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 학습공동체의 경험이 영유아기 자녀, 가정, 지역사회에 주는 의미 탐색

Examining the Experiences and Significance of a Mothers' Learning Community

  • 발행 : 2013.06.30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자발적 모임인 어머니 학습공동체에서의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시에 거주하고 영유아 자녀를 양육하며 어머니 학습공동체에 참여중인 어머니 8명을 대상으로, 2012년 6월부터 2013년 1월까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 학습공동체는 새로운 만남을 통한 소통, 자발적 참여를 통한 성장, 타인으로 부터 인정받는 즐거움이라는 경험을 어머니에게 주었다. 둘째, 이러한 경험이 자녀에게는 어머니와 교감 형성의 즐거움을 가지게 하였으며, 가정에는 대화가 살아나게 하였고, 지역사회에는 삶 속에 들어와 삶을 나누고 공유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어머니 학습공동체의 활성화와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significance of a mother's learning community, which is a voluntary small get together of mothers who have infants and young children. For this, a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were carried out from June 2012 to January 2013 targeting eight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mothers' learning community. The mother's learning community is organized by mothers who mainly live and raise young children in P city. First, the mother's learning community gave three kinds of experience to mothers: finding ways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new meetings, a feeling of fulfillment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and enjoying the pleasure of being recognized from other people. Second, the significance in this experience could be observed to allow children to have the pleasure of rapport with their mothers, to make more conversation at home, and to allow the community to have significance as network of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in the mother's learning community in the near future, and for casting a lime light for follow-up research.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영미(2005).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육 학습공동체 형성 및 참여양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교육인적자원부(2004). 교원 양성.인사.연수.정책연구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 권경숙(2008). 영아를 양육하는 초보 어머니들의 양육 특성과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1), 229-255.
  4. 권낙원(2009). 교사전문성으로서의 수업의 윤리적 측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3), 19-41.
  5. 권미경(2011).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영향요인: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2), 19-41.
  6. 권미경, 방경숙, 김남선, 안혜영(2006). 영아 어머니의 부모역할 중요도에 대한 인식. 아동간호학회지, 12(2), 170-179.
  7. 권성호, 서윤경, 이승희(2001). WOO(Web based multi-user Object Oriented)기반 학습공동체 설계를 위한 구성요소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7(4), 1-20.
  8. 김명화(2005). 공동육아의 대안교육으로서의 가능성과 한계.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미란(2005). 일본의 평생학습정책의 전개와 실천: 지역재생 정책을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11(2), 181-203.
  10. 김성천(2007). 교사 자율연구 모임을 통한 교사 전문성 성장 과정.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수원(2005). 기업의 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이론적 분석. 금융지식연구, 3(1), 3-24.
  12. 김영천(1998). 교육에서의 질적연구: 방법과 적용. 경기: 교육과학사.
  13. 김영천(2006). 질적연구방법론 I. 경기: 아카데미프레스.
  14. 김은주, 서영희(2008). 기혼유아교사의 교직생활의 의미와 어려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1), 103-127.
  15. 김은희(2007). 관계에 기초한 유아교육과정 변형 여정과 실천 돌아보기: 학습 공동체를 통한 실천 연구를 중심으로. 변형영유아교육연구, 1(1), 5-28.
  16. 김인선(2010). 학교평생교육에서의 학부모 학습동아리 참여자 실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김지선(2007). 어머니의 대화양식과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김청연, 최화진(2012). 책으로 노는 집. 서울: 푸른지식.
  19. 나일주, 홍성연(2003). 가상학습공동체 형성 과정 모형 연구. 교육공학연구, 19(3), 101-122.
  20. 노종희(1998). 학교공동체의 개념적 분석과 그 구축 전략. 교육행정학연구, 16(2), 385-401.
  21. 뉴스포스트(2011.01.28.). 우울증母 자녀 2명 목 졸라 살해 '충격'.
  22. 박선형(2004). 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이론적 모델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22(1), 157-177.
  23. 박선형(2010). 지식융합: 지식경영적 접근과 이해. 교육학연구, 48(1), 84-101.
  24. 박순주(2012).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연구.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손수민(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331-357.
  26. 신의진(2011). 현명한 부모는 아이를 느리게 키운다. 서울: 걷는나무.
  27. 우민정, 주봉관(2011).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품앗이육아공동체 참여과정에서 겪는 긍정적 경험과 어려움.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5(3), 147-168.
  28. 이부미(2011). 공동육아의 하루일과에 대한 실천적 개념과 교육적 의미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5(1), 5-39.
