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Rice Hull Cover for Seed Germination, Types of Tray and Soil, Shading Conditions for Seedling Growth of Codonopsis pilosuala

왕겨 피복에 따른 만삼 종자발아와 육묘를 위한 트레이, 토양 및 차광처리 효과

  • Lee, Su Gwang (Division of Plant Conserva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Ku, Ja Jung (Division of Plant Conserva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Cho, Won Woo (Department of Biological and Environment Science, Dongguk University) ;
  • Kang, Ho Duck (Department of Biological and Environment Science, Dongguk University)
  • 이수광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 구자정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 조원우 (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
  • 강호덕 (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rice hull cover on seed germination and tray types, soil types, shading conditions for seedling growth of Codonopsis pilosuala. We also examined the feasibility of cultivation of small seedlings transplanted in the Gyeonggi-do area for a month. Under control condition, the seed germination was 8% whereas it dramatically increased to 78% under rice hull cover treatment. Under the different conditions (tray types, soil types, and shading conditions), young seedlings showed the best quality without shading in TKS soil of 50 plug cell tray, with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lant height (11.9 cm), number of leaves (71), leaf width (3.1 cm), leaf length (2.6 cm), and root length (14.3 cm). Seedling quality was the best without any shading in TKS+perlite, with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vaporation (3.9 $mmol{\cdot}m^{-2}s^{-1}$), carbon assimilation (9.1 ${\mu}mol{\cdot}m^{-2}s^{-1}$), and water use efficiency (2.2 ${\mu}mol{\cdot}m^{-2}s^{-1}$). Considering the economical,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survival rate of the seedlings, it was an ideal method for transplanting seedlings in the field after they have been grown for 30-45 days in TKS and TKS+perlite of 200 plug cell tray in 0% or 30% shaded conditions. As the results of 5 months examination on the possibility to cultivate Codonopsis pilosuala in the Gyeonggi-do area, 88% to 96% of survival rate was observed with normal induced flowers. Therefore, cultivation of Codonopsis pilosuala was possible in the Gyeonggi-do area. While there were symptoms of etiolation and wilting under no shading condition, they did not appear in 30% and 70% shading conditions. Therefore, cultivation of Codonopsis pilosuala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30% or 70% shading.

