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amining the Association of Poverty Status Transition with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Problem and Depression

음주문제와 우울 간의 인과관계와 빈곤상태 변화의 연관성 분석

  • Received : 2013.02.26
  • Accepted : 2013.04.11
  • Published : 2013.05.31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possibl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problem and depression.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if poverty status transition is associated with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problem and depression.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3,976 adults who have participated in both the first and the second wave survey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The causality between drinking problem and depression was analyzed using Latent Difference Scores (LDS) model, which was established in McArdle & Hanagami (2001). Furthermore, it was examined if poverty status transition (represented by four subgroups: poverty-sustained group, poverty-escaping group, non-poverty-sustained group, poverty beginning group) would influenc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problem and depress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result of a LDS model analysis using the entire sample shows that depression at the first wave predicts significantly the change of drinking problem between the first wave and the second wave and also drinking problem at the first wave predicts significantly the change of depression between the first wave and the second wave, which can be interpreted as there is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 In poverty status transition subgroup analyses, the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 is held in the poverty-sustained group while depression is a cause of drinking problem both in the poverty beginning group and in the non-poverty-sustained group.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 in the poverty-escaping group. All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direction of causality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 can be varied according the poverty status change, which provides a comprehensive explanation to inconsistent research findings from previous cross-section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의 원자료를 cross-lagged panel design에 따라 분석자료를 추출하고 인과관계 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음주문제와 우울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빈곤이 음주문제와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음주문제와 우울 간의 인과관계와 빈곤 상태의 변화가 연관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한국복지패널의 1차년도와 2차년도의 자료에서 반복측정된 3,976명의 성인 남녀였으며, 인과관계 분석은 McArdle and Hamagami (2001)에 의해서 정립된 Latent Difference Scores (LDS)모델을 사용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먼저 음주문제와 우울의 인과관계를 밝힌 후에, 이러한 인과관계가 빈곤의 상태변화를 나타내는 4개의 하위집단 (빈곤 지속 집단, 빈곤 탈출 집단, 비빈곤 지속 집단, 빈곤시작 집단)에서 유지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전체를 이용한 LDS모델의 결과는 우울이 음주문제의 변화를 예측할 뿐 아니라 음주 역시 우울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울과 음주가 상호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연구 대상자를 빈곤 상태 변화에 따른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빈곤지속 집단에서는 우울과 음주가 상호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빈곤 시작 집단과 비빈곤 지속 집단에서는 우울의 음주 변화에 선행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빈곤 탈출 집단에서는 음주와 우울 사이의 인과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주와 우울 사이의 인과관계가 빈곤상태변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체계적으로 보여주는 새로운 결과로서 기존의 횡단연구들에서 우울과 음주의 관계에 대한 서로 상충하는 다양한 결과들에 대한 종합적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