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서 명승지역 내 노거수목의 관리개선방안

Management Improvement of Big and Old Trees in the Byeol-seo Scenic Sites

  • 이종범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이창훈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최병재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이재근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Lee, Jong-Bum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Lee, Chang-Hu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Choi, Byoung-Ja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Lee, Jae-Keu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발행 : 2013.03.31

초록

별서의 성격이 나타나는 명승지역의 노거수목은 다른 명승지역보다 인위적 피해에 노출이 심하며, 수령이 많은 수목은 외부 환경조건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그에 상응하는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명승지 중에서 별서의 유형이 나타나는 지역 내 노거수목의 실태를 살펴보고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상부 수목건강도와 관련하여 수관변형, 가지고사, 수피고사가 수세판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탐방객이 많은 지역은 고사지와 고사목에 대한 신속한 조치가 요구되었으며, 이용객과 시설물의 안전대책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였다. 둘째, 토양환경은 답압과 수세판단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대상지역 15개소 중 답압에 노출된 수목은 64.2%로 이용객 증가에 따라 수세가 쇠약하였다. 이에 답압에 견딜 수 있는 지표층을 조성하는 방안으로 답압에 강한 초본류의 식재나 이용 동선에 보조시설의 설치도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대상지는 연못과 계류에 인접한 곳이 많았으며, 수변지역 수목들은 토양과습으로 인한 생육저하 현상이 진행되고 있어 관리대안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여름철 집중호우로 인한 퇴수구 막힘 현상은 주변의 토양 과습을 초래하여 수목에는 치명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장마 전 후에 호안 주변과 물 빠짐부에 대한 정비계획과 시행이 필요하다. 이 외에도 명승지역 별서정원 주요수목의 지속적인 보존을 위한 중장기적인 관리 정책을 계획하고, 대상지별 특징에 따른 수목관리 지침서화 작업을 적극적으로 제안하며, 이러한 체계적인 관리시스템 개발의 연구와 예산확보 등을 통한 유지관리를 위해 전문적인 인력 확보가 요구된다.

Big and old trees in the scenic spots with the attributes of remote villas are vulnerable to man-made damages and very sensitiv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soil conditions, so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plans are required. Thu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survey the big and old trees in the scenic remote villas and suggest the ideal management plan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tree heath above the ground, transformation of tree, death of branches, and death of barks are closely related to tree vigor. Particularly, the areas receiving many visitors require prompt countermeasures against the dried and dead tress above the ground and the areas in which dried and dead tress occurred and also the safety measures for the visitors and facilities. Second, regarding the soil environment, visitor traffic is closely related to the tree vigor. In 15 remote villa gardens, 64% of trees are exposed to heavy traffic and the tree vigor has declined due to an increase of visitor. Thus, there is a need to give positive consideration the installation of the complementary facilities and the plantation of herbal plants in the congested areas to form the ground surface that can tolerate the heavy visitor traffic. Third, remote gardens are in general located adjacent to ponds and mountain streams and thus the trees in the waterfront areas require the prompt countermeasures against the decline of growth due to the excess-moisture in the soil. Further the blockage of the sewage system due to the heavy rains dampens the surrounding soil, which results in lethal damages to the trees. Thus, there is a need of the maintenance of the waterfront areas and sewage system before and after the rainy season.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medium-long term management polices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main trees of remote villa gardens in scenic spots and prepare the tree management manual depending on the attributes of the corresponding areas. I strongly suggest making manuals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as well as the extensive PR activities and education for the preservation of tress on a long-term basis; and furthermore securing the budget and manpower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경, 이승제(2004). 생육환경분석을 통한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관리방안.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2): 36-45.
  2. 강호철, 이정환, 이광수, 사공영보(2002). 농촌지역 노거수의 생장활력도와 주변환경에 대한 평가(1). 한국정원학회지. 20(4): 27-36.
  3. 김용수, 임원현(1996). 도시역 거수목의 잔존형태와 그 효용성에 관한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3): 14-28.
  4. 김학범(1991). 한국의 마을원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혜란(2010). 강원도 보호수의 현황 및 관리실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나용준, 신현동, 이종규, 차병진(1999). 수목병리학. 서울: 향문사.
  7. 문화재청(2009). 전국 별서 명승자원 지정조사 보고서.
  8. 문화재청(2012). 천연기념물 식물 입지환경 및 관리개선방안 연구.
  9. 박종민, 이정택, 변무섭(2000). 전북지역 노거수 자원의 실태 조사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8(3): 86-96.
  10. 박익수(2000). 소쇄원의 경관분석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산업기술연구논문집. 8(1): 1-9.
  11. 신구대학교(2004). 실무교육 실습지침서.
  12. 안동만(1993). 역사도시에서의 역사 경관 보전방안. 대한지방행정공제회. 28(301): 20-36.
  13. 이경준(2001). 조경수 식재관리기술. 서울대학교 출판부.
  14. 이승제(2004). 활력도 및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노거수 관리방안.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재근(1992). 조선시대 별서정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16. 이종범(2007). 보호수 주변의 환경변화에 따른 생육실태 연구. 한경대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장은재(2005). 경상북도 노거수 식물자원에 대한 식생학적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정종수(2008). 노거수 외과수술실태 및 보존 관리방안.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최만봉, 이규완(1992). 천연기념물 지정수의 현황과 관리실태 및 그 대책에 관한 연구. 도시 및 환경연구. 7(1): 225-250.
  20. 충북 보은군(2000). 정이품송 수세회복을 위한 종합 연구조사.
  21. 하태주, 이재근, 유창민, 박근엽(2006). 충청남도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활력도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3): 8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