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Infant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Role Performance

영아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신희정 (가톨릭대학교 아동가족학전공) ;
  • 문혁준 (가톨릭대학교 아동학전공)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variables affecting role performance of infant care teachers and aims at developing quality care service by means of role performance of infant care teacher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350 infant care teachers in nurserie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by age on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organizational culture and role performance. As for educational level, there was a difference in 'counseling and emotional support' a subordinated factor in role performance. As for care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ducation and teaching activity' a subordinate factor of role performance. As for working facility type,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infant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ir role performance. Third, infant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was the best predictor of their role performance. Therefore, more studies should be done to rais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care teachers.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들을 파악함으로써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보육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교사의 정서지능, 어린이집 조직문화, 역할수행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학력에서는 역할수행 하위요인인 '상담 및 정서적 지원'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력에서는 역할수행 하위요인인 '교육 및 교수활동'과 '관련적 역할'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시설유형에서는 정서지능과 어린이집 조직문화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어린이집 조직문화는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정서지능, 어린이집 조직문화, 경력 순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수연, 곽현주, 나성식(2006). 사립 유치원 교직문화의 특질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0(4), 103-124.
  2. 권정윤(2010).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0(6), 269-289.
  3. 김동춘(1997).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김재환(2003). 유아교육기관의 교직문화 진단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정신, 박성미(2007). 보육교사의 역할인식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1(1), 133-155.
  6. 김진아(2008). 보육종사자가 지각한 보육시설의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김진아, 이종희(2008). 보육종사자가 지각한 보육시설의 조직문화. 한국영유아보육학, 55(1), 119-149.
  8. 노은숙(2011).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노혜미, 유태용, 신강현(2007).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전략이 직무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개인적 성취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조직, 20(4), 570-550.
  10. 류미선(2003).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에 따른 원내자율장학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맹계영(2007). 교사의 정서지능과 학생의 교사만족도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박복매(2011).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박현정(2012). 보육교사를 위한 영아 건강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서영숙, 김재환(2004). 유치원, 어린이집 유형별 교직문화 특성탐구: 근무지역, 소득과 학력 수준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9(2), 297-318.
  15. 석은조, 신성철(2008). 유아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안.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327-347.
  16. 송미선, 김소양(2009).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99-119.
  17. 신강현, 한영석, 김완석, 김원형(2008). 정서노동과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 관계: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1(3), 475-491.
  18. 안선희, 김지은(2010). 영아보육교사의 자질 및 역할과 전문성에 관한 심층사례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8(3), 87-97.
  19. 육아정책연구소(2009). 보육종사자의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20. 이세나, 이영석(2006).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역할수행능력 인식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1), 25-54.
  21. 이진화(2007).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아동교육, 16(4), 199-210.
  22. 이희경, 김성수(2000). 유아교사의 역할 Q-set 개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4(1), 27-54.
  23. 장영숙(2005).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와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정금자, 신기숙(2003). 유치원 조직의 문화, 환경과의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20, 1-29.
  25. 정옥분, 김숙령, 권민균(2004). 영아보육의 실태 및 질적 특성 평가에 기초한 보육의 질 제고. 대한가정학회지, 42(6), 123-136.
  26. 정우영(2006). 학교조직문화와 교사 효능감 및 학교조직몰입간의 관계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조인숙(2005). 보육 서비스 질과 보육시설 조직문화의 관계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최현미, 김성민, 권정심, 이경옥(2009). 유아교사의 역할수행과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 교사의 정서지능, 조직풍토, 직무만족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3(6), 323-343.
  29. 한지현, 유태용(2005). 상사의 정서지능이 부하의 태도와 상사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8(1), 177-199.
  30. 황경애, 김현주(2005).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진주산업대논문집, 44, 109-128.
  31. Day, C. (2007). 열정을 가르치기. 박은혜, 이진화, 위수경, 조혜선(공역). 서울: 파란마음(원서 2004 출판).
  32. Golby, M. (1996). Teachers' emotions: An illustrated discussion.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26(3), 423-525. https://doi.org/10.1080/0305764960260310
  33. Goldstein, L., & Lake, V. (2000). Love, love and more love for children: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car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6(8), 861-872. https://doi.org/10.1016/S0742-051X(00)00031-7
  34. Hargreaves, A. (1998). The emotional practice of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4(8), 835-854. https://doi.org/10.1016/S0742-051X(98)00025-0
  35. Lasky, S. (2000). The cultural and emotion politics of teacher-parent interac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6(8), 843-860. https://doi.org/10.1016/S0742-051X(00)00030-5
  36. Wong, C., & Law, K. S. (2002). The effect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f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 243-274. https://doi.org/10.1016/S1048-9843(02)00099-1
  37. Zembylas, M. (2005). Discursive practices, genealogies, and emotional rules: A post-structuralist view on emotion and identity in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8), 935-948. https://doi.org/10.1016/j.tate.2005.06.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