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pretation and Preservation Plan for Landscapes of Okyeonsipyeong at Buyongdae, Hahoe Village - Based on the Writings of "Okyeonseodanggi" and "Okyeonsipyeong" -

하회마을 부용대의 경관 해석 및 보전방안 - "옥연서당기(玉淵書堂記)"와 "옥연십영(玉淵十詠)"을 중심으로-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Oh, Hyun-Ky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Ecological Institute of Korean Peninsula) ;
  • Shin, Sang-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오현경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한반도생태연구소) ;
  • 신상섭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This study was to suggest cultural landscape preservation, value creation, as well as utilization plan to help landscape development of Hahoe village by identify the existence of Okyeonsipyeong(玉淵十詠) natural features, which were set around Buyongdae(芙蓉臺) in Hahoe Village by Seoae(西崖) Ryu, Seongryong(柳成龍), and understand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natural features and meanings. Based on the writings of "Okyeonseodanggi" and "Okyeonsipyeong",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s. 'Okyeon(玉淵)' letters carved on the rocks, also known as the name of pavilion in Okyeonjeongsa(玉淵精舍), is the center of Okyeonsipyeong that symbolizes the enlightenment of clean noble man, as well as the symbolic locational expression of studying room. One of Okyeonsipyeong, 'Wansimjae', is assumed to be the name from the combination of two Buddhist names, 'Wanjeok(玩寂)' and 'Seshim(洗心)', 'Dangho(堂號)', lined on both sides with Wonlakjae, the residence of Seoae, as the center. Wansimjae is after all the natural feature indicating the overall Okyeonjeongsa as the core of Okyeonsipyeong with west edge Gyeomamjeongsa(謙巖精舍). Among ten Okyeonsipyeong natural features, Wansimjae(玩心齋), Ganjukmun(看竹門), Gyeomamsa(謙菴舍), Dalgwandae(達觀臺), Ssangsongae(雙松厓), and Dohwacheon (桃花遷) are on the right side of the stairway from Okyeonjeongsa to Gyeomamjeongsa, while Chuwoldam(秋月潭), Neungpadae(凌波臺), Gyeseonam(繫船巖), and Jijuam(砥柱巖) are on the road to the cliff under river cliff in Buyongdae as well as to the dock, and all are located within 500m radius close and diameter area. As the results of lexeme and context analyses of Okyeonsipyeong poet, they are mainly about Confucian teachings symbolizing the constancy of the classical scholar including ego becoming one with the nature and back to the nature, unworldliness and farsighted view, transcendence and seclusion, as well as integrity spirit. In Dohwacheon and Gyeomamsa poets, there is Tao characteristics and brotherhood that pursue fairylands such as Mooreungdowon(武陵桃源). To create tourism brand and landscape of Okyeonsipyeong, it is necessary to prepare storytelling plans including the letters carved on the rocks introduction in Buyongdae area, and also synopsis of the Silgyeongsusang musical, 'Buyongjiae(芙蓉之愛)' that is related to 10 natural features. In addition, the related plans of the experience road from Gyeseonam, which is the boat stop in Buyongdae, to Ganjukmun of Okyeonjeongsa, and again to viewing routes on the stairways to Gyeomamjeongsa using boats are necessary. For preliminary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plans, the safety of the stairway from Okyeonjeongsa to Gyeomamjeongsa should be secured, the rock inscription should be preserved, landscape interpretation plates should be installed, trees and shrubs around Dohwacheon rock inscription should be removed, Dalgwandae letters carved on the rocks should be restored, and the bamboo forest outside Ganjukmun as well as Prunus persica plantation around Dohwacheon should be pointed out.

