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Place Branding Evaluation based on Place Value

장소가치 개념에서의 플레이스 브랜딩 평가 방안

  • 어정연 (계원대학교 건축디자인)
  • Received : 2013.04.04
  • Accepted : 2013.05.15
  • Published : 2013.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elements of place branding and correspondent evaluation indicators for place brand strategy making, analysis and its evaluation. First, I criticise that previous research employed unclear and limited evaluation elements. I then suggest an plausible evaluation system and evaluation indicators through a theoretical proof for place branding under the concept of place-based value. Interviews with specialists for case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in an effort to approve the plausibility of this suggested evaluation system. As an extension, a direction is suggested for a general and effective place branding that would satisfy a diversity of places, which could hopefully contribute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city brand and marketing evaluation criteria. Creating a specialized place brand requires precise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n the place characteristics that should directly contribute to the strategy making based on the situatedness suggested by the place which meets an appropriate place branding category. In addition, a successful place branding requires active and effective communication among the participating members of interest and sustainable maintenance systems.

플레이스는 단순한 물리적 공간보다는 확장된 의미이다. 따라서 장소를 대상으로 하는 모든 활동들은 이와 같이 다양한 관계 구조를 지닌 장소의 특성을 이해하고 핵심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플레이스 브랜딩도 예외는 아니다. 본 연구는 플레이스 브랜딩을 장소와 가치라는 차원에서 재검토하고, 이를 통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평가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새로운 평가체계의 구축은 다음과 같은 문제 제기를 통해 얻고자 하는 목적을 충족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장소가치를 중심으로 하는 플레이스 브랜딩을 새롭게 정의하여 플레이스 브랜딩 시스템의 정확성과 보편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작게는 역동적인 플레이스 브랜딩 활동에 일익하고, 크게는 도시디자인 관련 평가 모델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막중, 김미옥, " 소성의 형성요인과 경제적 가치에 관한 실증분석" 국토계획, 제36권, 제2호, 2001.
  2. 김신혜, " 레이스 브랜딩을 위한 웨이파인딩 적용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제45권, 제6호, p.57, 2010.
  3. 노베르크 슐츠, 장소의 혼, 태림문화사, 1996.
  4. 박상훈, 장동련, 장소의 재탄생, 디자인하우스, p.39, 2009.
  5. 백선혜, 장소마케팅에서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pp.13-26, 2004.
  6. 랠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출판사, 1996.
  7. 서구원, 도시마케팅, 커뮤니케이션북, 2005.
  8. 어정연, 여홍구, "장소개념에서의 장소가치에 대한 논의", 국토계획, 제45권, 제6호, p.23, 2010.
  9. 이석환, 장소의 이해와 해석, 레인보우북스, 2007.
  10. 이지혜, 임경호, "공공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플레이스 브랜딩 사례분석", 기초조형학연구, 제12권, 제6호, p.320, 2011.
  11. 이진희, 장소 마케팅, 대왕사, 2006.
  12.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대윤, 1995.
  13. 이현식, 문화도시로 가는 길, 다인아트, 2004.
  14. 피에르 마이스, 형태로부터 장소, 시공문화사, 2000.
  15. 장동련, 전미연, 권승경, "도시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플레이스 브랜딩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제23권, 제4호, 2010.
  16. 장성주, "건축적 장소의 체험에 관한 분석연구", 서울대학교, 1986.
  17. 홍성용, 스페이스 마케팅, 삼성경제연구소, 2007.
  18. A. Light and J. M. Smith, The production of public spac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New York, 1998.
  19. A. Breen and D. Rigby, Waterfonts: Cities Reclaim Their Edge, Mc Hill, 1994.
  20. D. A. Aaker, Building Strong Brands, Free Press, NY, 1996.
  21. Kevin Lane Keller,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thecustomer-based brand eauity," 1993.
  22. F. Lukermann, Geography as a Formal Intellectual Discipline and way, Canadian Geographer, 1964.
  23. Simon Anholt, Brand new justice-the upside of Global Brand, 2003.
  24. D. Stokols and S. A. Shumaker, People in Place, Lawrence E. Associates,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