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Techniques Development for the Possibility Area Analysis of Yarding Operation and the Forest-road Network Arrangement using GIS

GIS를 이용한 집재작업 가능구역 분석 및 노망배치를 위한 기법 작성

  • Kwon, Hyun-Jung (Department of Forestry,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Sang-Jun (Department of Fore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In order to establish efficient timber harvesting system and provide the necessary data for the system establishment, the techniques to identify areas possible of the yarding-operation and design forest-road networks were newly developed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techniques are tested in this study. The new techniques were developed based on ArcGIS, particularly with utilizing the Viewshed Analysis Tool. From the results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possible yarding-operation areas, it is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possible yardingoperation area decreases with the increment of maximum yarding distance due to terrestrial effects. When forest road networks are extended in impossible yarding-operation sites, the area of possible yarding-operation sites increases. If a forest road network is newly designed, its overall extension is altered, resulting in changes in the possible yarding-operation area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among the different possible yardingoperation areas from different forest road networks, the maximization of the yarding-operation possible area can be achieve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utilized for establishing more efficient timber-harvesting system and developing GIS-based programs to manage the system.

효율적인 임목수확작업시스템 구축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GIS에 의한 조망권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GIS를 이용한 집재작업 가능구역 분석 및 노망배치를 위한 기법을 작성하고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집재작업 가능구역 분석결과, 집재작업 가능구역의 면적 비율은 최대집재거리가 길어질수록 지형의 영향 때문에 줄어들었으며, 집재작업 불가능구역에 추가로 임도망을 개설하여 노망개설 전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집재작업 가능구역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신규로 노망배치를 실시할 경우, 노망의 배치형태에 따라 집재작업 가능구역이 달라지므로 GIS 노망배치기법을 적용하여 신규 노망배치에 따른 집재작업 가능구역을 비교 분석한 결과, 집재작업 가능구역이 최대로 되는 가장 효율적인 최적의 노망배치를 구축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GIS를 이용한 효율적인 임목수확작업시스템의 구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진택, 박남창, 신현철, 최재채, 정영관. 2002. GIS를 이용한 주요 난대수종의 적지판정 및 Mapping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p. 122-124.
  2. 권대순, 김형호, 정주상. 2004. GIS 기반 영림계획 전산 체계의 개발.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p. 373-375.
  3. 권대순, 정주상. 2003. 사방댐 관리를 위한 COM Component 개발.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p. 124-126.
  4. 김경남, 김만필, 최조룡, 서옥하, 원현규, 심주석. 2003. Componet GIS 기반의 산림업무 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p. 385-387.
  5. 김경남, 전근우. 1999. GIS와 SCS's method를 이용한 임도개설지의 직접 유출량 추정 기법의 개발.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p. 146-149.
  6. 김남신. 2009. GIS 실습-아크뷰를 활용한 지도제작과 공간 분석. 한울아카데미.
  7. 김대훈, 2001. 조망권 침해현황과 분쟁사례. 대한지방행정공제회 36(395): 21-33.
  8. 김은식, 이시영, 임효선, 김홍, 송종훈, 김수영. 1998. 유동장 해석을 통한 산불확산예측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임학회지 87(4): 528-534.
  9. 김재헌, 윤호중, 이창우. 2004. GIS를 이용한 사방구조물 적지선정 시스템 개발.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p. 350-352.
  10. 김준범, 조명희, 오정수, 신동호. 2001. GIS를 이용한 산림병해충 정보검색 시스템 개발. 한국임학회지 1(1): 178-179.
  11. 김준범, 조명희, 이상길. 2004. PDA와 Mobile GIS를 이용한 산림재해 정보관리시스템 개발.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p. 213-214.
  12. 김형호, 정세경, 정주상. 2006.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GIS 응용모델의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4): 1-11.
