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고영미(2005).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육 학습공동체 형성 및 참여양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교육인적자원부(2004). 교원 양성.인사.연수.정책연구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 권경숙(2008). 영아를 양육하는 초보 어머니들의 양육 특성과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1), 229-255.
- 권낙원(2009). 교사전문성으로서의 수업의 윤리적 측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3), 19-41.
- 권미경(2011).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영향요인: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2), 19-41.
- 권미경, 방경숙, 김남선, 안혜영(2006). 영아 어머니의 부모역할 중요도에 대한 인식. 아동간호학회지, 12(2), 170-179.
- 권성호, 서윤경, 이승희(2001). WOO(Web based multi-user Object Oriented)기반 학습공동체 설계를 위한 구성요소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7(4), 1-20.
- 김명화(2005). 공동육아의 대안교육으로서의 가능성과 한계.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미란(2005). 일본의 평생학습정책의 전개와 실천: 지역재생 정책을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11(2), 181-203.
- 김성천(2007). 교사 자율연구 모임을 통한 교사 전문성 성장 과정.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김수원(2005). 기업의 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이론적 분석. 금융지식연구, 3(1), 3-24.
- 김영천(1998). 교육에서의 질적연구: 방법과 적용. 경기: 교육과학사.
- 김영천(2006). 질적연구방법론 I. 경기: 아카데미프레스.
- 김은주, 서영희(2008). 기혼유아교사의 교직생활의 의미와 어려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1), 103-127.
- 김은희(2007). 관계에 기초한 유아교육과정 변형 여정과 실천 돌아보기: 학습 공동체를 통한 실천 연구를 중심으로. 변형영유아교육연구, 1(1), 5-28.
- 김인선(2010). 학교평생교육에서의 학부모 학습동아리 참여자 실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지선(2007). 어머니의 대화양식과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청연, 최화진(2012). 책으로 노는 집. 서울: 푸른지식.
- 나일주, 홍성연(2003). 가상학습공동체 형성 과정 모형 연구. 교육공학연구, 19(3), 101-122.
- 노종희(1998). 학교공동체의 개념적 분석과 그 구축 전략. 교육행정학연구, 16(2), 385-401.
- 뉴스포스트(2011.01.28.). 우울증母 자녀 2명 목 졸라 살해 '충격'.
- 박선형(2004). 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이론적 모델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22(1), 157-177.
- 박선형(2010). 지식융합: 지식경영적 접근과 이해. 교육학연구, 48(1), 84-101.
- 박순주(2012).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연구.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손수민(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331-357.
- 신의진(2011). 현명한 부모는 아이를 느리게 키운다. 서울: 걷는나무.
- 우민정, 주봉관(2011).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품앗이육아공동체 참여과정에서 겪는 긍정적 경험과 어려움.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5(3), 147-168.
- 이부미(2011). 공동육아의 하루일과에 대한 실천적 개념과 교육적 의미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5(1), 5-39.
- 이부미, 이기범, 정병호(2006). 함께 크는 삶의 시작, 공동육아. 서울: 또 하나의 문화.
- 오미영(2000). 산욕기 초산모의 영아돌보기 지식과 자신감과의 관계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유성상(2000). 두레마을의 형성과 교육.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양혜원(2010). 어린이를 위한 책임감. 서울: 위즈덤하우스.
- 윤창국(2002). 학습공동체 논의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윤형주, 조복희(2004).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가정의 양육환경 및 그 관계성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2), 59-88.
- 이경선(2011).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타일 관련 변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127-145.
- 이주옥(2009). 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육아지원연구, 14(1),115-132.
- 이현주, 문혁준(2011).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과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183-203.
- 이희정(2011). 어머니의 산전 우울감이 영아의 까다로운 기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 35(1), 99-127.
- 정민승(2001). 온라인 학습공동체에 대한 성인교육학적 해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정수경, 최예린(2012). 영유아 어머니의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관한 인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1), 63-80.
- 정옥분, 정순화(2000). 부모교육. 서울: 양서원.
- 정정희. 정한철(2012). 교사-부모 프로젝트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1-26.
- 정혜선(2010). 영유아기 자녀를 둔 전업주부의 품앗이육아공동체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9(3), 429-441
- 조부경, 고영미(2006). 유치원 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양상. 유아교육연구, 26(1), 69-101.
- 조선경, 서영숙(2010). '서울형 어린이집 자율장학'에서 나타난 교사학습공동체 경험의 의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147-171.
- 조형숙, 김민정(2011). 실행연구를 통한 유아과학교육 학습공동체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31(4), 119-142.
- 지옥정(2009). '프로젝트에 의한 유아기 환경교육'을 지향하는 유아교사 학습공동체의 변화 양상 분석. 생태유아교육연구, 8(3), 223-242.
- 최광현(2012). 가족의 두 얼굴. 서울: 부키.
- 최남정(2011). 학습공동체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의 인식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0(3), 199-219.
- 최남정(2013). 유아교사 학습공동체에 관한 연구: 심미교육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최남정, 임부연(2011). 유아교사의 심미적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공동체의 역할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353-375.
- 최철규(2012). 공동육아과정에 참여하는 부모들의 공동체학습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최효영(2010). 영아반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참여의 경험과 그 의미.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한겨레신문(2005.01.13). 빚더미 세탁소 못이겨… 일가족 5명 동반자살.
- 한경자, 권미경, 방경숙, 김정수(2001). 영아의 건강증진을 위한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효과: 생후 6개월을 중심으로. 아동간호학회지, 7(1), 96-107.
- 한국일보(2007.05.13). 우울증 엄마 자녀 2명 살해후 투신.
- 한승희(2001). 평생학습과 학습생태계. 서울: 학지사.
- 황옥자(2009). 불교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아개념 및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종교교육학연구, 29, 1-17.
- Bielaczye, k., & Collin, A.(1999). Learning communities in calssrooms: Advancing knowledge for a lifetime. NASSP Bulletin, 83(4), 4-10.
- Bogdan, R. C., & Biklen, S. K. (2006).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 5th. Prentice Hall.
- Brookfield, S.(1983). Adult learners. adult education, and the community.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 Laura E. Berk.(2007). 아동발달 Fifth Edition (박낭자 역). 서울: 정민사.
- Liberman, A., & Wood, D. R.(2004). Inside the national writing project. New York: Teacher colleges Press.
- Maslow, A. H.(2005). 존재의 심리학(정태연, 노현정 역). 서울: 문예출판사.
- Widener, C.(2008). 영향력: 다른 사람 마음에 나를 심는 기술(류지현 역). 서울: 리더스북.
- Pillemer, K.(2012). 내가 알고 있는 걸 당신도 알게 된다면(박여진 역). 서울: 토네이도.
- Roger, D. L., & Babinski, L. M.(2005). 초임교사를 위한 학습공동체(조부경, 백은주, 고영미 역). 경기: 양서원.
- Senge, P.(1990). The fifth discipline. New York, NY: Bantan Doubleday Dell Publishing Group, Inc.
- Smith, M.(1994). Developing youth work: Informal education, Mutual aid and popular practice.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 Young, R. K.(1986). Primiparas' attitudes toward mothering issues. Compr Pediatr Nurs, 9, 259-272. https://doi.org/10.3109/014608686090097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