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공원 태동기의 공간별 활용 유형 - 1883~1917년까지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

The Space Use in the Initial Period of Namsan Park - Focus on the Newspaper Articles from 1883 to 1917 -

  • 서영애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전공) ;
  • 손용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Seo, Young-Ai (Program in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on, Yong-Hoo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13.03.31

초록

남산은 서울의 상징경관으로서 물리적인 변화 뿐 아니라 인간에 의한 이용과 그 특성도 변화해 왔다. 긴 시간동안 축적된 다양한 이야기가 담긴 문화경관으로서의 남산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근대적인 공원으로 태동하는 시기에 어떤 이용적 특성이 있었는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도시공원사 연구의 중요한 과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1917년 수립된 '경성부 남산공원설계안'이 작성되던 시기에 남산공원의 활용유형을 파악하고 공간별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의 진행은 공원설계안상의 현황분석을 토대로 신문기사를 주요 분석자료로 했고 그 외 문헌, 고지도, 사진, 엽서자료 등을 활용했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로는 남산공원 태동기라고 볼 수 있는 시기인 개항기 이후 최초의 신문이 창간된 1883년부터 1917년까지로 설정했다. 남산이 공원으로 활용되던 주요 공간은 한양공원, 왜성대 공원, 노인정, 장충단, 그리고 그 외 자연상태의 남산이었다. 분석자료를 토대로 각 공간의 주된 이용 유형을 살펴보면 남산은 이용자들에게 공공행사, 사건, 참배, 운동회, 견학, 산책공간 등으로 이용되었으며, 이용적 특성으로 각 공간별 성격을 규정하면 근린공원, 실외 커뮤니티공간, 실내 커뮤니티공간, 운동장, 자연공원 등의 특성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남산공원 태동기에 이미 남산은 근대공원으로서의 도시적 활동을 담는 장소였음을 확인한 점과 구체적으로 어떠한 도시적 활동이 남산에 존재했는지를 파악한 점에서 공원사의 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고 하겠다.

As a symbolic landscape of Seoul, Namsan has undergone not only physical changes but also changes in its human use and characteristics. At this point, research on Namsan, which holds diverse stories that have accumulated over a long period, as a cultural landscape is necessary. In particular, a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untain's use in the period of its initiation as a modern park is an important task in research on the history of urban parks. Consequent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grasping the use of Namsan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Kyongsungbu Namsan Park Design Proposal in 1917 and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per space. The research process was based on the status of the park design plan. The primary source of information came from the analysis of historical newspaper articles. Additional materials including documents, old maps, photographs, postcard materials were also used. The period of the study was 1883 to 1917. This time was the initial period of Namsan Park soon after the opening up of Korea's ports to the world. The major spaces in which Namsan was used as a park encompassed Hanyang Park, Waeseongdae Park, Noin-jeong, Jangchung-dan, and remaining parts of Namsan in a natural state. When the main ways in which each space is used are examined based on the data analyzed, Namsan has been used for purposes including public events, accidents, religious worship, track and field days, field trips, and strolls. When the nature of each of the spaces is determine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use, these spaces were characterized as community parks, outdoor community spaces, indoor community spaces, sports arenas, and natural parks, among other things.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parks for confirming that Namsan in the initial period already served as a modern park for urban activities and grasping the specific urban activities that were engaged in on Namsa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신용, 장윤환(2004). 한국근대 도시공원사. 서울: 대왕사.
  2. 김경배(2004). 남산 공원의 실태 분석 및 개선방향 연구. 서울 시정개발연구원.
  3. 김덕삼(1990). 한국도시공원의 변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영상(1996). 서울 600년. 2권 남산, 남산기슭. 서울: 대학당.
  5. 남산의 어제와 오늘(2004). 용산향토사료편람VII. 용산문화원.
  6. 서울육백년사 제 3권(1979).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7. 서울육백년사 제 4권(1979).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8. 서울특별시(2010). 역사문화유산의 변화기록 및 시민인식 조사를 통한 서울도심의 정체성 연구.
  9. 손용훈, 서영애(2012). 1917년 경성부 남산공원설계안의 삼림공원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4): 23-31.
  10. 우연주, 배정한(2011). 개항기 한국인의 공원관 형성. 한국조경학회지. 39(6): 76-85.
  11. 이성범(2006). 일제시대 신문광고에 나타난 광고마케팅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수연(2010). 남산공원의 공간적 특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황기원(2001). 서울 20세기 공원 녹지의 변천. 서울 20세기 공간 변천사.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4. 本多静六(1917). 京成府南山公園設計案.
  15. 京城發達史(1912). 京城居留民團役所.
  16. 京城府(1936). 京城府史2. 京城.
  17. 고종실록 40권.
  18. 대한매일신보.
  19. 독립신문.
  20. 매일신보.
  21. 세조실록 38권.
  22. 태조실록 1권, 8권.
  23. 한성순보.
  24. 황성신문.
  25. http://www.kinds.or.kr/
  26. http://ebook.seoul.go.kr/web_http/form/r7EmailOpen.php?guid=MPX0LV4PH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