 도서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서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도서관을 중심으로 학습공동체를 구성해서 워크샵, 사례발표 등을 통해 한 단계 높아진 평가 활동을 할 수 있다.

The paper describes a case study in which Sungkyunkwan University Library participated in the official ARL(Assoication of Research Libraries) LibQUAL+ evaluation program. LibQUAL+ model is based on the SERVQUAL service quality evaluation model originally developed in the marketing area. It details a number of processes including translation of the LibQUAL+ survey instrument into Korean, selection of study sample and choice of survey versions. In addition, it offers a number of strategies that can be adopted in order to analyze the survey data for various comparisons among different user groups and institutions. LibQUAL+ is more that a survey instrument; it a holistic system for assessing library service quality. Despite criticisms on LibQUAL+, we expect that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n will benefit from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t is preferable that a group of libraries form a consortium to participate in the LibQUAL+ program as opposed to individual participation. The consortium can function as a learning community through various workshops and sharing activities, thus elevate the overall evaluation efforts in Korean libraries to a higher level.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2010). 2010년도 대학도서관 평가 안내. 서울: 교육과학기술부(인문사회연구과).
  2. 권세준 (2011). 원격대학 도서관 서비스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3. 김규환, 남영준 (2007).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이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2), 135-159. http://dx.doi.org/10.4275/KSLIS.2007.41.2.135
  4. 김기영 (2010). 도서관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LibQUAL+ 분석틀 탐색. 제17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33-138.
  5. 김동숙 (2006). 라이브퀄 플러스(LibQUAL+)를 적용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6. 김소연 (2011). 라이브퀄 플러스(LibQUAL+)를 이용한 학교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헌정보교육학전공.
  7. 김영순 (2012). LibQUAL+를 적용한 국회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헌정보교육학전공.
  8. 김윤실 (2002).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9. 김주영 (2006). 신학대학교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가톨릭신학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10. 김지원 (2009). 학교도서관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만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11. 나세나 (2002). SERVQUAL 평가모형을 이용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질 평가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2. 나은영 (2011). 법률도서관 서비스 품질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3. 류주현, 이상복 (2012). LibQUAL+를 적용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서울시 소재 민간위탁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2), 271-294.
  14. 박동진, 윤동원 (1999).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의 측정.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0(4), 183-206.
  15. 박정아 (2012).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효율성 및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6. 박지홍 (2007). 도서관 서비스 품질평가 도구로서 LibQUAL+TM에 대한 재평가. 정보관리학회지, 24(2), 5-27. http://dx.doi.org/10.3743/KOSIM.2007.24.2.005
  17. 백인화 (2005). 대학도서관의 고객반응에 미치는 내재요인 연구: 내부마케팅, 사서의 태도 및 서비스품질 간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8. 송경곤 (2008). 대학도서관 행정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행정관리 전공.
  19. 오동근, 황일원 (2004). 서비스품질 평가 모델에 관한 연구: LibQUAL+TM을 중심으로. 제11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59-162.
  20. 윤기찬, 이순철 (2009).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337-365.
  21. 이미정 (2012). 신학대학원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문헌정보학전공.
  22. 이미향 (2004). 도서관 서비스 품질의 구성요인에 대한 이용과 인식 연구: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3. 이상복 (1998). 도서관의 이용자중심 서비스 질 평가와 측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2(3), 265-280.
  24. 이수상, 위성광 (2007). 중국 유학생의 대학도서관 포털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113-134. http://dx.doi.org/10.4275/KSLIS.2007.41.4.113
  25. 정영미, 김영기, 이수상 (2010). ISA를 적용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측정과 개선방안 도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1), 255-272.
  26. 정은주 (2009). LibQUAL+를 적용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인식 연구: Keogkrry 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7. 초금화 (2009). 외국인 유학생이 지각하는 대학도서관의 서비스품질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MIS전공).
  28. 홍현진 (2005). 도서관의 정보서비스 품질평가 연구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2), 93-120.
  29. 황은영 (2008). LibQUAL+를 적용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품질 차원의 구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30. Brophy, P. (2006). Measuring library performance. London, UK: Facet Publishing.
  31. Guidry, J. A. (2002). LibQUAL+TM spring 2001 comments: A qualitative analysis using Atlas.ti. Performance Measurement and Metrics, 3(2), 100-107. http://dx.doi.org/10.1108/14678040210429008
  32. Parasuraman, A., Berry, L., & Zeithaml, V. A. (1988).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usto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1), 12-40.
  33. Roszkowski, M. J., Baky, J. S., & Jones, D. B. (2005). So which score on the LibQUAL+TM tells me if library users are satisfied?.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7(4), 424-439. http://dx.doi.org/10.1016/j.lisr.2005.08.002
  34. Shi, X., & Levy, S. (2005). A theory-guided approach to library services assessment. College & Research Libraries, 66(3), 266-277. https://doi.org/10.5860/crl.66.3.266
  35. Thompson, B., Kyrillidou, M., & Cook, C. (2009). Item sampling in service quality assessment surveys to improve response rates and reduce respondent burden: The "LibQUAL+$^{(R)}$ Lite" example. Performance Measurement and Metrics, 10(1), 6-16. http://dx.doi.org/10.1108/14678040910949657
  36. Thompson, R. L., Thompson, B., Heath, F. M., & Cook, C. (2001). The search for new measures: The ARL LibQUAL+ project--A preliminary report. portal: Libraries and the Academy, 1(1), 103-112. https://doi.org/10.1353/pla.2001.0003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 Indicators for College & University Libraries' Evaluation vol.48, pp.3, 2014,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303
  2. A Study of the Changes in University Library Space and their Assessment Strategies vol.31, pp.4, 2014, https://doi.org/10.3743/KOSIM.2014.31.4.229
  3. A Review and Application of Library User Comments Data Analysis Tool: Focused on the LibQUAL+ Survey Comments vol.30, pp.3, 2013, https://doi.org/10.3743/KOSIM.2013.30.3.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