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Perception of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Scale (PI-PSM)for Hospital Employee

병원 의료종사자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측정도구 개발

  • Received : 2013.03.04
  • Accepted : 2013.04.26
  • Published : 2013.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erception of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scale (PI-PSM) for Hospital Employee. The PI-PSM was developed and vallidated as follows: item generation, ver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pilot study, and test of validity and reliability. In order to verify preliminary instrument, data was collected from 280 hospital employees. Data were analyzed by Varimax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There were 21 items in final instrument categorized into 4 factors as 'concern about patient safety management (7 items)', 'confidence about patient safety management (5 items)', 'will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5 items)', and 'recognition about patient safety management (4 items)'. The total varience explanined was 60.4%. Th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alpha}$. was .86, and reliability of the sucscales ranged from .69 to .87.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useful to assess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복잡하고 긴박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병원 환경에서 환자에게 안전한 돌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병원 의료종사자들의 관심과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병원에서 근무하는 다양한 의료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는 환자안전관리 중요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고자 시도되었다.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측정도구는 기초문항 작성, 내용타당도 검정 및 사전조사의 과정을 통해 21문항이 구성되었다. 그리고 280명의 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요인분석과 Cronbach's ${\alpha}$ 계수 산출을 통해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받았다. 전체 도구의 설명력은 60.4%였으며,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관심(7문항)',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자신감(5문항)', '환자안전관리를 위한 의지(5문항)', 그리고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인지(4문항)'의 4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측정도구 21문항의 신뢰계수는 Cronbach's ${\alpha}$=.86이었으며, 4개 요인의 신뢰계수는 .69-.87의 범위를 나타냈다. 추후 다양한 의료 영역에서 안전한 의료 및 간호 제공을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되고 타당도와 신뢰도가 입증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측정도구가 유용한 측정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은, 안경애, 윤숙희, "환자안전과 관련된 병원 환경 및 의사소통 과정에 대한 한국 간호사의 인식조사", 대한의료정보학회지, 제10권, pp.130-135, 2004.
  2. 김은경, 강민아, 김희정,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의료종사자의 인식과 경험", 간호행정학회지, 제 13권, 제3호, pp.321-334, 2007.
  3. 조윤주,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중요성 인식 및 수행,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 A. M. Tomey, Guide to nursing management & leadership(6th ed), NY: Mosby Pub., 2000.
  5. 임복희, "의료분쟁 판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294-303,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1.294
  6. H. T. Davies, S. M. Nutley, and R. Mann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quality of health care," Quality Health Care, Vol.9, No.2, pp.111-119, 2000. https://doi.org/10.1136/qhc.9.2.111
  7. Institute of Medicine, To Erro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0.
  8. JCAHO, National patient safety goals. Retrieved at June 29, 2009, from http://www. jointcommission.org/Patient Safety/NationalPatient SafetyGoals/, 2009.
  9. 보건복지부, 의료기관평가 지침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7.
  10. V. F. Nieva and J. Sorra, "Safety culture assessment: A tool for improving patient in health organizations,"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Vol.12, pp.17-23, 2003.
  11. 최명희, 일개 광역시 병원 종사자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및 영향요인,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2. K. Walshe and T. Freeman, "Effectiveness of quality improvement: Learning from evaluation,"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Vol.11, pp.85-87, 2002. https://doi.org/10.1136/qhc.11.1.85
  13. 김창엽, 김은경, 황정해, 오병희, "간호사의 투약오류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연구", 간호학논문집, 제12권, 제1호, pp.133-150, 1998.
  14. 박지원, 김용순, 진혜영, "병원내 안전관리 향상을 위한 항목 및 지침 선정", 한국의료QA학회지, 제3권, 제1호, pp.78-93, 1996.
  15. 강민아, 김정은, 안경애, 김윤, 김석화, "환자안전 문화와 의료과오 보고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태도", 보건행정학회지, 제15권, 제4호, pp.110-135, 2005. https://doi.org/10.4332/KJHPA.2005.15.4.110
  16. 김기경, 송말순, 이계숙, 허혜경, "병원간호사의 사건보고 불이행 경험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12권, 제3호, pp.454-463, 2006.
  17. 정준, 서영준, 남은우,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 리활동 영향요인 연구", 병원경영학회지, 제11권, 제1호, pp.91-109, 2006.
  18. 제우영,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병원종사자들의 인식-일개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9. 노이나, 병원 근무 직종별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0. 손유동, 서울 아산병원의 전산화된 환자안전 프로그램의 구축,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1. 김숙경, 이혜정, 오의금, "수술실의료진의 환자안 전문화 인식수준 및 관련요인", 임상간호연구, 제 16권, 제2호, pp.57-67, 2010.
  22. 강응대, 산업안전보건의 중요성에 대한 사업주 인식도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3. 한국교원대학교, 평가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부설 교과교육 공동연구소, 1999.
  24. 강주희,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한 따라하는 통계분석, 크라운출판사, 2008.
  25. J. L. Stewart, M. H. Mishel, M. R. Lynn, and L. Terhorst, "Test of a conceptual model of uncertain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ancer,"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33, No.2, pp.179-191, 2010.
  26. D. L. Streiner and G. R. Norman, Health measurement scale: A practical guide to their development and use (3rd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27. 김계수, Amos 7.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출판사, 2007.
  28. 김정은, 강민아, 안경애, 성영희, "환자안전과 관련된 병원문화와 의료과오 보고에 대한 간호사 의 인식조사", 임상간호연구, 제13권, 제1호, pp.169-179, 2007
  29. 김미란, "환자안전 개념분석", 대한간호학회지, 제41권, 제1호, pp.1-8, 2011. https://doi.org/10.4040/jkan.2011.41.1.1

Cited by

  1.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Practi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in Clinical Practicum vol.21, pp.2, 2015,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2.184
  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atient Safety Perception Scale for hospitalized Patients vol.30, pp.4, 2018, https://doi.org/10.7475/kjan.2018.30.4.404
  3. Patient Safety Perception of Nurses as related to Patient 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in Tertiary Hospitals vol.24, pp.3, 2018,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3.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