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itutional Ethnography: Why Another Methodology? -Usefullness and Implications of Institutional Ethnography in Social Welfare Knowledge-

제도적 문화기술지: 왜 또 다른 연구방법인가? -사회복지 지식형성에 주는 유용성과 함의-

  • Received : 2012.12.27
  • Accepted : 2013.02.04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Institutional Ethnography, a methodology, developed by Dorothy Smith in Canada. Institutional Ethnography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ethnography. Also it differs from various kinds of ethnographies such as interpretive ethnography, political ethnography, organizational ethnography, feminist ethnography, auto ethnohraphy. Institutional Ethnography explores social organization of everyday's actualities in institutional settings. This study introduces the outlines of institutional ethnography and examines the usefullness and implications in social welfare knowledge. Usefulness and implications of institutional ethnography follows: 1) expansion and specification of knowledges of 'organized actualities' in social welfare practice and policy fields 2) discovery of specific points for institutional changes in social welfare fields 3) production of social welfare knowledge from the standpoint of ruled, oppressed peoples.

본 연구는 캐나다의 사회학자인 도로시 스미스(Dorothy Smith)가 발전시킨 '제도적 문화기술지(institutional ethnography)'를 소개하고, 이 방법론이 사회복지 지식형성에 주는 유용성과 함의를 탐색하였다.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소개에서는 이 방법론의 출발점, 개인과 사회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론적 전제, '입장(standpoint)', '문제틀(problematic)'과 같은 방법론적 장치, '일'과 '일 지식(work knowledge)', '텍스트', '제도적 담론'과 같은 '제도'를 발견할 수 있는 방법적 개념들과 이들 간의 상호관계를 기술하였다. 제도적 문화기술지 방법론은 사회복지 제도가 작동되는 실천(정책) 현장의 '실제(actualities)'를 정교화하고, 제도적 변화의 구체적 지점들을 발견하게 해주며, 연구자가 선택한 사람의 입장에서 지식을 생산하게 촉진한다. 이를 통해 제도적 문화기술지는 기존 사회복지 지식지형의 공백을 메우는 것은 물론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사회복지 실천과 정책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