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대학의 창업교육 현황과 특징에 관한 연구 : 미국 5개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eature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Overseas Universities : Case of Five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 이우진 (중앙대학교 창업학과) ;
  • 김용태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
  • 황보윤 (호서대학교 벤처창업대학원)
  • 투고 : 2013.02.25
  • 심사 : 2013.03.26
  • 발행 : 2013.03.30

초록

본 연구는 미국 5개 대학의 창업교육센터(Entrepreneurship Center)방문을 통하여 센터가 운영하는 대학의 교과과정과 다양한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국내 창업교육센터의 효과적인 운영 및 활성화를 위한 기본 틀을 제시하였다. 현장방문 대학은 선행분석 등을 통해 국내 창업교육센터 운영에 참고할 만한 아이오와 대학교, 미주리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대학교, 루이빌 대학교, 조지워싱턴 대학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상기 5개 대학의 창업교육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센터의 운영 담당자와 교육 커리큘럼을 담당하는 교수와의 심도 있는 인터뷰를 통해 대학에서 학부수준의 창업교육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산학연 협동을 통한 창업교육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61개 교육과학기술부 링크(LINC)사업 선정대학들이 대학 내 창업교육센터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시점에서, 국내 대학 창업교육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도움이 될 만한 창업교육의 교과과정과 센터의 창업 프로그램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들이 문헌분석을 통한 해외 사례들을 종합하고 비교하여 시사점을 도출했다면,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들과는 달리 문헌연구를 통해 선정된 대학의 창업교육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주 운영자와의 인터뷰와 현지 자료 수집을 한 뒤 해외 창업교육의 현황을 재구성하였다는 데에 보다 풍부하고 정확한 정보와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nalyzed universities's entrepreneurship education curriculum and variety programs through visiting to five entrepreneurship centers. Through these analyzes, the study presents a basic frame work for prosperous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 We have selected for visiting research universities in the middle east of the United states; University of Iowa, University of Missouri(Kansas City), Saint Louis University, University of Louisville and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We visited entrepreneurship center of each university in order to have in-depth interview with professor who is responsible for building entrepreneurship curriculum and administrative director of entrepreneurial programs so that we research how university progresses entrepreneurship education at undergraduate level. The study, at the time of 61 universities selected for LINC project by the Korea Ministry of Education who expects Industrial-Academia cooperative effects just installed each entrepreneurship center, analyzed case study of operational practice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entrepreneurship centers in universities. We believe that the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a richer and more accurate information and ideas since the all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firsthand interview by visiting.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