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Regional Specialization of Fruit Tree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임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유실수의 지역특화 연구

  • Kim, Se-Bin (Department of Environment & Fores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o, Young-Woong (Department of Environment & Fores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Oh, Do-Kyo (Department of Environment & Fores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Noh, Hee-Kyoung (Department of Environment & Fores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김세빈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 고영웅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 오도교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 노희경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gional specialization of Fruit trees in Korea and to provide direction for the activ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case of chestnut, Gongjun is adjacent to Cheongyang and Buyeo. These region are classified as deeply specialized regions. Walnut trees are grown in large amounts in Gimcheon-si, Yeongdong-gun and Muju-gun, which are all regions classified as deeply specialized regions. Jujube trees are grown mostly Gyeongsan-si, Gunwi-gun, Cheongdo-gun and Yeongcheonsi are geographically close to each other. The production quantity of these areas also showed steady growth. These region are classified as deeply specialized regions. Astringent persimmons are Sangju-si and Yeoungdonggun are close to each other. Other regions are scattered over the country.

본 연구의 목적은 단기소득임산물별 지역특화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임업경쟁력의 강화를 위한 단기소득임산물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밤은 공주시와 인접한 부여군, 청양군이 인접해있고 이들은 특화심화지역으로 분류되었다. 호두는 경북 김천시, 충북 영동군, 전북 무주군이 호두 재배면적 특화심화지역으로 서로 인접해 있다. 그 외 다른 특화심화지역들은 산발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이 지역들의 생산규모는 미약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대추는 경산시를 중심으로 특화심화지역인 군위군, 청도군, 영천시가 서로 인접해 있으며, 이들 지역들의 대추생산량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떫은감은 상주시와 영동군이 인접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집단화되어 있지 않고 특화심화지역은 산발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관세청, 2010. 추석맞이 제수용품 수입동향.
  2. 김동섭, 한승희. 1997. 충남 양돈산업의 현황과 시 군별 특화계수에 의한 유형 구분. 공주대학교 산업개발연구 4: 199-193.
  3. 김준순, 이재근. 2007. 지역별 특화를 위한 단기소득임산물 선정 -강원내륙산간권역을 대상으로-. 한국임학회지 96(4): 432-437.
  4. 김철욱. 2012, 지역농산물의 성장 유망 작목의 선정을 위한 연구 -울산시를 중심으로. 농업생명과학 연구 46(1): 1-9.
  5. 박종탁. 2009. 농촌지역의 유형별 지역특화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완주군을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2쪽.
  6. 백승우. 2004. 산간지역의 농산물 가공유통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장수군의 오미자 특화작목을 중심으로. 한국산림휴향학회지 8(4): 33-40.
  7. Isserman. 1977. The Location Quotient Approach to Estimating Regional Economic Impacts,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43(1): 33-41. https://doi.org/10.1080/01944367708977758
  8. Manuel Bonita. 2002. Forest Clusters: A Competitive Model for Latin America. The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9. 산림청. 임산물생산조사. 각년도.
  10. 산림청. 2000. 임업총조사.
  11. 통계청. 농림어업총조사 임업부분. 각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