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Plant, Soil Physical and Chemical of Salix spp. on the Environment of Namgang Dam Reservoir

남강댐 수변구역 버드나무류 군락의 식생분석 및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 Park, Jae-Hyeo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Kim, Ki Heung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Lee, Seok Bae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박재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기흥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석배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nd chemical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alix spp. communities based on growth characteristics by tree age and height of the tree species in around Namgang Dam reservoir area. Tree density in 4 survey areas was 5,284 trees/ha, but all areas need to control high tree density. Tree crown area in 4 survey areas was 9,786.4 $m^2/ha$ and crown area of Salix spp. was the most dominant among tree species in watershed of the Jinyang lake. Mean soil depth in 4 survey areas was 65.5 cm higher in the sedimental deposit soil (78 cm) than in forest soil (12.5 cm) near the watershed. Soil bulk density was also higher in the sedimental deposit soil than in forest soil because of poor porosity in the sandy sediment. Soil pH was higher in sedimental deposit soil (A, B horizon:pH 6.7) than in forest soil (A horizon:pH 5.3; B horizon:pH 5.2) because of originated from non-point source polution and detergent of domestic sewage. The results suggest that growth of Salix spp. could be poor because of low fertility with low cation exchange capacity in sedimental deposit soil.

본 연구에서는 남강댐 저수지 일원의 버드나무류 군락의 현황 및 문제점을 조사 분석하고, 버드나무류의 생장 특성분석 결과를 기초로 남강댐 저수지 일원의 버드나무류 군락의 특성과 토양의 이화학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조사대상 4개 지역 전체의 평균본수는 5,284본/ha로 조사대상지역 모두 밀도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4개 조사대상지역의 평균수관면적은 9,786.4 $m^2/ha$로 진양호 수변구역에서 버드나무류의 수관이 차지하는 면적은 단위면적을 거의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구인 산림지역의 평균토심 12.5 cm와 비교할 때 조사대상 4개 지역의 평균토심은 78 cm로 대조구인 산림지역과의 평균토심은 약 65.5 cm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퇴적토사의 깊이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진양호수변구역의 버드나무류가 생장하고 있는 토양은 일반적인 산림토양보다 토양용적밀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그만큼 토사퇴적으로 인한 사질토 함량의 증가 등 토양의 경화가 이루어진 결과라 사료된다. 조사지역의 pH는 산림지역의 경우 A층이 5.3, B층이 5.2로 약산성에 해당하나, 조사대상지역의 A층과 B층토양의 pH는 평균 모두 6.7로 주변 산림토양보다 중성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퇴적토사 즉, 진양호에 유입되는 생활하수에 사용되는 세제 성분 및 인근 지역으로부터 유입된 비점오염원이 퇴적된 데 따른 영향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산림과학원. 2005. 주요산림기능별 숲가꾸기. 연구보고 08-16. pp. 54-60.
  2. 국립산림과학원. 2008.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 표준매뉴얼. 연구신서 5: 17-33.
  3. 김태근. 2006. 우포늪 지역에서 버드나무류의 군집구조와 1차 생산성.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3.
  4. 김태근, 이팔홍, 오경환. 2007. 우포늪 지역에서 버드나무류 군집의 현존식생도, 현존량 및 1차 생산량. 한국습지학회지 9(2): 33-43.
  5. 김철수, 이팔홍, 오경환. 1999. 선버드나무의 생산성과 생산구조. 한국습지학회지 1(1): 61-69.
  6. 박재현. 2010. 지리산국립공원내 칠선계곡 탐방로의 회복에 관한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3(2): 105-113.
  7. 박재현, 배상원, 이상태. 2010. 하동 송림 복원을 위한 휴식년제 효과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3(5): 172-179.
  8. 산림청. 2001. 산림과 임업기술(II) 산림조성. 485-489.
  9. 안영희, 양영철, 전승훈. 2001. 안성천 수계의 버드나무과 식물의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월동천, 옥정천, 조령천, 기솔천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3): 213-223.
  10. 우보명. 2003. 훼손지환경녹화공학. 서울대학교출판부. pp. 558.
  11. 이인순. 2002. 남강 유역에서 환경 구배에 따른 버드나무속의 분포와 군집구조.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2.
  12. 이인순, 이팔홍, 손성곤, 김철수, 오경환. 2001. 남강 유역에서 환경 구배에 따른 버드나무속의 분포와 생태적지위. 한국생태학회지 24(5): 289-296.
  13. 이창우. 2009. 우포습지의 버드나무속 주요 3종의 공간분포. 계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1.
  14. 이천용. 1995. 산림환경토양학. 진성문화사. pp. 45-88.
  15. 이팔홍. 2002. 하천변에 분포하는 버드나무속의 생장 특성과 군집동태,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27-68.
  16. 한국수자원공사. 2002, 남강다목적댐 호소 및 주변지역 생태환경조사(1차). pp. 21-252.
  17. 한국수자원공사 남강댐관리단. 2004. 남강댐 퇴사량 조사용역 보고서, 3-1-3-97, 5-1-5-2, 8-1-8-47.
  18. 환경부. 2008. 수달생태휴식처(ECO-REST) 조성에 따른 이용실태연구. pp. 13-71.
  19. 환경부. 2010. 진양호 서식수달(Lutra)의 혈연관계분석. pp. 39-52.
  20. Froehilich, H.A., Miles, D.W.R. and Robbins, R.W. 1985. Soil bulk density recovery on compacted skid trails central Idaho.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n Journal 49(4): 1016-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