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gradation Assessment of Forest Trails in Mt. Jiri Area of Gyeongnam Province

경남권역 지리산 둘레길 훼손 실태 분석

  • Lim, Hong-Geun (Division of Forest Soil and Water Conserv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Park, Jae-Hyeo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임홍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수토보전과) ;
  • 박재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degradation status of forest trails by analysis of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n Mt. Jiri area of Gyeongnam province. Soil texture was loam in the forest area and sandy loam in the forest trails. Soil bulk den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the forest trails (1.15 g/$cm^3$) than in the forest area (1.00 g/$cm^3$). The rates of pore space were lower in the forest trails (56.6%) than in the forest area (62.4%). Soil moisture cont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etween the forest trails (13.3%) and the forest area (11.3%) Soil strength was higher at 5 cm of soil depth than at 10 cm of soil depth. It indicates that soil compaction by visitors could be affected at 5 cm of soil depth. Soil strength over 30 cm of soil dept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forest trails and the forest areas.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us, and exchangeable cations were lower in the forest trails compared with the optimum content of forest soils because of soil erosion with increasing visito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 needs a counterplan to protect forest trails from overcrowded visitors.

이 연구는 지리산 지역 둘레길의 토양물리성 및 화학성 변화를 분석하여 둘레길 노면토양의 피해 저감 및 관리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지리산 둘레길과 주변 산림지역의 평균적인 토양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둘레길 노면의 토양은 사양토이었으며, 산림지역의 토성은 양토로 분석되었다. 토양용적밀도의 값은 산림지역 1.00 g/$cm^3$과 둘레길 노면 토양 1.15 g/$cm^3$로 산림지역과 둘레길 노면 토양 사이의 토양용적밀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P<0.05) 나타났다. 산림지역과 둘레길 노면토양의 평균토양공극률을 비교한 결과 산림지역의 평균토양공극률은 62.4%로 둘레길 노면 토양의 평균토양공극률 56.6%에 비해 산림지역의 평균토양공극률이 5.8%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토양 내 수분함유율의 경우 산림지역에서 11.3%, 둘레길 노면 토양에서 13.3%로 둘레길 노면토양의 평균토양수분함유율이 약 2.0% 높게 나타났으며, 두 지역 간 유의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P>0.05) 나타났다. 인위적 답압에 의한 영향이 높은 토양깊이 5 cm에서의 토양경도는 조사구간의 10 cm에서보다 높게 나타나 이용자의 답압에 의한 둘레길길 영향은 현재까지 토양 5 cm 정도까지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토양깊이 30cm 이상에서 토양경도는 산림지역과 둘레길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레길 노면토양의 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유기물, 전질소, 유효인산, 치환성양이온($K^+$, $Na^+$, $Ca^{2+}$, $Mg^{2+}$) 모두 적정함량에 부족한 값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둘레길의 이용객의 증가에 따른 토양침식 등으로 인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억지하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과도한 집중화 및 분산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 2011. 기상연보. http://www.kma.go.kr
  2. 朴在鉉. 1995. 白雲山 成熟闊葉樹林 皆伐收穫地에서 伐出直後의 環境變化와 運材路 浸蝕에 關한 硏究. 서울大學校 博士學位論文. pp. 137.
  3. 박재현, 허근영, 임홍근. 2011. 지리산 숲길 경남권역 구간의 훼손 실태 평가. 한국임학회지 100(3): 476-482.
  4. 사단법인 숲길. 2008. 지리산 둘레길 이용실태 현황. p. 50.
  5. 사단법인 숲길. 2011. http://www.trail.or.kr/
  6.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2012.
  7. 산림청. 2005. 환지리산 생태역사문화 관찰로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연구보고서.
  8. 이상윤. 2011. 지리산 둘레길과 (사)숲길. 山林政策硏究 53: 98-101.
  9. 李天龍. 1995. 山林環境土壤學. 晋成文化社. pp. 45-88.
  10. 정진현김춘식구교상이충화원형규변재경. 2003. 한국 산림토양의 모암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2: 254-262.
  11. 井手久登. 1992. 環境に調和した道路. 造園雜誌 55(4): 342-343.
  12. Adams, P. W. 1981. Compaction of forest soils: a pacific northwest extension publication. Oregon. USDA Forest Service. PNW-217.
  13. Brady, N.C. and Weil, R.R. 2002. "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 13th ed. Prentice Hall. p. 960.
  14. Davis, M.R., Coker, G., Parfiltt, R.L., Simcock, R., Clinton, P.W., Garrett, L.G. and Watt, M.S. 2007. "elationships between soil and filiar nutrients in young densely planted mini-pots of Pinus radiata and Cupressus lusitanica"d,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40: 122-130. https://doi.org/10.1016/j.foreco.2006.12.023
  15. Froehilich, H.A., Miles, D.W.R. and Robbins, R.W. 1985. Soil bulk density recovery on compacted skid trails central Idaho. Soil Science Society American Journal 49(4): 1016-1017.
  16. Krag, P., Higginbotham, K. and Rothwell, R. 1986. Logging and soil disturbance in southeast British Columbia. Canadian Journal of Forestry Research 16: 1345-1354. https://doi.org/10.1139/x86-238
  17. Mataba, T. and Thomas, S. C. 2002. Quantifying seedbed condition using soil physical properties. Soil and Tillage Research 1667: 1-8.
  18. Paul, W.A., Flint, A.L. and Fredriksen, R.L. 1991. Longterm patterns in soil moisture and revegetation after a clearcut of a Douglas-fir forest in Oregon.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41: 249-263. https://doi.org/10.1016/0378-1127(91)90107-7
  19. Servadio, P., Marsili, A., Pagliai, M., Pellegrini, S., Vignozzi, N. 2001. Effects on some clay soil qualities following the passage of rubber-tracked and wheeled tractors in central Italy. Soil and Tillage Research 61: 143-155. https://doi.org/10.1016/S0167-1987(01)00195-7
  20. Sidle, R.C. 1980. Impacts of forest practices on surface erosion. A pacific northwest extension publication, Oregon. USDA Forest Service. PNW 19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