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rural amenitie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Targeting Chungcheongbuk-Do Farming Village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농촌마을 자원항목 추출 비교 연구 -충청북도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대상으로-

  • Ju, Jae-Cheol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 ;
  • Song, I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 ;
  • Jeong, Da-Yeong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 ;
  • Min, Heung-Gi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 Rhee, Shin-Ho (Dept. of Agricultural and Rur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
  • 주재철 (충북대학교 대학원) ;
  • 송이 (충북대학교 대학원) ;
  • 정다영 (충북대학교 대학원) ;
  • 민흥기 (한국농어촌공사) ;
  • 리신호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지역건설공학과)
  • Received : 2013.05.23
  • Accepted : 2013.06.28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As the number of aid projects for farming village has been increased, rural amenity is being emphasized. On the contrary, we have a shortfall in excavation and utilization of great resources due to the utilization limit for resources in each village and similarity with the resources from other areas. Thus, we're trying to investigate the ways to make effective use of excellent amenities for farm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 In this study, through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 tried to extract the key factors from the selected areas and examine actual application case of resources. This study categorized the key resource into the big class such as development, farming, nature and experiencing and target areas were categorized into two main classes accordingly. The finding shows 5 example places selected as great areas are taking advantage of extracted excellent resources and 2 target areas are also utilizing enough of excellent resources of each area. Not only limit of used items, subjective view of researcher and resources of each area but also participatory intention of residents and management ways should be additionally considered for another study from now on.

Keywords

References

  1. 김강섭, 전택기, 2009,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 11, No. 4, 59-66.
  2. 김승근, 2005,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의 계획 방향에 관한연구-충북 감곡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제7권 3호, 통권21호, 19-26.
  3. 김현호, 오은주, 2007, 어메니티를 활용한 지역 발전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410권, 163-178.
  4. 농림부, 2001, 농외소득증대 중장기 추진계획, 농림부 보고서.
  5. 농림부, 2004,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설치에 따른 농촌개발사업 추진체계 개선방안 연구,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6. 농림부, 2006, 농촌 어메니티 자원을 활용한 사례별 농촌마을 모형 설계, 농림부, 연구보고서.
  7.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4, 주민참여계획모델에 의한 농촌 어메니티 자원발굴 및 설계기술 현장적용 연구, 농림부.
  8.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5, 농촌어메니티자원 조사 보고서, 농림부.
  9.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8, 농촌어메니티자원 채록 및 활용모형 구축 연구,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10. 농촌진흥청, 2006, 농촌 어메니티자원 채록 및 활용 모형 구축 연구,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보고서
  11. 박창석, 전영옥, 조영국, 2002,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촌자원 중요도평가 및 순위적 관계분석, 대학국토. 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7(6), 21-35.
  12. 박창원, 권혁정, 주경로, 2004, 농촌마을 개발방향 설정을 위한 자원 평가기법 연구, 한국농촌계확학회지 10(1), 9-17.
  13. 배승종, 2010, 농촌지역개발사업에 있어서 농촌어메니티자원 중요도 평가를 위한 ANP기법의 활용, 한국농공학회논문집, 제52권 제5호, 109-118
  14. 윤원근, 2010, 한국농촌개발정책의 시기별 전개와 구성요소의 변화, 한국농촌지도학회, 농촌지도와 개발, 17(2), 279-304.
  15. 이재준, 1999, 공동주택 주거환경의 어메니티 중요 인자에 관한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3), 118-133
  16. 이정원, 2006, 농촌어메니티자원의 농촌다움 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Vol. 12, No. 2, 1-9.
  17. 이지민, 2006, 용어 분석을 통한 농촌어메니티자원 정보의 특성 분석, 대한국토계획학회지, 제41권 제6호 통권 152호, 121-134.
  18. 임형백, 2001, 어메니티의 개념, 기원과 역사, 분류에 관한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제8권 제2호, 191-199.
  19. 주대진, 김진모, 2004,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 주민 참여방법론 탐색, 한국농촌지도학회지, 제11권 제2호, 한국농촌지도학회.
  20. 최수명, 2002,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효율적 보전과 자원화 방안, 농촌자원과 생활, 제23권 제3호 통권91호, 46-51.
  21. OECD, 1999, Cultivating Rural Amenities : An Economic Development Perspective, Paris: OE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