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ategic Use of SNS in PR for Improving Trust in Government Policy

정부정책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SNS활용 PR 전략

  • Received : 2013.02.15
  • Accepted : 2013.04.03
  • Published : 2013.05.28

Abstract

Meanwhile, the governmental organization has been familiar with construction and method of one-way communication focused on public relation. As a result, it is true that there are few customers who have interest in, understand, and actively participate in public policy of the government.However, by propagation of smart phone terminal, public relation of government policy is diversified such as SNS, application manufacture, etc. It paved the way for actively increasing customers' comprehension of relevant information and participation as well. With that background in mind, this research tried to search pattern and feature of SNS strategy through domestic and American examples for improving trustof government policy and find common ground in order to seek for solution to help government office conduct a PR campaign more efficiently through SNS.

그 동안 정부기관은 소위 대민홍보를 중심으로 하는 일방향적 커뮤니케이션 구성과 방식에 익숙해져 있으며, 이로 인해 정부의 공공정책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수용자들의 태도가 극히 드물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스마트 단말기의 폭발적인 보급으로 인해 정부기관의 공공정책에 대한 PR 방식이 SNS, 어플리케이션 제작 등으로 다각화되고, 이를 통해 관련 정보에 대한 수용자의 이해도는 물론 참여를 적극적으로 높이는 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정부 등 공공기관이 SNS를 통한 PR 캠페인 활동을 좀 더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국내 및 미국의 사례를 통해 정부정책 신뢰도 제고를 위한 SNS 전략의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함의를 찾고자 했다.

Keywords

References

  1. 황용석, 크라우드 소싱과 저널리즘, <2011 해외미디어 동향>, 한국언론재단, 2011.
  2. 김은미, SNS 혁명의 신화와 실제, 서울: 나남, 2011.
  3. 한국인터넷진흥원, 2010.
  4. 김병희, 한상필, "기업 커뮤니케이션에서 소셜 미디어의 활용 가능성: 의제설정과 소셜 프레즌스를 중심으로, 광고학 연구", 제22권, 제4호, 한국광고학회, pp.91-113, 2011.
  5. 박지홍, "사회네트워킹 사이트 이용자 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구", 한국정보관리학회지, 제25권, 제4호, pp.205-226, 2008. https://doi.org/10.3743/KOSIM.2008.25.4.205
  6. 서우종, 원욱연, 홍진원, "SNS 웹 사이트의 품질 요인이 사용자 만족, 지속적 사용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산업혁신연구, 제26권, 제1호, pp.99-132, 2010.
  7. 유혜림, 송인국, "웹 서비스 형태 변화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진화", 한국인터넷정보학회지, 제11권, 제3호, pp.52-62, 2010.
  8. 가명호, 정대율,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의 이용과 재방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 연구, 제10권, 제4호, pp.193-219, 2010.
  9. 황상민, 김지연, 조희진, "사이버공간 속의 관계맺기: 싸이월드 이용행동에 나타난 소셜 네트워크 활동 양상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제9권, 제2호, pp.285-303, 2008.
  10. 전희성, 최민수, "마이크로 블로그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에 대한 연구: '트위터'와 '미투데이'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제25권, pp.165-174, 2009.
  11. 송경채, "미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의 특성과 정치 참여", 한국과 국제정책, 제26권, 제3호, pp.129-157, 2010.
  12. 김영성, 박영목, "인터넷 및 모바일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인간 커뮤니케이션 특성 변화",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131-131, 2010.
  13. A. Taubenheim, T. Long, E. Smith, D. Jeffers, J. Waymanm, and S. Temple, "Using Social Media and Internet Marketing to Reach Women With The Heart Truth," Social Marketing Quarterly, Vol.14, No.3, pp.58-67, 2008. https://doi.org/10.1080/15245000802279433
  14. 김경희, "인터넷쇼핑몰 이미지 포지셔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호, pp.48-58, 2008.
  15. 김유정, 김혜영, "소셜미디어 마케팅에서 정의와 신뢰가 온라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파워블로거와 메타블로그를 중심으로", 인터넷전자상거래 연구, 제10권, 제3호, pp.131-155, 2010.
  16. 정기한, 정지희, 신재익, "기업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활동이 브랜드 및 구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대회, pp.1-8, 2010.
  17. 박보석, 이상원, "SNS 시대에 나타나는 개인중심 광고의 기호학적 분석", 기초 조형학 연구, 제 11권, 제6호, pp.253-260, 2010.
  18. 유호정,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웹 홍보전략에 관한 연구-충청관광 사례를 중심으로", e-비즈니스 연구, 제11권, 제5호, pp.97-116, 2010.
  19. 윤영선, "모바일 SNS 이용 만족과 습관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5권, 제4호, pp.123-142, 2010.
  20. 김현석, 윤주현, "온라인 쇼핑몰에서 SNS 지인 (知人) 기반 상품추천 방식의 선호도", 기초 조형학 연구, 제12권, 제1호, pp.137-145, 2011.
  21. 황하성, "미국 대학생들의 인스턴트 메신저의 활용에 관한 연구: 이용동기 및 타매체와의 상호관계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2호, pp.227-255.
  22. 나종연, "사용확산모형을 적용한 소비자의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활용에 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2010.
  23. 이상민, "기업의 마이크로 블로그 활용에 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pp.169-176, 2010.
  24. 이강호, "기업의 트위터 사용 유형에 따른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기업경영연구, 제18권, 제1호, pp.279-297, 2011.
  25. 홍삼열, 오재철, "트위터와 페이스북 사용자 접속요인 비교 분석", 한국인터넷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189-190, 2010.
  26. 이수영, 내가영, "마이크로 블로그 이용자의 능동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트위터와 미투데이 이용자의 생산적 활동을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겨울호, pp.171-200, 2010,
  27. 이현, 이동일, "소셜 미디어 이용 동기에 따른 다양한 기능의 사용이 매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43-60, 2010.
  28. 심홍진, 황유선, "마이크로블로깅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2호, pp.192-234, 2010.
  29. S. Cutlip, A. Center, and G. Broom, Effective Public Relation(6th ed), London Prentice-Hall International, 1985.
  30. Miller, Arthur H. Political Issues and Trust in Government:1964-1970,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63, No.3, pp.951-972, 1974.
  31. 이종범, 국민과 정부관료제,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6.
  32. K. Hetherington, "Expressions of Identity: Space, Performance," Politics. Sage Publications, London, 1998.
  33. S. E. Kim, The Role of Trust in the Modern Administrative State: An Integrative Model, Administration & Society, Vol.37, No.5, pp.611-635, 2005. https://doi.org/10.1177/0095399705278596
  34. S. J. Nye, P. D. Zelihow, and D. C. King, Why People Don't Trust Government.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7.
  35. 한국정보화진흥원, 소셜미디어의 확산과 법제도적 시사점, 2010.
  36. 곽해운, What is Twitter, a Social Network of a News Media?, 2010.