본 연구는 왕겨 피복에 따른 만삼의 종자발아와 육묘에 미치는 트레이, 토양 및 차광처리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 달 간 성장시킨 유묘를 경기도의 특정지역에 이식하여 재배 가능성 또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왕겨 피복 대조구의 발아율은 8%인 반면, 왕겨 피복 처리구의 발아율은 78%로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트레이, 토양 및 차광을 달리한 조건에서 만삼의 생육특성은 차광 무 처리 트레이 50구 TKS 토양 처리구에서 초장 11.9 cm, 엽수 71매, 엽폭 3.1 cm, 엽장 2.6 cm 및 근장 14.3 cm로 가장 양호한 생육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생리적 특성은 차광무 처리 TKS+펄라이트 처리구에서 증산량 3.9 $mmol{\cdot}m^{-2}s^{-1}$, 광합성능 9.1 ${\mu}mol{\cdot}m^{-2}s^{-1}$ 및 수분이용효율 2.2 ${\mu}mol{\cdot}m^{-2}s^{-1}$로 가장 양호하였다. 하지만 경제성, 생육 및 생리적 특성과 육묘기간의 생존율을 종합하여 고려하면 차광 무 처리 혹은 30% 차광조건에서 200구 트레이의 TKS 및 TKS+펄라이트 처리구에서 30~45일 간 육묘 후 포지에 이식하는 것이 적합 할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경기도 지역에서 5 개월 간 재배 시 88~96%의 생존율과 개화까지 가능하여 경기도 지역에서도 만삼 재배의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재배 실험 시 차광 무 처리의 일부 개체는 황화 현상과 위조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만삼 재배에는 30% 및 70% 차광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진호, 김동일, 강신윤, 심영도, 한경수. 1997a. Priming과 $GA_3$ 처리에 따른 도라지, 더덕 및 만삼의 출아와 생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5: 307-313.
  2. 강진호, 박진서, 김영광. 1997b. $GA_3$ 및 채종 후 광질처리에 따른 도라지, 더덕, 만삼의 발아율. 한국약용작물학회지 5: 169-176.
  3. 강진호, 심영도, 전병삼. 2001. 만삼의 입묘율 향상을 위한 파종전 종자처리의 모형화. 한국약용작물학회지 9: 99-107.
  4. 강진호, 윤수영, 전승호. 2004.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약용작물 종자처리의 실용성 분석.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2: 328-341.
  5. 김남삼. 2000. 만삼 재배기술 확립 연구. 경기도농업기술원. pp. 617-628.
  6. 김만조. 2011. 산림의 단기소득원을 활용한 산림복합경영. 산림지. 2011 4월호. pp. 58-63.
  7. 김인재, 김민자, 남상영, 이철희, 김홍식. 2003. 피복재료가 층층갈고리둥글레의 생육, 수량 및 잡초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잡초학회지 23: 34-39.
  8. 기상청. 2012. 지상관측자료, 과거 요소별 자료 (www.kma.go.kr)
  9. 농림수산식품부. 2010. 2009 특용작물생산실적. pp. 23.
  10. 박권우, 백혜원, 김민순, 이문정. 1998. 허브 육묘시 적정 파종상토와 육묘상토의 선발. 원예과학기술지 16: 429.
  11. 배종향, 이상욱, 최준혁, 강남희, 김호철, 은종선. 2010. 플라스틱필름 하우스 수박 재배에서 육묘 포트 종류 및 정식 방법이 생육 및 과실 특성에 미치는 영향. 생물환경조절학회지 19: 82-87.
  12. 산림청.국립수목원. 2008. 한국 희귀식물 목록집. Geobook. pp. 185.
  13. 서상명, 서정식, 김기식, 소호섬, 모영문. 1994. 만삼 재배기술 확립시험. 강원도 농촌기술원 시험연구보고서. pp. 250-252.
  14. 안덕균. 2003. 한국본초도감. 교학사. 서울. pp. 731.
  15. 육창수, 이선주, 유승조. 1981. 한국본초학. 계출문화사. 서울. pp. 178.
  16. 이기철, 김현진, 김명수, 김은혜, 안지홍. 2010. 온도가 만삼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학기술지 29: 149-150.
  17. 이성열, 조수현, 노준현, 윤종탁, 유창연, 이진하, 김종대. 2003. 마가목 종자의 발아율 향상과 육묘기술. 한국약용 작물학회지 11: 135-142.
  18. 이승택, 채영암. 1996. 약용작물재배. 향문사. 서울. pp. 78.
  19. 이정수, Pill WG, 박수형, 신영안, 도경란, 강용구. 2003. 종자 전처리 및 육묘 방법이 시금치 발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학기술지 44: 850-854.
  20. 이중호, 권지웅, 이승엽. 2001. 고온에서 $GA_3$ 처리가 자소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9: 198-204.
  21.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p. 724.
  22. 이충열, 원준연. 2007. 차광처리가 더덕의 광합성율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5: 152-156.
  23. 임록재. 1998. 조선약용식물지 2. 농업출판사. 평양. pp. 155-156.
  24. 장광진, 박철호, 이승택. 2000. 알기쉬운 약.특작 생산 기술. 진솔. 서울. pp. 148-149, 155.
  25. 장영득, 정정학, 이철희. 2009. 구절초의 플러그셀 크기 및 육묘기간이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원식물학회 학술심포지엄 2009: 128.
  26. 정병철, 2002. 엽록소 형광을 이용한 광합성 생물의 특성연구. Biowave 4: 1-23.
  27. 조재영, 이은웅. 2000. 재배학범론. 향문사. 서울. pp. 220.
  28. 천상욱. 2010. 차광처리에 따른 시설하우스 재배 고들빼기의 생육 및 생리활성 변화. 한국잡초학회지 30: 215-224.
  29. Choi, J.M., Ahn, J.W. and Ku, J.H. 2007.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tomato plug seedlings influenced by elevated blending rate of perlite in coir and peatmoss substrates.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48: 270-276.
  30. Cui, L., Li, J., Fan, Y., Xu, S. and Zhang, Z. 2006. High temperature effects on photosynthesis, PSII function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wo Festuca arundinacea cultivars with different heat susceptibility. Botanical Studies 47: 61-69.
  31. Floragard. 2012. Profi-Catalogue. Floragard Vertriebs GmbH. Oldenburg. Germany. pp.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