본 연구는 그동안 하회마을 관련 연구 등에서 철저히 배제되었던, 서애 류성룡이 부용대 일대에 설정한 옥연십영(玉淵十詠)의 존재를 확인하는 한편, 경물의 특성과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부용대 더 나아가서 하회마을 문화경관부흥에 일조할 수 있는 경관콘텐츠의 보존과 가치 창출 그리고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옥연서당기(玉淵書堂記)"와 "옥연십영(玉淵十詠)"을 중심으로 살펴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옥연정사 정명(亭名)이기도 한 '옥연(玉淵)' 바위글씨는 맑고 깨끗한 군자의 도(道)를 상징하는 옥연십영의 중심이자 정사(精舍)의 상징적 장소 표현이다. 옥연십영의 하나인 '완심재'는 서애가 거처하던 원락재를 중심으로 좌우에 도열된 '완적(玩寂)'과 '세심(洗心)'의 당호(堂號)를 합친 명칭으로 추론된다. 완심재는 결국 옥연정사 전체를 지칭하는 경물로, 층길 서단(西端)의 겸암정사와 함께 옥연십영의 핵심이 되고 있다. 옥연십영 10개 경물 중 완심재 간죽문 겸암사 달관대 쌍송애 도화천은 옥연정사에서 겸암정사에 이르는 층길 우측에, 추월담 능파대 계선암 지주암 등은 부용대 하식애 아래 절벽과 하선장(下船場)에 이르는 길에 존재하며, 모두 반경 500m 이내 근경과 중경권에 분포되어 있다. 옥연십영의 어휘소와 문맥의 분석 결과, 물아일체와 자연회귀, 탈속과 달관, 초월과 은일 그리고 독야청정의 기개 등 선비의 지조를 상징하는 유가적(儒家的) 가르침이 팽배되어 있으며, 도화천시와 겸암사시에서는 무릉도원 등 선선경을 동경하는 도교적 속성과 형제간의 우애 등의 정서가 녹아 있다. 옥연십영의 관광 브랜드 및 경관 형성을 위해서는 부용대 권역의 바위글씨 알리기와 10개 경물을 연계한 실경수상뮤지컬 부용지애(芙蓉之愛)의 시놉시스(synopsis) 등을 통한 경관스토리텔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또한 하회마을에서 배를 이용해 하선 지점인 계선암을 기점으로 옥연정사 간죽문에 이르는 체험로와 다시 간죽문에서 겸암정사에 이르는 층길상의 문화경관 조망루트 연계방안이 필요하다. 선결적 보존관리방안으로는 층길의 안전성확보와 바위글씨의 보호 및 경관해설판 설치, 도화천 바위글씨 주변의 시각 장애수목 제거, 달관대 바위글씨의 재현, 간죽문 밖 대숲의 세력권 확산 및 도화천 주변의 복사나무 식재 등을 지적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西厓先生文集 卷之十七. 玉淵書堂記.
  2. 西厓集. 卷一.
  3. 강거배(1987). 節制의 공간: 하회마을의 정원.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 133-148.
  4. 강영조(2003). 풍경에 다가서기. 파주: 효형출판. p.72.
  5. 김명주(2010). 문화유산 안동하회마을의 가치보존 방안: 일본 시라카와마을(白川村)과 비교.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홍기(2008). 문화재지정 이후 전통마을 보존방침의 변천과 경관변용에 관한 연구: 안동하회마을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지. 10(3): 119-126.
  7. 노자저, 류연근 역(2007). 삶의 지혜: 노자 도덕경. S&PM. p.139.
  8. 문화재청(2009). 한국의 전통가옥: 안동하회마을 I차. 우리건축사사무소. p.402.
  9. 서수용(1999). 안동 하회마을을 찾아서. 서울: 민음사. pp.40-44.
  10. 신두환(2007). 西厓先生逝去400周年기념 학술대회: 西厓柳成龍의 性理學과 文藝美學에 관한 談論. 韓國漢文學硏究. 40: 9-44.
  11. 송정일(2002). 이벤트플래닝. 서울: 백산출판사. p.233.
  12. 이상해, 정승모(2007). 하회마을. 서울: 솔출판사. p.190.
  13. 이종묵(2006). 조선의 문화공간 2책. 서울: 휴머니스트. pp.419-445.
  14. 임재해(2008). 세계문화유산으로서 하회마을 민속의 문화적 가치. 국학연구. 13: 273-311.
  15. 전경원(2002). 瀟湘八景漢詩의 含意와 情緖的 寄與: 洞庭秋月을 대상으로. 겨레어문학. 28: 55-88.
  16. 정겨운(2009). 한국 전통마을 경관 특성에 관한 연구: 외암리, 하회, 양동마을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상해, 정승모(2007). 하히마을. 서울: 도서출판 솔. p.190.
  18. 채혜성(2003). 하회마을 경관조사 및 표기방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최지영(2012). 안동 하회마을 별서정원의 명승적 가치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2008). 지명의 지리학. 서울: 푸른길. p.224.
  21. 허균(2002). 한국의 정원 선비가 거닐던 세계. 서울: 다른세상. pp.75-78.
  22. Kim, Sung-Kyun(1988). Winding river village: A doctoral dissertation of University of Pennsylvania.
  23. http://db.itkc.or.kr
  24. http://ebd.eandong.net/prg/main/subpage.asp?info_url=chodangryu&bdm_idx=2431
  25. http://whc.unesco.org/en/list/1324/gallery/
  26. http://www.haho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