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Inhabitants Consciousness of Urban Residential Area Scenic Sites - Focused on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 of Seongragwon(Scenic Sites no.35) Area -

도심지 내 명승 주변지역 거주민의 의식 연구 - 명승 제35호 성락원(城樂園) 주변 역사문화환경 보전지역을 중심으로 -

  • Yeon, Ung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Won-H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Se-Mi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연웅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이원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이세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preserve and protect the scenic site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s located in the Urban Residential Area. After classifying the type of area surrounding parcels of Seongbuk-dong is located in Seongragwon, Satisfaction Survey, scenic sites designated areas for residents living near the analyzed. Research methods, Cadastral research, literature survey, field survey,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Cultural heritage awareness about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of frequency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for cultural heritages around satisfaction, satisfaction analysis by parcel area, parcel area for the verification of specific differences regression analysis for the full-on relationship satisfaction, one-way ANOVA was conducted for each. Overall Cultural awareness analysis results, the residence is located close to the Seoul Seonjamdanji, Seongragwon, Simujang, Sanghoe Lee Tae-Joon's houses, Seoul Hanyang castle showed that cultural heritage were know unfulfilled cultural heritage. The purpose of cultural heritage visit was to break/walks. Preservation was usually level and there is no inconvenience caused as a cultural heritage. Regulatory intensity level was usually level and showed a positive reaction to the impact of cultural heritage in Seongbuk-dong image mostly. cultural heritage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image of the town. but access to cultural heritage is not easy and doesn't affect the life is expected. Overall satisfaction for cultural heritages in the surrounding space, the larger the size of the lot, and higher satisfaction. Seongbuk-dong most of the residents satisfaction was higher. Small lots of residents showed low satisfaction for safety when walking at night, heritage value rise, private ownership of heritage use, harmony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Building exterior, non-physical uniqueness like culture art mental. It can be interpreted that small lo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is low compared to the large lots, influx of residents in other regions due to the redevelopment of one of Seongbuk-dong, private ownership of heritage use. And generally lower satisfaction on the harmonization of the facility(street lights, signs, etc.). Therefore cultural heritage signs for facility expansion, 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will be needed to maintain the uniqueness village when scenic sites in the city center around the area of management strategy.

본 연구는 도심지에 위치한 명승과 그 주변지역을 보존하기 위해 성북동에 위치한 성락원 주변 필지의 면적을 분류한 후, 주변 거주민을 대상으로 명승 지정구역에 대한 의식조사,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해당구역의 지적조사, 문헌조사, 현장조사, 설문조사를 각각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 회수된 설문지는 문화재 인지도에 대한 빈도분석, 문화재 주변 만족도에 대한 신뢰도 분석, 필지 면적 별 만족도 분석, 전체만족도 관계에 대한 회귀분석, 필지 면적 별 차이검증을 위한 One-way ANOVA를 각각 실시하였다. 전체적인 문화재 인지도 분석 결과, 거주지 가까이에 위치한 서울선잠단지, 성락원, 만해한용운심우장, 상허이태준가옥, 서울한양도성 순으로 알고 있었으며 문화재에 대한 방문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재 방문목적은 휴식과 산책이 가장 많았으며 문화재 보존관리의 수준은 보통 수준으로 응답하였고 문화재로 인한 불편도 크게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재 보존을 위한 규제강도에 대한 인식은 보통수준이었고 문화재가 성북동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 반응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재 자체가 마을 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문화재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고 생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문화재 주변 공간에 대한 전체만족도는 필지의 규모가 클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성북동 거주민 대부분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소규모 필지($150m^2$ 미만) 거주자는 야간보행시 안전성, 재산 가치 상승, 사유재산권행사, 주변 환경과의 조화, 건축물 외관 상태, 문화 예술 정신 등 비물리적 고유성에 대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규모 필지에 비해 소규모 필지의 주거환경의 질이 낮고, 성북동 일대의 재개발로 인한 타지역 주민의 유입, 자유롭지 못한 사유재산권 행사 등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 시설물(가로등, 안내판 등)의 조화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심지 내 명승 주변지역의 관리전략 수립 시, 문화재 안내판 시설 확충과 문화재 교육프로그램 도입 등 마을 문화재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여 문화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마을 고유성을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진(2003). 문화재보호법과 관련된 양동마을 주민의식 변화 : 1994년과 2002년의 비교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1(3): 46-57.
  2. 김감래, 강대룡(2010). 필지기반의 토지이용현황 분류체계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2(1): 187-204.
  3. 김상묵, 안재호, 정현(1999). 경주시 문화재 및 주민피해 실태에 관한연구. 경주연구. 8: 47-69.
  4. 김영규(2009). 한국과 일본의 문화재 보호정책 비교연구: 문화재 보호법 및 관리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혁신논집. 4(2): 79-107.
  5. 서혜림(2012). 함양 용유담 명승지정 철회 요구집회 열려. 연합뉴스. 2012.04.16.
  6. 손진상(2010). 역사문화도시의 보존법제에 관한 연구. 공법학연구. 11(1): 295-323.
  7. 윤완준(2007). 문화재로 일석이조 문화마케팅. 동아일보. 2007.06.07.
  8. 이영미(2007). 문화재지정 전통가옥 주거공간의 변형실태와 보존 및 활용에 대한 인식도 조사. 조형미술논문집. 7(2): 115-133.
  9. 장호수(2002). 문화재학개론. 서울: 백산자료원. pp.338.
  10. 정종섭(2003). 국가의 문화유산보존의무와 고도의 보존. 서울대학교 법학. 44(3): 9-42.
  11. 조상희(2011). 경주시 양동마을, 세계문화유산 선정에 따른 거주민 의식에 관한 사례 연구. 호텔환광연구. 40: 1-10.
  12. 조한필(2003). 온양행궁 터 문화재 지정 추진. 중앙일보. 2003.10.14
  13. 지적도. 서울특별시 성북구청.
  14. 홍완식(2009). 문화 보호법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토지공법연구. 44: 235-258.
  15. http://www.ch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