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aning based on Yin-Yang and Five Elements Principle in Semantic Landscape Composition of 'the Forty Eight Poems of Soswaewon'

'소쇄원(瀟灑園) 48영'의 의미경관 구성에 있어서 음양오행론적(陰陽五行論的) 의미(意味)

  • Jang, Il-Young (Dept. of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of Environmental Planning, Woosuk University) ;
  • Shin, Sang-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장일영 (우석대학교 자원개발 환경계획연구소) ;
  • 신상섭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otential semantic landscape makeup of "the Forty Eight Poems of Soswaewon" according to Yin-Yang and Five Elements Principle(陰陽五行論). that speculation system between human's nature and cosmical universal order. Existing academic discussions made so far concerning this topic can be summed up as follows: 1. Among Yin-Yang-based landscape makeups of the Forty Eight Poems of Soswaewon, poetic writings for embodiment of interactions between nature and human behaviors focused on depicting dynamic aspects of a poetic narrator when he appreciates or explores hills and streams as of to live free from worldly cares. Primarily, many of those writings were created on the east and south primarily through assignment of yang. On the other hand, poetic writings for embodiment of nature and seasonal scenery - as static landscape makeup of yin - were often created on or near the north and west for many times. Those writings focusing on embodiment of nature and artificial scenery as a work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category refers to author Kim In-hu's expression of semantic landscape from seasonal scenery in nature. The other refers to his depiction of realistic garden images as they are. In the Forty Eight Poems of Soswaewon, the poetic writings show that author Kim focused on embodying seasonal scenery rather than expressing human behaviors. In addition, both Poem No. 1 and Poem No. 48(last poem; titled 'Jangwon Jeyeong') were created in a same place, which author Kim sought to understand the place as a space of beginning and end where yin and yang - i.e. the principle of natural cycle - are inherent. 2. According to construction about landscape in the Forty Eight Poems of Soswaewon on the basis of Ohaeng-ron (five natural element principle), it was found that tree(木) and fire(火) are typical examples of a world combined by emanation. First, many of poetic writings depicting the sentiments of tree focused on embodying seasonal scenery and were located in the place of Ogogmun(五曲門) area in the east, from overall perspective of Soswaewon. The content of these poems shows generation and curve / straightness in flexibility and simplicity. Many of poems depicting the sentiments of fire(火) focused on embodying human behaviors, and they were created in Aeyangdan area on the south of Soswaewon over which sun rises at noon. These poems are all on a status of side movement that is characterized by emanation and ascension which belong to attributes of yang. 3. With regard to Ohaeng-ron's interpretation about landscape in the Forty Eight Poems of Soswaewon, it was found that metal(金) and water(水) are typical examples of world combined by convergence. First, it was found that all of poems depicting sentiments of metal focused on embodying seasonal scenery, and were created in a bamboo grove area on the west from overall perspective of Soswaewon. They represent scenery of autumn among 4 seasons to symbolize faithfulness vested in a man of virtue(seonbi) with integrity and righteousness. Poems depicting sentiments of water were created in vicinity of Jewoldang on the north, possibly topmost of Soswaewon. They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category refers to poems embodying actions of welcoming the first full moon deep in the night after sunset, and the other refers to poems embodying natural scenery of snowscape. All of those poems focused on expressing any atmosphere of turning into yin via convergence. 4. With regard to Ohaeng-ron's interpretation of landscape in the Forty Eight Poems of Soswaewon, it was found that poems depicting sentiments of earth(土), a complex body of convergence and emanation, were created in vicinity of mountain stream around Gwangpunggak which is located in the center of Soswaewon. These poems focused on carrying actions of author Kim by way of natural phenomena and artificial scenery.