  13. 김형호, 정주상, 김종호, 전준헌. 2003. GIS를 이용한 산림기능평가,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p. 191-193.
  14. 노대균, 정세경, 오종언. 1992. 산지원면관리를 위한 AUTOCAD 및 GIS의 이용,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p. 73-74.
  15. 박상준. 2009. 효율적인 산물수집을 위한 임업기계 편람 및 노망구축. 사단법인 경북산림포럼. pp. 277.
  16. 산림청. 2011 임업통계연보. 제41호. pp. 32.
  17. 서옥하, 김경남, 지병윤, 차두송, 전근우. 2000. GIS 기반의 임도 붕괴위험도 예측 전문가 시스템 개발. 한국 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p. 195-197.
  18. 성규철, 유병일, 박영규. 2003. GIS를 이용한 산림기능 구분도 작성.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p. 335-338.
  19. 신준환, 김철민. 1996. 우리나라의 생태계 구분(I). 산림과학논문집 54: 188-199.
  20. 이규성. 1994. 산림유역의 토양유실량 예측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범용토양유실식에의 적용. 한국임학회지 83(3): 322-330.
  21. 이병두, 정주상, 이명보. 2005. GIS를 이용한 지표화 확산예측모델의 개발. 한국임학회지 94(6): 481-487.
  22. 이정수, 이후철, 서환석. 2009. GIS를 기반으로 한 산림바이오에너지의 공급 및 수요 잠재지도 작성. 한국임학회지 98(3): 311-318.
  23. 이종수, 이우균, 윤정호, 송철철. 2006. 공간통계와 GIS를 이용한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분포패턴. 한국임학회지 95(6): 663-671.
  24. 이준우, 김명준. 2003. GPS와 GIS를 이용한 임도의 차량 주행속도별 위험구간 예측 응용프로그램 개발. 한국임학회지 92(4): 380-387.
  25. 임주훈, 강영호, 원명수, 신수철, 이명보. 2003. GIS를 이용한 산불피해지 복구계획 수립 기법.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p. 108-110.
  26. 전권석, 마호섭. 2000. GIS를 이용한 임도망 계획의 D/B구축 및 노선선정.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p. 191-194.
  27. 전은진, 이종수, 정재서, 이우균. 2004. GIS 및 산림생장 예측모델 기반 산림관리 시스템 개발.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p. 371-372.
  28. 정성학. 1994. 산림조사 및 경영을 위한 위성원격탐사. 한국임학회지 83(1): 75-87.
  29. 정주상, 김형오, 차재민, 박영규. 2002. GIS 응용에 의한 산림기능 적합도 분석을 위한 산림구획기법. 한국임학회지 91(1): 1-9.
  30. 정주상, 박은식, 오동하. 1998.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실무형 산림경영전산모델의 개발. 한국임학회지 87(2): 300-307.
  31. 정주상, 이병두. 2000. GIS를 이용한 환경친화적 임도 노선 및 평가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p. 145-148.
  32. 정주상, 차재민. 2000. GIS를 이용한 산림기능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p. 142-144.
  33. 차두송, 이준우. 1992. 최적임도배치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1(2): 139-145.
  34. 최조룡, 원현규, 우종춘. 2000. 지리정보체계에 의한 벌채가능지역의 입목가격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p. 123-126.
  35. 한상열, 최 관. 1991. 산림화재예측 Model의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0(3): 257-264.
  36. 홍지성, 오동하, 김성일. 1998. GIS를 활용한 수목원 관리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pp. 118-120.
  37. Bormann, F.H. and Likens, G.E. 1997. Patterns and processes in a forested ecosystem. Springer-Ver-lag, New York. pp. 253.
  38. ESRI. 1991. ARC/INFO User's Guide.
  39. Hickman, C.E. 1995. Feature-based data models and linear referencing systems aids to avoiding excessive segmentation of network links. GIS-T Symposium.
  40. Maclean, A.L., David, D.R., Glenn, D.M., Gary, W.L., and Thomas, E. 1992. Using GIS estimate forest resource changes. Journal of Forestry 90(12): 22-25.
  41. Morgan, G. and Hohmaann, M. 1992. Social Forestry and GIS. Journal of Forestry 90(12): 10-15.
  42. Reute, S.E. 1988. ROUTES : A Computer Program for Preliminary Route location. USDA For. Ser. PNW-GTR-216.
  43. Richard, D. 2001. FLESA-Tools ArcView Software Extension User Guide. North Country and Southern New Hampshire Resourc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Area Councils.
  44. DDRplus, 2010. 조망권. http://www.DDRplus.com/

Cited by

  1. 타워야더를 이용한 전간집재작업의 생산성 및 비용과 적정 노망밀도 분석 vol.106, pp.3, 2013, https://doi.org/10.14578/jkfs.2017.106.3.300
  2.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한 목재수확조절법 연구 vol.109, pp.4, 2013, https://doi.org/10.14578/jkfs.2020.109.4.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