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Ponds and the Account of Reconstruction at Jondeokjeong Area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 Palace

창덕궁 후원 존덕정 일원 지당의 변형과 조영경위에 관한 고찰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changed contents and details of the ponds at Jondeokjeong area in the Changdeok Palace, where was modified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高宗, 1863~1907), and considered the internal context through the diachronic views about royal garden building in the Joseon Dynasty. The results were as be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 transformed time of the ponds at Jondeokjeong area was the 21th year of King Gojong(1884) based on the pictures taken in the last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the records of "Gojongsilrok(高宗實錄: Annals of the King Gojong)". Second,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remodeled ponds at Jondeokjeong area by King Gojong were followed the landscape of Geoncheong Palace(乾淸宮) and Hiangwon-pond(香遠池) in Gyeongbok Palace because the remodeled ponds of Jondeokjeong area had the spatial organization similar to Hiangwon-pond. Third, the bridge of remodeled ponds at Jondeokjeong area was utilized as the expedient to expand the function of rear garden, which combines the areas of Yungyungdang(演慶堂) and Jondeokjeong. This was the same method that Konchunggung(乾淸宮) in Gyeongbok Palace had occupied the whole area through the Chui-hiang bridge(醉香橋) which connects to the Hiangwonjeong(香遠亭). Fourth, ponds at Jondeokjeong area and Hiangwonjeong that were created during the year of King Gojong promised the use of Yungyungdang and Konchung Palace, and reflected the statuses of the two building-blocks. Lastly, this study concluded the remodeled Jondeokjeong ponds were not only to create the necessary spaces of the landscape for King Gojong, but also to build the space on the context of Huwonjeongdang(後苑政堂: political structure in rear garden), which has been passed down from their ancestors.

본 연구는 고종 연간 변형된 창덕궁 존덕정 일원의 지당을 대상으로 변모된 내용과 경위를 구명하고 조선시대 궁원 조영의 통시적 차원에서 이의 내적 맥락을 고찰한 것이다.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존덕정 일원의 지당이 변형되기 시작한 시점은 19세기 후반에 촬영된 사진과 "고종실록"의 기록을 근거로 고종 21년(1884년)으로 판단하였다. 둘째, 개축 존덕정 일원의 지당은 향원지와 유사한 공간구성을 갖도록 정비되어 갔던 바, 고종이 창덕궁 환어 후 착수한 존덕정 일원 지당의 개조는 경복궁 건청궁과 향원지의 정감을 재현한 결과물로 판단된다. 셋째, 개축 존덕정 일원 지당의 교량은 연경당과 존덕정 영역을 통합하는 후원 기능 확장의 방편으로 활용되었다. 이것은 경복궁에서 건청궁이 향원정을 잇는 취향교를 통해 일대의 공간을 점유했던 방법과 같았다. 넷째, 고종때에 조성된 존덕정 일원 지당과 향원지는 연경당과 건청궁의 이용을 전제로 한 것이었으며, 나아가 두 일곽의 위상을 반영한 것이었다. 다섯째, 개축 존덕정 일원의 지당은 단순히 고종의 경관을 감상하는 취향에 따라 필요한 공간을 조성한 것이 아니라, 선대부터 전승되어온 후원정당의 맥락상에 있는 조영체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기래, 이기철(2010). 창덕궁 지당의 변화과정 연구: 동궐도를 기준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8(1): 107-118.
  2. 국립중앙박물관(2007).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1, 궁궐.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3.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2006). 일본 궁내청 소장 창덕궁 사진첩.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4. 부산박물관(2009) 사진엽서로 보는 근대풍경 4 관광. 서울: 민속원.
  5.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1994). 궁궐지 1. 서울: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6. 안창모(2009) 덕수궁: 시대의 운명을 안고 제국의 중심에 서다. 파주: 동녘.
  7. 이돈수, 이순우(2009). 꼬레아 꼬레아니. 서울: 하늘재.
  8. 이혜원(2009). 景福宮중건 이후 殿閣構成의 변화: "경복궁배치도"와 北闕圖形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원논문.
  9. 정동오(1986) 한국의 정원. 서울: 민음사.
  10. 정우진(2011) 동궐 후원의 변천과정과 원형경관 해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정우진, 심우경(2012a). 동궐도상의 존덕정 영역에 나타난 무편액 건물의 조영사적 고찰. 문화재. 45(1): 148-173.
  12. 정우진, 심우경(2012b). 창덕궁 태액지의 조영사적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2): 46-63.
  13. 정우진, 김형석, 심우경(2012). 창덕궁 옥류천의 수경특성과 변천과정.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3): 42-56.
  14. 조선총독부(1915). 조선고적도보 10권. 동경: 조선총독부.
  15. 朝鮮王朝實錄.
  16. 한러대화 사무국(2010). 다시 만나는 이웃 러시아: 2010 한러수교 20주년 기념전. 서울: KRD.
  17. 홍순민, 강명숙, 박현순(2009). 서양인이 만든 근대 전기 한국이미지I 서울풍광. 파주: 청년사.
  18. Arnold Henry Savage Landor(1895). Corea; or, Cho-se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London: W. Heinemann.
  19. George William Gilmore 저, 신복룡 역(1999) 서울 풍물지. 서울: 집문당.
  20. http://db.itkc.or.kr
  21. http://map.daum.net
  22. http://www.cyworld.com/angayo
  23. http://www.mf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