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화흥행 영향요인 선택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Drivers of Movie Box-office Performance

  • 김연형 (전주대학교 통계학과) ;
  • 홍정한 (테일러넬슨 소프레스 코리아)
  • 투고 : 2013.03.18
  • 심사 : 2013.06.04
  • 발행 : 2013.06.30

초록

국내 영화 산업은 투자 배급사 멀티플렉스로 수직 계열화된 대기업 중심으로 온라인 구전 마케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대기업 계열의 멀티플렉스 영화관 중심으로 3D 4D 영화포맷 복합상영을 통해 up-selling을 통한 흥행성과 극대화를 도모하고 있다. 영화산업 기술진보와 흥행여건 변화에 따라, 기존 관객 수 대신 매출액을 흥행성과로 정의하고, 국내 개봉 상업영화를 대상으로 축소추정기법을 포함한 여러 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특히 LASSO회귀의 경우, 교차타당성 방법을 이용한 예측오차가 가장 적고 흥행성과에 설명력이 높은 변수 순으로 의미 있는 독립변수들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었다. 2013년도 1분기 개봉 영화를 대상으로 실증분석 결과, 개봉 후 온라인 평점과 빈도 모두 영향력이 높았으나, 개봉 전에는 온라인 평점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영포맷 또한 흥행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film and a box office record success factors based on movies released in the first quarter of 2013 in Korea. An over-fitting problem can happen if there are too many explanatory variables inserted to regression model; in addition, there is a risk that the estimator is instable when there is multi-collinearity among the explanatory variables. For this reason, optimal variable selection based on high explanatory variables in box-office performance is of importance. Among the numerous ways to select variables, LASSO estimation applied by a generalized linear model has the smallest prediction error that can efficiently and quickly find variables with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to box-office performance in order.

키워드

참고문헌

  1. Eliashberg, J., Elberse, A. and Leenders, M. A. A. M. (2006). The Motion Picture Industry: Critical Issues in Practice, Current Research, and New Research Directions, Marketing Science, 25, 638-661. https://doi.org/10.1287/mksc.1050.0177
  2. Hoerl, A. E. and Kenard, R. W. (1970). Ridge regression: Biased estimation for non-orthogonal problems, Technometrics, 2, 55-68.
  3. Kim, Y. H. and Hong, J. H. (2011).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motion picture box-office prediction model,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18, 859-869. https://doi.org/10.5351/CKSS.2011.18.6.859
  4. Park, S.-H., Song, H.-J. and Jung, W.-K. (2011). The determinants of Motion Picture Box Office Performance: Evidence from Korean movies released in 2009-2010, Journal of Communications Research, 11, 231-258.
  5. Tibshirani, R. (1996). Regression and Shrinkage via lasso,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58, 267-288.

피인용 문헌

  1. Effect of online word-of-mouth variables as predictors of box office vol.29, pp.4, 2016, https://doi.org/10.5351/KJAS.2016.29.4.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