본 연구는 소쇄원 48영의 잠재적 의미경관 구성에 있어서 인간의 본성과 우주적 보편적 질서를 연결하는 사유체계라 할 수 있는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적 의미를 추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소쇄원 48영에 대한 음양(陰陽)적 경관구성 중 자연과 행위의 관계를 형상화 한 시문은 작중 화자가 산수를 유유자적하게 완상하거나 답사하는 동적인 모습을 그렸다. 주로 양(陽)의 배속을 통해 동 남쪽에서 창작된 경우가 많았다. 반면 정적인 음(陰)의 경관구성이라 할 수 있는 자연과 경물을 형상화 한 시문은 북 서쪽 부근에서 창작된 경우가 많았다. 자연과 인공 경물을 작품으로 형상화 한 시문은 김인후 자신이 경물을 두고 의미경관을 표출하고자 한 경우와 있는 그대로의 사실적 정원의 이미지를 묘사한 경우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시문은 행위의 표현보다는 경물을 형상화하는데 치중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제1영과 마지막 작품인 '장원제영'의 시문이 모두 같은 구역 안에 있다는 것은 음과 양, 자연의 순환원리가 내재된 종시(終始)적 공간으로 파악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소쇄원 48영에 대한 오행론(五行論)적 경관해석 중 발산(發散)에 의해 결합된 세계로서 목(木), 화(火)기(氣)를 들 수 있다. 먼저 목의 성정을 나타내는 시문은 경물을 형상화 한 시문이 많았으며, 정내의 전체구도에서 동향인 오곡문 구역에 배치되어 있었다. 시문의 내용은 유연하고 소박함 속에서 발생과 곡직(曲直)을 나타내고 있다. 화의 성정을 나타내는 시문은 행위를 형상화 한 시문이 많았으며, 정내에서는 낮에 해가 위치하는 남향인 애양단 구역에서 창작되었다. 모두 양의 속성인 발산과 상승을 특징으로 하는 변(變)의 운동에 오른 상태라 할 수 있다. 3. 소쇄원 48영에 대한 오행론적 경관해석 중 수렴(收斂)에 의해 결합된 세계로서 금(金), 수(水)기를 들 수 있다. 먼저 금의 성정을 나타내는 시문들은 모두 경물을 형상화 한 시문이었고, 정내의 전체구도에서는 서향인 대나무 숲 구역에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계절 중 가을의 경치를 나타내며, 선비의 단호함과 의로움의 정결을 나타내고 있다. 수의 성정을 표현한 시문은 정원의 가장 상단이라 할 수 있는 북향의 제월당 부근에서 창작되었으며, 시간적으로 저녁 늦은 밤 달맞이를 하는 행위를 형상화 한 시문과 설경의 자연경물을 형상화 한 시문이었다. 모두 수렴에 의한 음으로 화(化)하는 기운을 표현한 시문이라 할 수 있다. 4. 소쇄원 48영에 대한 오행론적 경관해석 중 수렴과 발산의 복합체라 할 수 있는 토(土)의 성정을 나타내는 시문은 내원의 경관 중 중앙에 위치한 광풍각 계류주변이며, 자연현상과 인공경물을 통해 작가의 행위를 매개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조(2001). 소쇄원 48영에 보는 경관체험과 평가의 원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9(35): 62-73.
  2. 김기(2012). 음양오행설의 주자학적 적용양상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범수(2004). 河西 김인후의 인간관; 도덕 실천주체로서의 인간이해. 철학연구. 92: 59-84.
  4. 김성진(2008). 河西 김인후의 생애와 시문학적 동향. 한국고전연구. 16: 85-110.
  5. 김성우(1999). 소쇄원 및 주변 보존종합계획. 명지대학교 부설한국건축문화연구소. p.80.
  6. 김영모(2003). 시짓기와 원림 조영기법에 관한 연구: 소쇄원 48영을 통해 본 소쇄원의 조영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1(2): 2-17.
  7. 김인후, 신호열, 양재영, 하성흡(2002). 긴담장에 걸리운 맑은 노래: 그림과 함께 보는 소쇄원 48영. 서울:현실문화연구
  8. 김형효(1997). 퇴계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292.
  9. 김형효(2003). 마음혁명. 파주: 살림. p.17.
  10. 권영걸(2006). 한․중․일의 공간조영, 서울: 도서출판 국제. p.80.
  11. 류정동(1982). 동양학12.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2. 류시성, 손영달(2011). 갑자서당. 서울: 북드라망. p.117.
  13. 문성환(2012). 전습록, 앎은 삶이다. 서울: 북드라망. p.72.
  14. 박명희(2002). 하서 김인후의 소쇄원 48영 고. 우리말글 25: 14-15.
  15. 박성규(2002). 河西 김인후의 자연시 연구. 한문교육연구. 18: 229-254.
  16. 박정욱(2001). 풍경을 담는 그릇. 서울: 서해문집.
  17. 백승종(2003). 대숲에 앉아 천명도를 그리네. 파주: 돌베게. p.404.
  18. 서경요(2002). 河西 김인후의 천명도 구조와 성리학 연구. 동양철학연구. 28: 6-23.
  19. 신상섭, 장일영, 고여빈(2010). 한국디자인 DNA 심화연구: 전통조경. 한국디자인협회 보고서. p.8.
  20. 이강훈(1988). 건축적 사고로서의 음양개념의 분석. 대한건축학회지 4(3): 133-139.
  21. 이영미(2004). 한국전통건축의 해석을 위한 존재론적 접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이영미(2009). 현상학적 체험 공간으로서 '정자'에 나타난 감성의 트랜스액션. 호남문화연구. 45.
  23. 이재철(1974). 천명도설에 대하여. 한국비블리아. 제2집: 9-37.
  24. 유권종(2002). 천명도 비교 연구; 추만, 河西, 퇴계. 한국사상사학. 19: 119-150.
  25. 유아사 야스오(2004). 몸과 우주. 파주: 지식산업사. p.77.
  26. 장명철(2010). 담양 소쇄원과 소주 졸정원의 비교:인공과 자연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장일영, 신상섭(2010). '복잡성 이론'에 의한 한국 전통정원의 해석: 한국의 명원 소쇄원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 75-85.
  28. 천득염(1999). 한국의 명원 소쇄원. 서울: 도서출판 발원.
  29. 한면희(2009). 동아시아 문명과 한국의 생태주의. 서울: 철학과 현실사. p.68.
  30. 함현찬(2007). 주돈이:성리학의 비조.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p.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