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상의학(四象醫學)에서 성정(性情)의 중절(中節)과 심리치료(心理治療)

Control and Moderation of Natural Human Emotions through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nd Psychotherapy

  • 박성식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의학교실)
  • Park, Seong-Sik (Dept. of Sasang Con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
  • 투고 : 2013.04.15
  • 심사 : 2013.05.15
  • 발행 : 2013.05.25

초록

Objectives: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CM) is a Traditional Korean Medicine based on the natural human emotions of joy(喜), anger(怒), sorrow(哀), and pleasure(樂). Therefor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construct SCM as a Mind-Body Medicine by studying the relation between SCM and psychotherapy focusing on control of emotions. Methods : I have researche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our human physical constitutions, as described by SCM, and psychotherapy with an emphasis on the natural human emotions of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as discussed in the works of Lee Je-ma(李濟馬, 1837-1900). Results and Conclusions : The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in SCM do not simply refer to human emotions. They have an inherent nature(性), emotion(情) and Qi(氣). They are tied to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our human physical constitut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mind. The turning point in the transformation from Sasang philosophy to Sasang therapy lies in these emotions.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which focuses on 'mind matter' and diagnosing illness, emphasizes medicine and food(藥餌), along with health maintenance(調養). In particular, health maintenance requires the following mental practices. First of all, through countinuous awarness(恒戒) and self-reflection(自反), one needs to practice moderation(中) and restraint(節) of the emotions of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Therefore, 'inward reflection while sitting(坐思)' is necessary. In SCM, this is very similar to meditation in that it enhances psychological self-control through mental training or practic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윤식. 예방의학 영역에서 심신의학적 접근의 적용 가능성: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이완과 명상 기법을 중심으로.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2010. 43(5). pp.445-450. https://doi.org/10.3961/jpmph.2010.43.5.445
  2. 강현선 外 3人. 신체증상을 주증상으로 호소하는 우울증 환자에 대한 침치료와 명상의 결합을 응용한 치험 2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8. 19(2). pp.241-250.
  3. 권선향. 성리학에 나타난 불교적 요소-중용의 해석에 나타난 알라야식을 중심으로-. 한국불교학. 2011. 60. pp.235-264.
  4. 금장태. 지욱(智旭)의 불교적 중용 해석. 종교와 문화. 2006. 12집. pp.1-40.
  5. 김선민, 송일병.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에서 養生에 관한 고찰. 사상체질의학회지. 2000. 12(1). pp.101-109.
  6. 김정주, 박성식. 四象醫學에서 심리 및 정신치료의 중요성과 활용에 대한 모색. 사상체질의학회지. 2006. 18(2). pp.113-124.
  7. 박성식. 東武 李濟馬의 四象醫學과 佛敎의 影響. 佛敎學報. 2011. 57. pp.261-293.
  8. 박성식. 宗密의 原人論과 東武 李濟馬의 原人 篇에 나타난 人間論. 佛敎學報. 2012. 61. pp.335-373.
  9. 박세환 外 3人. 不眠과 身體症狀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한의학적 치료와 마음챙김명상을 병행하여 호전된 1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8. 19(3). pp.231-244.
  10. 손병욱. 유가(儒家) 수행법(修行法)으로서의 '정좌(靜坐)'에 대하여. 중국철학. 1992. 3(1). pp.275-306.
  11. 송일병. 李濟馬의 儒學的 人間觀과 醫學精神. 사상체질의학회지. 2000. 12(1). pp.1-9.
  12. 송일병. 李濟馬 哲學의 學問的 背景과 四象醫學의 成立에 對한 考察. 사상의학회지. 1991. 3(1). pp.1-8.
  13. 신용욱, 권준수, 함봉진. 의학적 입장에서 본 명상의 기능.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7. 46(4). p.349.
  14. 이정원, 김경철, 이해웅. 東醫寶鑑의 명상 修行에 대한 고찰.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2. 25(3). pp.149-158.
  15. 이희승, 박성식. 四象醫學에서 심리 치료를 활용하기 위한 방법론적 접근. 사상체질의학회지. 2007. 19(1). pp.127-136.
  16. 장현갑. 명상의 심리학적 개관: 명상의 유형과 정신생리학적 특징.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996. 1(1). p.15.
  17. 장현갑. 스트레스 관련 질병치료에 대한 명상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건강. 2004. 9(2). p.472, 487.
  18. 정용재 外 4人. 東醫寶鑑과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에 나타난 養生觀에 대한 고찰. 사상체질의학회지. 2002. 14(2). pp.25-34.
  19. 최근덕. 儒敎의 靜坐. 韓中哲學. 1995. 1. pp.393-400.
  20. 한덕웅. 한국의 전통의학 사상에서 정서와 신체질병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들. 한국심리학회지:건강. 2001. 6(1). p.8, 12, 13.
  21. 한자경. 지와 관, 선정과 사념처에 관한 고찰. 불교학연구. 2008. 19. pp.81-117.
  22. 朴一峰 譯著. 莊子(內篇). 서울. 育文社. 1996. p.305.
  23. 이기동 譯解. 大學.中庸 講說.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2. p.60.
  24. 李濟馬. 동의학연구소 譯. 東醫壽世保元. 서울. 여강출판사. 2003. p.11, 27, 59, 68, 259, 282. pp.34-45, 48-49, 60-61, 188-189.
  25. 李濟馬. 량병무, 차광석 譯. 東武遺稿. 서울. 해동의학사. 1999. p.140, 161.
  26. 李濟馬. 박대식 譯註. 格致藁. 성남. 청계출판사. 2000. p.205, 323, 406. 409. 415.
  27. 李濟馬. 朴性植 譯解.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서울. 집문당. 2003. p.81, 89, 96, 175, 190. pp.77-78, 85-87, 100-101.
  28. 전국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개정증보 사상의학. 서울. 집문당. 2004. p.78.
  29. 조긍호. 선진유학사상의 심리학적 함의. 서울. 서강대학교 출판부. 2008. p.484-495.
  30. 최대우. 東醫壽世保元譯解. 서울. 경인문화사. 2012. p.31, 140, 171.
  31. 한덕웅. 한국유학심리학. 서울. ${\Sigma}$시그마프레스(주). 2003. p.403.
  32. 許浚. 東醫寶鑑. 서울. 법인문화사. 2007. p.62, 252, 253.
  33. 홍원식 편. 精校黃帝內經素問. 서울. 동양의학연구원 출판부. 1985. p.24.

피인용 문헌

  1. 암 환자의 양생(養生)에 대한 사상의학적 접근 vol.28, pp.3, 2016, https://doi.org/10.7730/jscm.2016.28.3.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