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ends in Education Welfare Research in Korea

한국 교육복지 연구 동향

  • 진혜경 (목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3.04.22
  • Accepted : 2013.05.14
  • Published : 2013.06.28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Education Welfare researches in Korea. For this study, a content analysis was employed in relation to topics, targets and methods of 596 articles, masters and doctoral thesis published from 2003 to 2012. The results reveal that the papers have expanded to adjacent fields. The analysis of the topics shows that institutionalization papers hav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researches on the role of the social worker showed an increas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the most common target and quantitative methods were the most used. In future, multi-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presenting a wide diversity of topics and targets should be considered.

본 연구는 한국 교육복지 연구를 분석하여 학문적 위치를 확인하고 앞으로의 방향과 함의를 얻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2003년부터 2012년까지 석사,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학술논문 총 596편의 연구 주제, 대상, 방법에 대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복지 연구가 사회복지학 뿐 아니라 교육학 등 인접 학문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제도화 관련 연구는 감소하는 반면에 전문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대상은 중고생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양적 연구방법이 주도적이나 질적 연구의 비율이 전반적인 사회복지의 연구 동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제언으로는 다학문적 접근의 필요성과 특정 주제에 지나치게 편중되지 않는 주제의 다양성과 포괄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정책자문회의, 교육정책자문회의 활동 실적 보고서, 1992.
  2. 김경미, 김미옥, "한국장애인복지학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과 고찰: 장애인복지학의 이론적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3호, pp.269-294, 2006.
  3. 김기덕, "사회복지 지식의 인식론적 기초", 비판사회정책, 제15권, pp.13-43, 2003.
  4. 김연옥, "우리나라 사회복지학 연구경향에 관한 연구-<한국사회복지학>에 실린 경험분석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35권, pp.85-105, 1998.
  5. 김인숙, "한국 사회복지 질적 연구 : 동향과 의미", 한국사회복지학, 제59권, 제1호, pp.275-300, 2007. https://doi.org/10.20970/kasw.2007.59.1.011
  6. 김지연, 학교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학습조직 수퍼비전의 적용과 효과,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7. 류상일, 현택수, "행정학에서 복지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254-262,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2.254
  8. 민기채, "북한 사회복지 연구 동향", 사회복지연구, 제42권, 제3호, pp.5-32, 2011.
  9. 박지혜, 박은주, 조상미, "사회복지조직의 조직효과성 연구경향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1호, pp.33-55, 2009.
  10. 배성찬, 다문화자녀 교육.복지 서비스 통합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1. 배지연, 김은이, "사회적 지지에 관한 사회복지 논문분석- 주효과, 완충효과 모델의 효과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245-265, 2003.
  12. 양옥경, "한국 임상사회복지실천의 효과성 연구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42권, pp.225-253, 2000.
  13. 이기범, "복지사회와 교육: 자유, 평등, 공동체를 위한 교육복지", 교육학연구, 제34권, 제2호, pp.21-39, 1996.
  14. 이기용, 교육복지정책 평가 연구 : 교육복지투자 우선지역 지원사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5. 이지혜, 허남순, 김지일, "교육복지실의 의미에 드러난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역할", 학교사회복지, 제21호, pp.185-216, 2011.
  16. 임경선, 학교부적응 중학생을 위한 생태체계적 관점의 학교사회사업실천 사례연구, 강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17. 임종호, 유영준, 진혜경, "한국 학교사회복지 연구경향에 관한 연구", 학교사회사업, 제6호, pp.67-99, 2003.
  18. 조운희, "교회사회복지 논제분석을 통한 연구경향에 관한 연구", 신학과 목회, 제19호, pp.425-450, 2003.
  19. 최균,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의 분석과 과제", 한국사회복지학회 1995년 춘계학술대회자료집, pp.1-14, 1995.
  20. 하소연, "사회복지조직의 리더십 연구경향 분석",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2호, pp.201-223, 2012.
  21. http://www.kassw.or.kr
  22. 황창순, "새천년 학교사회복지의 연구 방향", 학교사회사업, 제4호, pp.173-192, 2001.
  23. 홍경준,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방법의 과제", 1998년 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p.31-53, 1998.
  24. "한국 사회복지학계 연구방법론의 동향",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추계 학술대회자료집, pp.1-14, 2002.
  25. 홍봉선,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방향과 과제",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1호, pp.253-282, 2004.
  26. A. Rubin and E. Babbie, Research methods in social work, 1997, 성숙진, 유태균, 이선우 역, 사회 복지조사방법론, 나남출판, 1998.
  27. P. Allen-Mears and B. A. Lane, "A content analysis of school social work literature, 1968-1978," In R. Constable and J. Flynn (Eds.), School Social Work: Practice and research perspectives, pp.49-72, Homewood, IL.:Dorsey Press, 1982.
  28. T. Tripodi, "Trends in research publication : A study of social work journals from 1956-1980," Social Work, Vol.29, pp.353-359, 1984. https://doi.org/10.1093/sw/29.4.353
  29. R. Weinberger and T. Tripodi, "Trends in types of research reported in selected social work journals, 1956-65," Social Service Review, Vol.43, pp.439-447, 1969. https://doi.org/10.1086/642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