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채시기와 그루터기 높이가 소나무재선충병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

Habitation of the Insect Vector, Monochamus alternatus of Pine Wood Nematode on Height Sound Stumps by Felling Seasons

  • 전권석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 박남창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 이성민 (경상북도 산림환경연구원) ;
  • 최해웅 (경북대학교 임학과) ;
  • 홍성천 (경북대학교 임학과)
  • Jeon, Kwon-Seok (Southern Forest Resources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Park, Nam-Chang (Southern Forest Resources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Sung-Min (Gyeongsangbuk-do forest & environment research institue) ;
  • Choi, Hae-Woong (Department of Fores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ong, Sung-Cheon (Department of Fores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13.06.30

초록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법 중 임업적 방제법을 개발하기 위한 일환으로 숲가꾸기 시 발생하는 어린 소나무림(수고 1~2 m)과 장령 소나무림(수고 9~10 m)의 건전한 벌근(伐根)이 소나무 재선충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야외 그물망 케이지(1 m ${\times}$ 1 m ${\times}$ 1 m)내에 어린 소나무림과 장령 소나무림별로 4가지 종류의 처리를 하였다(2010년 2월, 2011년 2월, 4월, 6월). 2010년 6월 하순에 각 케이지 마다 4~5쌍의 솔수염하늘소 성충을 방사한 후 2011년 8월말까지 후식(maturation feeding)시켰다. 2011년 10월말에 각 시료목에 출연하는 유충의 침입공과 서식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솔수염하늘소의 우화 당년도인 2011년 2월, 4월, 6월에 숲가꾸기한 어린 소나무림과 장령 소나무림의 건전한 벌근에서는 솔수염하늘소 유충이 서식하였으나 솔수염하늘소 방사 16개월전인 2010년 2월에 숲가꾸기한 건전한 벌근에서는 솔수염하늘소의 유충이 출현하지 않았다. 어린 소나무의 벌근에 서식하는 유충은 장령 소나무의 벌근에 서식하는 유충에 비하여 몸통 크기가 작게 나타났으며, 장령 소나무림벌근의 경우 수피의 요(凹)형 부위(할목 부위)에서 유충이 서식하는 경향이었으며, 출현한 유충 모두가 수피부나 수피부와 목질부 사이에 서식하고 있었으나 목질부에서는 출연하지 않았다. 따라서 숲가꾸기한 건전목의 벌근처리에 대한 방제 지침을 마련을 위하여 건전목의 벌근 높이에 따른 매개충의 산란 및 유충 서식여부에 대한 조사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habitation of Monochamus alternatus, a vector insect of Pine wood nematode by the tended sound stumps for the developing forestry control methods of Pine wilt disease controls. Field cage plots (1 m ${\times}$ 1 m ${\times}$ 1 m) were established 12 units (Experiment1:4 units, Experiment2:8 Units) and were treated 4 kinds(February in 2010, February, April, June in 2011). The adults of M. alternatus were put into 4~5couples each the cage June in 2011. Presence or absence of the larva entrance holes and larva were detailed November in 2011. The larva were appeared in the sound stumps of sapling and young trees tended at February, April, June, the current emergence year of M. alternatus, but were not appeared in the sound stumps of sapling and young trees tended February in 2010, one year before the emergence of M. alternatus. The larva habitated in stumps of sapling were likely to be smaller in size in compare to the larva in stumps of young trees. In case of young tree, the larva were found at the cleft part of bark, but were not found at ridge part of bark. All observed larva appeared at part of bark and between the bark and the woody parts, but were not found at the woody parts. To develop the control guiding principal of sound stump after forest tending practice, further experiment need is in existence oviposition and larvae of vectors by height of stemp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산림과학원. 1993. 임업연구보고서 4-II.
  2. 국립산림과학원. 2008. 2008년도 연구사업 보고서 산림환경분야 5-1.
  3. 권태성, 임종환, 신준환, 김영걸, 강성진, 황현두. 2008. 모두베기에 의한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 국립 산림과학원 연구보고 제 322호.
  4. 산림청. 2005. 소나무재선충병 효율적 방제 실무매뉴얼.
  5. 산림청. 2008.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일정 관련 법규 handbook.
  6. 전권석, 박남창, 홍성천. 2010. 소나무 치수림 가꾸기가 솔수염하늘소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9(4):528-533.
  7. 전권석, 김철수, 박남창, 허태철, 홍성천. 2011. 소나무림 숲가꾸기 종류가 소나무재선충병의 제어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100(2): 165-171.
  8. 전권석, 박남창, 윤희탁, 홍성천. 2011. 솔수염하늘소 제어를 위한 소나무림 숲가꾸기의 하한(下限)시기 구명. 한국임학회지 100(3): 352-358.
  9. 정영진, 이상명, 김동수, 최광식, 이상길, 박정규. 2003. 솔수염하늘소의 유충침입공과 성충탈출공의 측정과 소나무 내 분포. 한국응용곤충학회지 42(4): 315-321.
  10. 井戶規雄. 1972. マツの若令木におけるマツノマダラカミキリ穿入孔の垂直分布. 日林關西支講 23: 177-179.
  11. 小林一三, 竹谷昭彦, 細田隆治, 奧田素男, 武田丈夫, 井戶規雄. 1975. マツノマダラカミキリ成の 材線蟲保持數-和歌山縣潮岬における1974年の結果. 日林論 87: 313-314.
  12. 奧田素男, 細田降治, 小林一三, 山田房男. 1975. 3種類の伐倒時期とマツノマダラカミキリの寄生程度. 86回 日林講: 331-332.
  13. 奧野孝夫, 田中 寬, 木村 裕. 1977. 原色樹木病害圖鑑. 保育社. pp. 145-146.
  14. 松原 功. 1979. マツノマダラカミキリ 放蟲數とマツの枯死との관계(I). 日林關東支講要.
  15. 竹下 努. 1980. クロマツ小經木の伐採時期とマツノマダラカミキリ及び材線蟲の寄生狀況日林關西支講 31: 233-235.
  16. 岸 洋一. 1988. マツ材線蟲病-松くい蟲-情設. Thomas com. pp. 206.
  17. 五十嵐正俊. 2007. 松くい蟲の被害は靑林懸にも達するのだろうか? 森林防疫 56(4): 3-8.
  18. 小林正秀, 野崎 愛. 2007. マツノマダラカミキリの放蟲によるマツ枯れの再現. 森林防疫 56(6): 10-22.
  19. 島根懸農林水産部. 1996. 松くい蟲はどのように究明され防除されたか. pp.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