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Perception of Historic Cultural Landscape - A Case of Gyeongbok Palace -

역사문화경관의 시지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경복궁 내부의 조망점을 중심으로 -

  • Suh, Joo-Hwa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Kyunghee University) ;
  • Kim, Su-Yeo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Kyunghee University)
  • 서주환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 김수연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Modern city doesn't have its own identity that differentiates itself from others despite the fact that each city has a historical value. This is due to the demolition of historical and regional values. As such problems are connected to urban problems, they become even more serious. Thus,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set Gyeongbokgung(Palace) as an object to look into landscape factors and found out the relations between psychological variables and preference. Then,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quantitative relations between the physical attributes of historic cultural landscape and human response. As such, the researchers aimed to set and propose a confirmed standard in terms of identity and regional & historical values of historic cultural landscape. Since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an object of historic cultural landscape that was reproduced based on original landscape in the past, a future study should be on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based on the proportion of modern landscape. Based on such studies, a new plan should be made for forming the urban historic cultural landscape.

오늘날의 도시는 도시가 지니는 역사성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특징 있는 도시의 정체성을 찾기 힘들다. 이에 따라 도시의 정체성 및 역사성을 찾기 위한 역사문화경관의 보전이 중요해짐에 따라 서울 도심의 대표적인 역사문화경관인 경복궁을 대상으로 현대적 요소가 역사문화경관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명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경복궁의 역사문화경관은 조화성 개방감 역사성 등의 인자군이 도출되었고, 경관시뮬레이션의 선호도 분석결과, 현대적 경관의 유무에 따라 이들 사이에는 0.4 이상의 평균값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사진별로 현대적 경관의 물리적 점유율 산출결과, 경복궁의 역사문화경관 이미지의 물리적 요소는 크게 전통적 요소 자연적 요소 현대적 요소 기타적 요소 등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들과 선호도와의 관계성 분석 실시결과, 현대적 요소가 증가할수록 선호도는 감소하며, 자연적 요소가 증가할수록 선호는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출된 인자3가지와 선호도와의 관계성 분석결과, 조화성이 역사문화경관의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적 요소의 물리량이 역사문화경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것으로, 추후에는 현대적 경관의 비율에 따라 선호도에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토대로 도시 내의 역사문화경관을 계획 재정립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원석(2009). 역사문화지구의 경관관리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기남(2012). 경관에 대한 친숙성을 달리하는 언어정보에 따른 선호도와 공간적 패턴 인지의 차이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0(1): 95-110.
  3. 김동찬, 송매결(2010). 중국 강남 전통 수향 하천 경관의 시각적 특성 및 선호요인 분석. 한국전통학회지. 28(3): 122-131.
  4. 박희락, 김기호(2011). 서울 도심부 역사문화경과에 대한 세대 간 장소 인식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2(6): 116.
  5.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5). 서울.북경.동경의 역사문화보전정책. p. 101.
  6. 오진숙(2011). 서울 서촌의 역사문화경관자원의 가치해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창연, 김한배(2010). 도시 대표경관의 인지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7(6): 73-84.
  8.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9. 임유경, 안건혁, 박소현(2011). 파리시 도시계획 제.개정 과정에서 나타나는 역사문화경관 개념 확대와 도시계획적 관리수단의 변화.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2(26): 47-53.
  10. 조성태, 강동진, 오민근(2006). 일본 가나자와 역사문화경관 관리 특성. 한국도시설계학회지. 7(3): 34-43.
  11. 주신하와 임승빈(2003). 도시경관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목록 작성. 한국조경학회지. 31(1): 1-10.
  12. 박석원. 서울서 가장 아름다운 경관은 "남산". 한국일보 (2011.4.27.)
  13. 이지영. 외국인이 꼽은 서울 최고 명소는 어디?. 천지일보 (2011.11.25.)
  14. http://www.cha.go.kr/main/KorIndex!korMain.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