  29. 이부미, 이기범, 정병호(2006). 함께 크는 삶의 시작, 공동육아. 서울: 또 하나의 문화.
  30. 오미영(2000). 산욕기 초산모의 영아돌보기 지식과 자신감과의 관계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유성상(2000). 두레마을의 형성과 교육.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양혜원(2010). 어린이를 위한 책임감. 서울: 위즈덤하우스.
  33. 윤창국(2002). 학습공동체 논의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윤형주, 조복희(2004).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가정의 양육환경 및 그 관계성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2), 59-88.
  35. 이경선(2011).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타일 관련 변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127-145.
  36. 이주옥(2009). 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육아지원연구, 14(1),115-132.
  37. 이현주, 문혁준(2011).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과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183-203.
  38. 이희정(2011). 어머니의 산전 우울감이 영아의 까다로운 기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 35(1), 99-127.
  39. 정민승(2001). 온라인 학습공동체에 대한 성인교육학적 해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0. 정수경, 최예린(2012). 영유아 어머니의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관한 인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1), 63-80.
  41. 정옥분, 정순화(2000). 부모교육. 서울: 양서원.
  42. 정정희. 정한철(2012). 교사-부모 프로젝트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1-26.
  43. 정혜선(2010). 영유아기 자녀를 둔 전업주부의 품앗이육아공동체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9(3), 429-441
  44. 조부경, 고영미(2006). 유치원 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양상. 유아교육연구, 26(1), 69-101.
  45. 조선경, 서영숙(2010). '서울형 어린이집 자율장학'에서 나타난 교사학습공동체 경험의 의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147-171.
  46. 조형숙, 김민정(2011). 실행연구를 통한 유아과학교육 학습공동체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31(4), 119-142.
  47. 지옥정(2009). '프로젝트에 의한 유아기 환경교육'을 지향하는 유아교사 학습공동체의 변화 양상 분석. 생태유아교육연구, 8(3), 223-242.
  48. 최광현(2012). 가족의 두 얼굴. 서울: 부키.
  49. 최남정(2011). 학습공동체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의 인식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0(3), 199-219.
  50. 최남정(2013). 유아교사 학습공동체에 관한 연구: 심미교육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1. 최남정, 임부연(2011). 유아교사의 심미적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공동체의 역할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353-375.
  52. 최철규(2012). 공동육아과정에 참여하는 부모들의 공동체학습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3. 최효영(2010). 영아반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참여의 경험과 그 의미.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4. 한겨레신문(2005.01.13). 빚더미 세탁소 못이겨… 일가족 5명 동반자살.
  55. 한경자, 권미경, 방경숙, 김정수(2001). 영아의 건강증진을 위한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효과: 생후 6개월을 중심으로. 아동간호학회지, 7(1), 96-107.
  56. 한국일보(2007.05.13). 우울증 엄마 자녀 2명 살해후 투신.
  57. 한승희(2001). 평생학습과 학습생태계. 서울: 학지사.
  58. 황옥자(2009). 불교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아개념 및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종교교육학연구, 29, 1-17.
  59. Bielaczye, k., & Collin, A.(1999). Learning communities in calssrooms: Advancing knowledge for a lifetime. NASSP Bulletin, 83(4), 4-10.
  60. Bogdan, R. C., & Biklen, S. K. (2006).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 5th. Prentice Hall.
  61. Brookfield, S.(1983). Adult learners. adult education, and the community.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62. Laura E. Berk.(2007). 아동발달 Fifth Edition (박낭자 역). 서울: 정민사.
  63. Liberman, A., & Wood, D. R.(2004). Inside the national writing project. New York: Teacher colleges Press.
  64. Maslow, A. H.(2005). 존재의 심리학(정태연, 노현정 역). 서울: 문예출판사.
  65. Widener, C.(2008). 영향력: 다른 사람 마음에 나를 심는 기술(류지현 역). 서울: 리더스북.
  66. Pillemer, K.(2012). 내가 알고 있는 걸 당신도 알게 된다면(박여진 역). 서울: 토네이도.
  67. Roger, D. L., & Babinski, L. M.(2005). 초임교사를 위한 학습공동체(조부경, 백은주, 고영미 역). 경기: 양서원.
  68. Senge, P.(1990). The fifth discipline. New York, NY: Bantan Doubleday Dell Publishing Group, Inc.
  69. Smith, M.(1994). Developing youth work: Informal education, Mutual aid and popular practice.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70. Young, R. K.(1986). Primiparas' attitudes toward mothering issues. Compr Pediatr Nurs, 9, 259-272. https://doi.org/10.3109/014608686090097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