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구수연, 곽현주, 나성식(2006). 사립 유치원 교직문화의 특질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0(4), 103-124.
- 권정윤(2010).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0(6), 269-289.
- 김동춘(1997).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김재환(2003). 유아교육기관의 교직문화 진단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김정신, 박성미(2007). 보육교사의 역할인식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1(1), 133-155.
- 김진아(2008). 보육종사자가 지각한 보육시설의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김진아, 이종희(2008). 보육종사자가 지각한 보육시설의 조직문화. 한국영유아보육학, 55(1), 119-149.
- 노은숙(2011).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노혜미, 유태용, 신강현(2007).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전략이 직무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개인적 성취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조직, 20(4), 570-550.
- 류미선(2003).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에 따른 원내자율장학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맹계영(2007). 교사의 정서지능과 학생의 교사만족도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박복매(2011).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박현정(2012). 보육교사를 위한 영아 건강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서영숙, 김재환(2004). 유치원, 어린이집 유형별 교직문화 특성탐구: 근무지역, 소득과 학력 수준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9(2), 297-318.
- 석은조, 신성철(2008). 유아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안.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327-347.
- 송미선, 김소양(2009).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99-119.
- 신강현, 한영석, 김완석, 김원형(2008). 정서노동과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 관계: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1(3), 475-491.
- 안선희, 김지은(2010). 영아보육교사의 자질 및 역할과 전문성에 관한 심층사례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8(3), 87-97.
- 육아정책연구소(2009). 보육종사자의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 이세나, 이영석(2006).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역할수행능력 인식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1), 25-54.
- 이진화(2007).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아동교육, 16(4), 199-210.
- 이희경, 김성수(2000). 유아교사의 역할 Q-set 개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4(1), 27-54.
- 장영숙(2005).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와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정금자, 신기숙(2003). 유치원 조직의 문화, 환경과의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20, 1-29.
- 정옥분, 김숙령, 권민균(2004). 영아보육의 실태 및 질적 특성 평가에 기초한 보육의 질 제고. 대한가정학회지, 42(6), 123-136.
- 정우영(2006). 학교조직문화와 교사 효능감 및 학교조직몰입간의 관계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조인숙(2005). 보육 서비스 질과 보육시설 조직문화의 관계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최현미, 김성민, 권정심, 이경옥(2009). 유아교사의 역할수행과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 교사의 정서지능, 조직풍토, 직무만족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3(6), 323-343.
- 한지현, 유태용(2005). 상사의 정서지능이 부하의 태도와 상사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8(1), 177-199.
- 황경애, 김현주(2005).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진주산업대논문집, 44, 109-128.
- Day, C. (2007). 열정을 가르치기. 박은혜, 이진화, 위수경, 조혜선(공역). 서울: 파란마음(원서 2004 출판).
- Golby, M. (1996). Teachers' emotions: An illustrated discussion.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26(3), 423-525. https://doi.org/10.1080/0305764960260310
- Goldstein, L., & Lake, V. (2000). Love, love and more love for children: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car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6(8), 861-872. https://doi.org/10.1016/S0742-051X(00)00031-7
- Hargreaves, A. (1998). The emotional practice of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4(8), 835-854. https://doi.org/10.1016/S0742-051X(98)00025-0
- Lasky, S. (2000). The cultural and emotion politics of teacher-parent interac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6(8), 843-860. https://doi.org/10.1016/S0742-051X(00)00030-5
- Wong, C., & Law, K. S. (2002). The effect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f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 243-274. https://doi.org/10.1016/S1048-9843(02)00099-1
- Zembylas, M. (2005). Discursive practices, genealogies, and emotional rules: A post-structuralist view on emotion and identity in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8), 935-948. https://doi.org/10.1016/j.tate.2005.06.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