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및 학교조직의'협력'에 기초한 아동 영양교육 프로그램 수행과정에 나타난 참여 교사의 경험분석

Analysis of the Experiences of Teachers during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 발행 : 2013.02.28

초록

본 연구는 조직 및 지역사회 협력을 기초로 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프로그램 수행의 성공을 위한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는 참여교사들의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영양교육 현장에 줄 수 있는 시사점과 이후 보다 성공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교사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수행에 참여한 교사는 보건교사와 영양교사 그리고 담임교사를 포함하여 7명이며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프로그램 참여교사들을 대상으로 반성적 저널과 심층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프로그램 계획단계에서 '푸념 속에 희망 엿보기' 와 '학습공동체 형성하기' 경험을 그리고 프로그램 수행단계에서는 '조절과 평형화 그리고 새로운 도식형성하기' 와 '디딤돌 쌓아가기' 범주의 경험을,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평가단계에서는 '보람과 감사함 느끼기' 와 '새롭게 도전하기' 범주의 경험을 제공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는 향후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영양교육의 수행을 위한 교사지원 방안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eachers during the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llaboration between the school organization and local community, as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participate in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might be one of major factors to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ir performance. It's basic goal is give some suggestions on school nutrition education and to explore how to assist teachers to ensure their successful performance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experiences that the teachers had in the program planning stage were subcategorized into two groups: 'finding hope amid complaints' and 'building a learning community'. The experiences that the teachers had in the acting stage were subcategorized ino two groups as well: 'regulating, equalizing and forming a new schema' and 'building stepping stones'. The experiences that they had in the evaluation stage were also subcategorized into two groups: 'finding it rewarding and thankful to teach' and 'new challeng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essential information on how to assist teachers to offer effective and successful nutrition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권낙원(2007). 전문학습공동체 구성 가능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2), 1-27.
  2. 권덕하, 한성림, 김혜경(2011). 연구논문: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효과평가. 한국지역사회영양학회지, 16(2), 183-194.
  3. 김성천(2007). 교사자율연구모임을 통한 교사 전문성 성장 과정 : 협동학습연구회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김현주, 김미옥, 배상열(2007). 영양교육 프로그램 초등학생의 영양지식 향상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13(2), 1-17.
  5. 김혜경(1988). 개인이 지각하는 직무도전성이 직무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비서학연구, 8호, 1-14.
  6. 노주영(2007). 영양교육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박유미(2006). 보육시설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소규모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박정현(2007). 보건소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대도시 일부 초등학생의 식습관 및 식생활태도 개선.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배시연(2011). 안전 및 영양교육에 대한 예비유아 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성병환, 정철영(2008).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과 일 가치감, 귀인성향, 학교 조직풍토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0(3), 79-114.
  11. 안윤, 고서연, 김경원(2009).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4(3), 266-276.
  12. 안창동(2003). 지식기반 사회와 학교지식. 서울: 문음사.
  13. 우태정(2006). 초등학교 고학년 활동중심 영양교육교재 및 교사용 지침서 개발과 교재를 활용한 교육효과분석.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오승영(2006). 혁신지원적분위기가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기반자긍심과 직무도전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이기현(2009). 유아 영양교육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3(3), 69-96.
  16. 이정희(2011). 경남지역 초등학교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와 업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이주심(2010). 초등학교 1, 2학년 새 교과서 분석을 통한 영양교사 활용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이주영(2004). 영양보건교육이 초등학교 아동의 식이 자기 효능감과 식행동 실천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8(1), 132-142.
  19. 이주희, 강은정, 김창임(2011).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의 유아의 영양문제 및 식품섭취에 대한 인식, 영양지식 및 영양교육에 관한 차이.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6(6), 535-646.
  20. 전혜인(2006). 어머니의 자녀 식생활지도관리 실태 및 유아 영양 교육에 대한 인식 요구도.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정미선, 김남희(201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양교육 실태 및 요구 조사. 생태유아교육연구, 10(2), 131-154.
  22. 정영희, 최연희, 김나영(2012). 초등학생의 보건교과 수업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6(1), 16-26.
  23. 정회욱(2006). 인구사회학적요인, 학교조직요인 및 교사의 사회심리학적요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37(2), 75-96.
  24. 조경원, 양은주(2001). 지식기반 사회와 교육의 과제. 교육과학연구, 32(2), 1-21.
  25. 진아라, 신준호, 허영란(2012).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체험식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6(1), 133-148.
  26. 최은영(2004). 초등학교 영양교사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7. 홍미애, 최미숙, 한영희, 현태선(2010). 보건소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식습관 부모의 식습관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5(5), 593-602.
  28. Bruner, C. (1991). Thinking collaborative : Ten questions and answers to help policy makes improve children's service. Washington D.C.: Education and Human Service Consortium.
  29. Laithwood, K., Leonard, L., Sharratt, L. (1998). Conditions fostering organizational Learning in schools. Thousand Oaks, California: Corwin Press.
  30. Riggs, I. M., & Enochs, L. G.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74(6), 625-637. https://doi.org/10.1002/sce.3730740605
  31. Swan, W. W., & Morgan,, J. (1993). Collaborating for comprehensive service for young children and their families. Baltimore: Paul H. Brook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