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한국언론정보학보)
- Volume 62
- /
- Pages.264-285
- /
- 2013
- /
- 1598-3757(pISSN)
A Research on the Nature of Working of the Employees in e-Sport Industry
e-스포츠 산업 종사자의 노동자성에 관한 연구
- Ahn, Sun-You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Shim, Jae-Woo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Received : 2013.02.28
- Accepted : 2013.04.24
- Published : 2013.05.15
Abstract
The goal of the study is to analyze some structural issues of e-sport industry which has rapidly developed since 2000.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e-sport dealt with e-sport in terms of industrial prospect and economic value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focus on employees of the field using in-depth interview method.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re were several reasons for younger workers to early enter into the industry such as individualized labor market of post-modern era, growth of IT industry, and diversion of related occupational categories. The development of e-sport industry was possible with the youth' passion for the industry. However, their labor so called "professional" is vulnerable without systematic structure for them. This indicates that industrial prospect of e-sport industry and business models are not healthy. In addition, som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급속도로 발전했던 e-스포츠 산업을 중심으로 이 문화산업에 종사하는 20대 청년 문화 노동자의 노동시장 진입과 퇴출이라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발생하는 구조적 문제들에 대해 분석한 연구다. 기존의 e-스포츠에 관한 연구들은 스포츠 산업의 산업적 전망과 비즈니스 모델로서의 가치에만 주로 맞춰져 왔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 새로운 산업을 지탱하고 유지시키는 동력이 되는 산업 종사자들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결과 가볍고 유동적이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후기 근대의 개인화된 노동시장 상황과 1990년대 이후 진행된 IT 산업의 성장, 관련 직종의 분화 등의 상황이 맞물리면서 e-스포츠 산업에 들어오고자 하는 청년층이 생성되었고 이들의 열정을 바탕으로 이 문화 산업은 큰 폭으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프로'라는 이름으로 명명된 이들의 노동 형태는 실제로는 비정형 고용형태로 기존의 비정규형의 노동과는 다른 새로운 노동형태로서 보장체계나 구조적 안전망 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스스로 구조를 변화시키는 힘을 가질 수 없는 상황 속에서 결과적으로 모든 것은 개인의 능력의 문제로 치환되며 결국 노동시장에서 빠르게 퇴출되는 일련의 과정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지점은 미디어 산업의 한 축으로써 주목받아온 e-스포츠 산업의 산업적 전망과 비즈니스 모델이 매우 건강하지 못한 상황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들의 노동자성과 노동 구조에 대한 근본적인 구조적 변화와 함께 이에 대한 관심과 인식의 전환이 요구되는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