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창업기업의 기술보유유형과 성과와의 관계

Concreteness of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Performance of technology based Start-up company

  • 투고 : 2012.11.12
  • 심사 : 2013.03.19
  • 발행 : 2013.03.30

초록

기술창업기업의 속성 상 기술자원이 성과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논의를 바탕으로 어떤 기술자원이 유의한 영향을 보이는지, 언제 보유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모든 산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것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자원은 보유 형태에 관계없이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보이고 있으나, 지식기반기술이 높은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창업기업들이 원천기술의 소유를 통한 시장의 주도형이기보다 저원가형 전략으로 시장에 진입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둘째, 산업의 종류에 따른 기술자원의 차이는 비IT업종에서 지식기반기술과 높은 관련을 보이고 있다. 이는 비IT업종의 경우 경험을 통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공정이나 원재료 개선을 통한 원가절감형 창업이 다수를 이루고 있음을 추정할 있겠다. 셋째, 성장단계에 있어 지식기반기술자원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초기 창업기업은 특허 등 소유기반기술을 기반으로 창업한 후 상업화 과정에서 다양한 암묵적 지식이 축적되어 경쟁우위를 확보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기술특성에 대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기술창업기업의 성과와 관련하여 기술보유형태에 대한 개념적 정리와 함께 유의적인 기술보유형태를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의 유기체적 관점에서 성장단계 및 업종에 따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보유형태를 논의하였다. 우리나라 기술창업기업의 성과는 성장할수록 소유기반기술자원보다 지식기반기술자원이 중요한 기술자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술창업기업의 육성과 관련한 정책수립 및 창업지원기관의 운영에 있어 기존의 소유기반기술자원 중심의 지원에서 벗어나 지식기반기술자원 보유 기업에 대한 별도의 방안 수립이 필요하겠다.

So many researchers have been interested in key success factors of technological start-ups.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not focussed on Concreteness of technological capabilities at the growth stages and industry in technological start-u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reteness of technological capabilities that have influence on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start-ups. Empirical data was collected from 342 firms in BI in Korea. It used the questionnaire method for the CEO, It is executed the Regression analysis to test hypotheses of influencing effects.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echnological capabiliti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firm performance. But the property based resources had lower significant influence. Second,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knowledge based resources had higher significant influence on technological start-ups performance at IT industry. Third, The knowledge based resources had higher significant influence on performance at growth stages. In conclusion, technological capabilities were verified as important firm resources of technology-based start-ups for firm performance. But the Concreteness of technological capabilities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y growth-stage of firm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